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대현(2013).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 분석 연구: 교사 전문성 논의의 종합과 전문성 분석틀 개발. 사회과교육, 52(4), 75-89. |
미소장 |
2 |
강대현·이정우(2013). 사회과 평가 문항 개발의 기본 방향 탐색: 지식과 기능 및 사고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문항 개발. 사회과교육, 52(1), 103-115. |
미소장 |
3 |
김경모·이윤호(2017). 중등 임용시험 기출 경제 문항의 득점 및 득점률 영향 요인과 답안 작성의 분석. 경제교육연구, 24(3), 49-81. |
미소장 |
4 |
김영석(2008). 교과교육학의 위상과 교원양성대학의 구조. 사회과교육연구, 15(2), 23-35. |
미소장 |
5 |
김영석(2009). 중등교원임용시험과 사회과교육학의 위상. 사회과교육연구, 16(2), 1-12. |
미소장 |
6 |
김재근(2019). 중등임용시험 일반사회 경제영역의 출제경향 및 문항 분석. 경제교육연구, 26(1), 37-64. |
미소장 |
7 |
김재우·김동진(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대 이후의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1(2), 35-70. |
미소장 |
8 |
모경환(2013). An Analysis of the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시민교육연구, 45(1), 1-26. |
미소장 |
9 |
모경환·임정수(2011).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화연구, 17(1), 261-290. |
미소장 |
10 |
박영석(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적 합의와 시민교육의 과제. 시민교육연구, 49(4), 43-62. |
미소장 |
11 |
박형준(2005).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이해: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7(1), 81-100. |
미소장 |
12 |
박형준(2006). 사회과 교사들의 특성과 사회과의 본질에 대한 관점들. 시민교육연구, 38(4), 99-123. |
미소장 |
13 |
서지영·임찬빈·이양락·전효선·김혜숙·조보경·박도영·서영진(2015). 교사 양성 및 임용 체제 국제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5-50-30. |
미소장 |
14 |
옥일남(2015).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양성평등교육의 구현 양상 탐색. 시민교육연구, 47(1), 145-182. |
미소장 |
15 |
은지용(2004). 교원 양성 대학 일반사회과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0(2), 79-89. |
미소장 |
16 |
이대성(2006). 교수 내용 지식의 관점에서 본 중등 일반사회 교원 임용시험 문항분석. 사회과교육, 45(4), 133-161. |
미소장 |
17 |
이인제·이진석(2008). 표시과목 「일반사회」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8-6-9. |
미소장 |
18 |
조대훈·정경주(2010). 중등교원임용시험에 대한 사회과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사회과교육, 49(4), 1-16. |
미소장 |
19 |
차경수·모경환(2018). 사회과교육. 서울: 동문사. |
미소장 |
20 |
차조일(2012). 사회과 교육과 공민교육. 경기: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21 |
최윤정(2017). 2014-2016학년도 일반사회 중등 교원 임용시험 문항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1(4), 275-289. |
미소장 |
22 |
한관종(2007).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출제 분석 및 개선 방안 - 일반사회과 교과 교육학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4(1), 165-185. |
미소장 |
23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2). 표시과목별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0011&boardSeq=2126283&lev=0&m=040108&searchType=S&statusYN=W&page=1&s=kice (검색일: 2019. 7. 11.) |
미소장 |
24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2020학년도 중등임용시험 문항유형 및 문항수 조정 안내.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0011&boardSeq=5023606&lev=0&m=040108&searchType=S&statusYN=W&page=1&s=kice (검색일: 2019. 7. 20.) |
미소장 |
25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9). 중등교사 임용시험. http://www.kice.re.kr/sub/info.do?m=010602&s=kice (검색일: 2019. 7. 11.) |
미소장 |
26 |
허경철·이화진·박순경·소경희·조덕주(2001). 교과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
미소장 |
27 |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이홍우(역)(2017). 교육의 과정. 경기: 배영사. |
미소장 |
28 |
Ross, E. W. (2006). The struggle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 W. Ross (Ed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s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3rd Ed.) (pp. 17-36).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미소장 |
29 |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