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秦系文字 出土槪況 簡述 李相機 p.39-57
고대한어 '今夫, 若夫, 且夫'가 단어인가 = 古代漢語"今夫, 若夫, 且夫"是不是詞? 안기섭 p.59-79
갑골문 수렵복사에 보이는 길짐승 관련 고찰 양만기 p.1-37
汉语"饭"和韩语"밥"的认知隐喻对比研究 = Comparative study of cognitive metaphors in Chinese '饭' and Korean '밥' 曾茂, 韩容洙 p.165-176
『無門關』에 나타난 '將'의 용법 小考 김은희, 안재철 p.81-100
文革时期语言词汇研究的回顾与展望 郭伏良, 谢茹 p.141-151
韩中后缀"X师"的语义研究 金梅, 朴興洙 p.101-118
'重視'와 '輕視'를 의미하는 동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inese verbs meaning 'Zhongshi(重視)' and 'Qingshi(輕視)' 박윤조 p.217-234
<伯夷列傳>의 "怨邪非邪"와 "是邪非邪"를 통해서 본 行間的 脈絡과 重意的 層位 김원중 p.285-305
<大唐三藏取經詩話>와 雜劇 <西遊記> 비교 연구 = The comparitive[실은 comparative] study on <Poetry of Datang San Zang Sutra> And <Journey to the West> drama of Yuan Zaju : focusing on comicality : 희극성을 중심으로 金光永 p.307-322
중국어 '谚语'에 내포된 객관량(客觀量)과 주관량(主觀量) 표현 연구 기유미 p.119-139
"着迷"类离合词偏误研究 李春玲, 韩晓明 p.153-163
현대중국어 '好容易'와 '好不容易'에 관한 연구 = 现代汉语"好容易"与"好不容易"的研究 박귀란 p.177-196
언어유형론적 시각에서 본 한국어 "NP+AP+V" 중간 구문과 중국어 "NP+V起来+AP" 중간 구문 = 类型学视角下的韩国语"NP+AP+V"和汉语"NP+V起来+AP" 中动句式 장염, 김기석 p.197-215
韓·中 古代詩歌에 드러난 "後庭花" 意象 硏究 = Study on meaning and symbolic representation of "Hujeonghwa" among old poetries of Korea and China 全明順 p.251-283
영상도식과 그릇도식을 통한 한·중 차등 비교문에서의 비교결과 분석 = An analysis of comparison results between differential compar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image schema and container schema : focusing on various expressions in Korean equivalent to '大' in Chinese : 중국어 '大'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표현 중심으로 이은민 p.235-249
遊牧文化的 觀點에서 본 傀儡子의 發生과 傳播經路 試論 = A study on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path of 傀儡子 from the viewpoint of nomadic culture through comitatus 鄭元祉 p.323-348
沈从文的"实感经验"与20世纪中國文学的"世界性因素"研究 = Shen Congwen's lived experiences in the element of weltliterature 安善姬 p.451-463
宋代 「河圖·洛書」圖象의 出現과 그 定立過程 유승상 p.513-532
李時憲의 山水詩와 그의 陶淵明⋅王維 隱逸意識 영향 관계 연구 이경일 p.373-391
老舍 소설의 어릿광대 형상 고찰 : <마씨 부자(二馬)>와 <이혼(離婚)>을 중심으로 전영 p.393-409
중국 新詩의 起源에 관한 고찰 : 民間歌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黃智裕 p.427-450
韓少功 소설을 통해 본 예술적 의미로서의 현대성 고찰 = A study on the modernity of artistic meaning through Han Shao Gong's novels : focusing on the 『爸爸爸』 and 『女女女』 : 소설 『爸爸爸』와『女女女』를 중심으로 강윤형 p.465-484
중국 소비시장의 새로운 플랫폼 = New platform of consumer market in China : development strategy of Lao Zihao (China time-honored brand) by new retail : 신소매를 통한 중국 전통브랜드(老字号)의 발전전략 오혜정 p.595-610
'영화황제' 김염(金焰)의 항일영화인 형상 : 1930년대를 중심으로 한재은 p.533-562
以≪雨巷≫谈戴望舒诗歌之意境美 甘健 p.411-425
현대 중국의 교민정책 변화에 관한 고찰 : 시진핑의 "대교무(大僑務)"를 중심으로 崔承現 p.611-629

19、20世紀之交日俄在韓半島角逐分析 : 以≪知新報≫的報道為中心 張穎 p.563-578
≪고시원≫과≪고시기≫,≪채숙당고시선≫,≪고시상석≫ 선시(選詩) 비교 : 고일(古逸)편 김희경 p.349-371

옌롄커의 소설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에 나타난 허위와 실체 : 혁명의 허위와 폭로의 장치를 중심으로 박민수 p.485-504
茶船古道與六堡茶的歷史文化 袁柳, 趙紀貞 p.505-512
論"醜書"在當代中國文化中的不被兼容 : 對於"射墨"事件引發的"醜書"批判熱潮的反思 呂林, 李彥紅 p. 579-594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劉半農, ≪劉半農詩集≫, 沈陽, 遼寧出版集團電子圖書部, 2002. 미소장
2 俞平伯, ≪俞平伯全集≫, 石家莊, 花山文藝出版社, 1997. 미소장
3 劉大白, ≪劉大白詩集≫, 北京, 書目文獻出版社, 1983. 미소장
4 朱喬森編, ≪朱自清全集≫, 南京, 江蘇教育出版社, 1996. 미소장
5 陳萬雄, ≪五四新文化的源流≫, 三聯書店, 1997. 미소장
6 薑濤, ≪“新詩集”與中國新詩的發生≫,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5. 미소장
7 柯楊, ≪民間歌謠≫, 北京, 中國社會出版社, 2008 미소장
8 胡懷深, <中國民歌研究>,≪民國叢書≫, 1956. 미소장
9 衛景周, <歌謠在詩中的位置>, ≪歌謠周年紀念增刊≫, 1923.12.17. 미소장
10 常惠, <我們爲什麼要研究歌謠>, ≪歌謠≫, 1922.12.31. 미소장
11 何植三, <歌謠與新詩>, ≪歌謠周年紀念增刊≫, 1923.12.17. 미소장
12 鍾敬文, <詩和歌謠>, ≪蘭窗詩論集≫,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3. 미소장
13 王亞平, <中國民間歌謠與新詩>, ≪新詩源≫, 中華正氣出版社, 1943. 미소장
14 胡懷深, <中國民歌研究>, ≪民國叢書≫, 1956.02. 미소장
15 李景江, <新詩與民歌>, ≪吉林大學社會科學學報≫, 1978年第4期. 미소장
16 公木, <在民歌和古典詩歌基礎上發展新詩>, ≪社會科學戰線≫, 1980年第2期. 미소장
17 伍明春, <歌謠: 新詩的潛在資源>, ≪江漢大學學報(人文科學版)≫, 2006年第4期. 미소장
18 王蒞, <歌謠: 新詩的另一種開端―略論新詩初創期擬歌謠體新詩創作>, ≪清華大學學報≫, 2009年增2期. 미소장
19 張桃洲, <論歌謠作爲新詩自我建構的資源:譜系、形態與難題>, ≪文學評論≫, 2010年第5期. 미소장
20 賀仲明, <論民歌與新詩發展的複雜關系―以三次民歌潮流爲中心>, ≪中國現代文學研究叢刊≫, 2008年第4期. 미소장
21 崔墨卿, <從古典詩詞與民歌中汲取營養──新詩創作瑣談之一>, ≪新聞與寫作≫, 2001年 第6期. 미소장
22 苗得雨, <重提學習民歌與發展新詩的關系>, ≪文藝理論與批評≫, 1996年第3期. 미소장
23 王麗娟, <朱自清的新詩創作與歌謠>, ≪名作欣賞≫, 2009年第29期. 미소장
24 胡慧翼, <論“五四”知識分子先驅對民間歌謠的發現―以胡適、周作人、劉半農爲中心>, ≪西南民族學院學報≫, 2003年第3期. 미소장
25 陳泳超, <劉半農對民歌俗曲的借鑒與研究>, ≪中國現代文學研究叢刊≫, 2001年第1期. 미소장
26 烏爾沁, <劉半農與中國現代的民歌研究>, ≪民族文學研究≫, 2002年第4期. 미소장
27 黃偉明, 謝鐵金, <朱湘: 詩論詩作中的傳統詩詞文化>, ≪雲夢學刊≫, 2004年第5期. 미소장
28 杜悅英, <略論朱湘詩歌的民間化>, ≪美與時代≫, 2005年第12期. 미소장
29 鄧艮, <建構的先鋒:重審俞平伯新詩理論>, ≪浙江師範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07年 第4期. 미소장
30 張大爲, <論俞平伯早期的詩學理路>, ≪廣西社會科學≫, 2008年第8期. 미소장
31 육원정, <중국민간가요의 특성>, ≪중어중문학≫, 제5집, 1983.10. 미소장
32 金庠澔, <古代中國의 歌謠硏究」, ≪中國文學≫, 제26집, 1996.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