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단국대 율곡기념도서관 소장본(42장본) <유씨전>. |
미소장 |
2 |
단국대 율곡기념도서관 소장본(53장본) <이계룡전>. |
미소장 |
3 |
단국대 율곡기념도서관 소장본 <저승전>. |
미소장 |
4 |
<지선젼>의 짜임새와 의미 소고  |
미소장 |
5 |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 민음사, 2007. |
미소장 |
6 |
김병국 교주·역, 구운몽 , 서울대출판문화원, 2009. |
미소장 |
7 |
박용식 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16,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
미소장 |
8 |
박종수 편, 나손본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37권, 보경문화사, 1993. |
미소장 |
9 |
인권환 외편, 한국고소설선 , 태학사, 1995. |
미소장 |
10 |
임방 저, 정환국 역, 천예록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
미소장 |
11 |
곽정식, 「고소설에 나타난 冥府의 형상과 작중 역할」,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2006, 175-200쪽. |
미소장 |
12 |
곽정식, 「저승설화의 전승양상과 현실주의적 성격」, 어문학 101, 한국어문학회, 2008, 55-90쪽. |
미소장 |
13 |
김기종, 「조선후기 문학작품의 지옥 형상화와 그 성격」, 동양고전연구 66, 동양고전학회, 2017, 129-162쪽. |
미소장 |
14 |
김도환, 「<화옥쌍기>의 창작 경로와 소설사적 의의」, 우리어문연구 36, 우리어문학회, 2010, 63-94쪽. |
미소장 |
15 |
김성철, 「고소설과 신소설의 혼종 양상과 담당층」, 우리어문연구 52, 우리어문학회, 2015, 229-260쪽. |
미소장 |
16 |
김진영, 「<김용주전>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국학연구론총 11, 택민국학연구원, 2013, 1-39쪽. |
미소장 |
17 |
박상석, 「짜깁기방식의 활판본 역사소설 연구」, 영주어문 20, 영주어문학회, 2010, 145-178쪽. |
미소장 |
18 |
서신혜, 「<옥포동기완록>의 작품 창작 방식 연구-기존 작품을 재구성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31, 한국고소설학회, 2011, 245-271쪽. |
미소장 |
19 |
소인호, 「새 자료 <백운전> 연구」, 우리문학연구 40, 우리문학회, 2013, 135-161쪽. |
미소장 |
20 |
소인호, 「저승체험담의 서사문학적 전개-초기소설과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7, 우리문학회, 2009, 106쪽. |
미소장 |
21 |
오인옥, 「<유광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미소장 |
22 |
이강옥, 「저승생환담의 서사적 특징과 죽음 명상 텍스트로서의 가능성」, 우리말글 63, 우리말글학회, 2014, 181-223쪽. |
미소장 |
23 |
이민호, 「<三花奇緣> 연구-<홍백화전>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논문, 2016. |
미소장 |
24 |
이영수, 「저승설화의 전승양상에 관한 연구」, 비교민속학 33, 비교민속학회, 2007, 535-574쪽. |
미소장 |
25 |
정환국, 「17세기 이후 귀신이야기의 변모와 ‘저승’의 이미지-단편 서사류를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31, 한국고전문학회, 2007, 99-128쪽. |
미소장 |
26 |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 지식산업사, 1996. |
미소장 |
27 |
조상우, 「<저승전> 연구」, 동양고전연구 14, 동양고전학회, 2000, 5-30쪽. |
미소장 |
28 |
조재현, 「고전소설에 나타난 저승계 연구」, 어문연구 18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167-193쪽. |
미소장 |
29 |
차충환, 「<효우창선록> 연구」, 고소설연구 44, 한국고소설학회, 2017, 265-299쪽. |
미소장 |
30 |
한의숭, 「<지봉전>의 성격 재고」, 어문론총 72, 한국문학언어학회, 2017, 214-235쪽.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