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나임, 웹툰 <바리공주> http://webtoon.daum.net/webtoon/view/princessbari | 미소장 |
2 | 무적핑크, 웹툰 <조선왕조실톡>https://comic.naver.com/webtoon/list.nhn?titleId=642598&weekday=wed2014.12.9.~2018.11.17 | 미소장 |
3 | 나무위키 ‘바리공주(웹툰)’ https://namu.wiki/w/%EB%B0%94%EB%A6%AC%EA%B3%B5%EC%A3%BC(%EC%9B%B9%ED%88%B0) | 미소장 |
4 | 강우규, 「바리 이야기의 웹툰 수용 양상과 의미 고찰: Daum 웹툰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1-1,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311-338쪽. | 미소장 |
5 | 강진옥, 「무속 여성신화와 농경적 생명원리: <바리공주>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 구비문학회, 2005, 307-346쪽. | 미소장 |
6 | 강혜선, 「서사무가(敍事巫歌) <바리공주>의 여성적 리더십 연구」, 『돈암어문학』 25, 돈암어문학회, 2012, 103-124쪽. | 미소장 |
7 | 김건형, 「웹툰 플랫폼의 공동독서와 그 정치미학적 가능성」, 『대중서사연구』 22-3, 대중서사학회, 2016, 119-169쪽. | 미소장 |
8 | 김대범, 「<신과함께>의 체험 공간화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4,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7-22쪽. | 미소장 |
9 | 김명희, 「웹툰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한글』 79-4, 한글학회, 2018, 939-974쪽. | 미소장 |
10 | 김미라, 「웹툰 미생(未生)의 성공요인 분석: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바둑학연구』 11-2, 2014, 93-105쪽. | 미소장 |
11 | 김보현, 「웹툰 『조선왕조실톡』에 나타난 역사기록물의 문화 콘텐츠화 방식 연구」, 『한국고전연구』 37,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283-308쪽. | 미소장 |
12 | 김봉석, 「바리데기 신화 읽기의 교육과정학적 함의: 효(孝)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4,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1-23쪽. | 미소장 |
13 | 김정은, 「동해안무가 <바리데기>의 화자별 변이 양상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32, 2011, 351-392쪽. | 미소장 |
14 | 김주희, 「무용 소재 만화의 서사분석과 독자 반응 연구」, 『한국무용예술학』 68, 한국무용예술학회, 2018, 19-35쪽. | 미소장 |
15 | 김진철,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양상: 『신과함께』 <신화편>을 중심으로」, 『영주어문』 31, 영주어문학회, 2015, 37-62쪽. | 미소장 |
16 | 김혜림, 「웹툰 한중 번역전략 분석: 『신과함께-저승편』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23-2,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19, 49-70쪽. | 미소장 |
17 | 노홍주ㆍ전한성, 「한국신화의 문학교육 내용 구성의 한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2-1,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8, 133-168쪽. | 미소장 |
18 | 박창호, 「인터넷의 매개적 상호작용으로서의 댓글의 찬성과 반대에 대한 분석」, 『담론 201』 16-2,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135-164쪽. | 미소장 |
19 | 신동흔, 「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적 신 관념의 단면: 신과 인간의 동질성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43, 비교민속학회, 2010, 349-377쪽. | 미소장 |
20 | 엄윤주, 「웹툰의 댓글 현상을 통한 국어과 교육내용 재구성」,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21 | 이경하, 「바리신화 ‘古典化’ 과정의 사회적 맥락」, 『국문학연구』 26, 국문학회, 2012, 7-31쪽. | 미소장 |
22 | 이동균ㆍ이서준ㆍ최인영,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금연 홍보 웹툰의 반응분석: “씌가렛뎐” 댓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3-1, 한국보건정보 통계학회, 2018, 70-79쪽. | 미소장 |
23 | 이명현, 「<신과함께> 신화편에 나타난 신화적 세계의 재편: 신화의 수용과 변주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40, 한국구비문학회, 2015, 167-192쪽. | 미소장 |
24 | 이승연ㆍ박지훈,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문제와 재현방식: <당신과 당신의 도서관>, <목욕의 신>, <무한동력>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3, 한국소통학회, 2014, 209-242쪽. | 미소장 |
25 | 이태훈, 「웹툰의 영화화 트렌드에 대한 영화산업의 대중예술성 분석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6-5,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391-398쪽. | 미소장 |
26 | 이희경,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적 재해석: 전승본과 김선우의 소설 「바리공주」비교, 영상, 게임, 무대예술로의 현대적 변용을 중심으로」, 『동서언론』 13, 동서언론학회, 2010, 147-184쪽. | 미소장 |
27 | 장은진, 「한국 대중문화 속에 나타난 사후세계의 환상성」,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1, 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255-273쪽. | 미소장 |
28 | 최기숙, 「‘감성적 인간’의 발견과 감정의 복합성ㆍ순수성ㆍ이념화: 19세기 국문소설 <남원고사>의 ‘사랑’의 표상화 맥락」, 『고소설연구』 34, 고소설학회, 2012, 217-249쪽. | 미소장 |
29 | 최기숙, 「일상ㆍ노동ㆍ생애와 ‘성찰’의 힘, 대화의 공감 동력: <미생>이 던진 질문과 희망」, 『대중서사연구』 22-4, 대중서사학회, 2016, 235-278쪽. | 미소장 |
30 | 최수웅, 「주호민의 <신과함께>에 나타난 한민족 신화 활용 스토리텔링 연구」, 『동아인문학』 41, 동아인문학회, 2017, 71-99쪽. | 미소장 |
31 | 황예진, 「전통 서사에 반영된 저승관의 현대적 변용 연구」, 『글로컬창의문화연구』 7-2,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9, 21-32쪽. | 미소장 |
32 | Choe, Keysook, Media Cultural Politics and the Politics of Sympathy-Queen Seondeok,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19-1, 2016, pp.111-137. | 미소장 |
33 | Watanuki, Reiko, 「이용자간 상호작용성이 네이버 웹툰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베스트댓글과 일반댓글의 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