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일반사회 중등교원 임용시험은 우리 사회가 기대하는 사회과 교사,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춘 사회과 교사를 선발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교원 양성 및 선발 과정에서 임용시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따라서 임용시험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임용시험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2014학년도 이후 시행된 일반사회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교과교육 문항을 분석하였다. 내용적 특성과 형식적 특성의 두 가지 기준을 통해 분석틀을 설정하였고, 이를 통해 2014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임용시험에 출제된 교과교육 문항의 출제 경향, 출제 영역, 문항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임용시험에서 출제되고 있는 교과교육 영역의 문항은 문항 수의 비중에 비해 문항 배점의 비중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2014학년도 이후 시행된 임용시험의 배점에서 교과교육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25%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과교육 영역의 문항 중 절반 이상의 문항이 사회과 교수학습 영역에서 출제되었으며, 반면에 사회과 최근 동향 영역에서는 1문항밖에 출제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과교육 영역의 문항이 예비 교사의 논리적 사고 능력이나 종합적인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임용시험의 교과교육 영역 문항은 대부분 예비 교사의 내용 지식이나 방법 지식을 평가하는 것에 한정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일반사회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개선을 위한 사항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통일 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unification education included in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standard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standards : 2015 개정 도덕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영선, 이승연, 김경은 p.87-119

2015 개정 사회과교육과정에 제시된 토의·토론법의 과정중심평가 실행방안 논의 = A study on applying a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discussion and debate in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구정화 p.1-24

매개 접촉을 활용한 청소년의 연령차별주의 개선 연구 = Reducing ageism in adolescents by using mediated intergroup contact 황미영 p.151-183

일반사회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교과교육 문항 분석 = An analysis of secondar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social studies : focusing on social studies subject matter since 2014 : 2014학년도 이후를 중심으로 김동진 p.25-53

교과 역량에 기초한 사회과 성취기준 재구조화 연구 =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subject curriculum competency : through the analysis and reorganization of skill related descriptive verb in the subject of integrated society : '통합사회'의 기능 술어 분석과 재구조화를 통하여 차조일, 강대현 p.121-150

독일 중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저출산·고령화 내용 분석 = Analysis of low fertility and aging contents in German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전영은, Ty Choi, 정문성 p.55-85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대현(2013).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 분석 연구: 교사 전문성 논의의 종합과 전문성 분석틀 개발. 사회과교육, 52(4), 75-89. 미소장
2 강대현·이정우(2013). 사회과 평가 문항 개발의 기본 방향 탐색: 지식과 기능 및 사고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문항 개발. 사회과교육, 52(1), 103-115. 미소장
3 김경모·이윤호(2017). 중등 임용시험 기출 경제 문항의 득점 및 득점률 영향 요인과 답안 작성의 분석. 경제교육연구, 24(3), 49-81. 미소장
4 김영석(2008). 교과교육학의 위상과 교원양성대학의 구조. 사회과교육연구, 15(2), 23-35. 미소장
5 김영석(2009). 중등교원임용시험과 사회과교육학의 위상. 사회과교육연구, 16(2), 1-12. 미소장
6 김재근(2019). 중등임용시험 일반사회 경제영역의 출제경향 및 문항 분석. 경제교육연구, 26(1), 37-64. 미소장
7 김재우·김동진(2019).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대 이후의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1(2), 35-70. 미소장
8 모경환(2013). An Analysis of the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시민교육연구, 45(1), 1-26. 미소장
9 모경환·임정수(2011).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화연구, 17(1), 261-290. 미소장
10 박영석(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적 합의와 시민교육의 과제. 시민교육연구, 49(4), 43-62. 미소장
11 박형준(2005).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이해: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7(1), 81-100. 미소장
12 박형준(2006). 사회과 교사들의 특성과 사회과의 본질에 대한 관점들. 시민교육연구, 38(4), 99-123. 미소장
13 서지영·임찬빈·이양락·전효선·김혜숙·조보경·박도영·서영진(2015). 교사 양성 및 임용 체제 국제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5-50-30. 미소장
14 옥일남(2015).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양성평등교육의 구현 양상 탐색. 시민교육연구, 47(1), 145-182. 미소장
15 은지용(2004). 교원 양성 대학 일반사회과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0(2), 79-89. 미소장
16 이대성(2006). 교수 내용 지식의 관점에서 본 중등 일반사회 교원 임용시험 문항분석. 사회과교육, 45(4), 133-161. 미소장
17 이인제·이진석(2008). 표시과목 「일반사회」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8-6-9. 미소장
18 조대훈·정경주(2010). 중등교원임용시험에 대한 사회과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사회과교육, 49(4), 1-16. 미소장
19 차경수·모경환(2018). 사회과교육. 서울: 동문사. 미소장
20 차조일(2012). 사회과 교육과 공민교육. 경기: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21 최윤정(2017). 2014-2016학년도 일반사회 중등 교원 임용시험 문항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1(4), 275-289. 미소장
22 한관종(2007).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출제 분석 및 개선 방안 - 일반사회과 교과 교육학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4(1), 165-185. 미소장
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2). 표시과목별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0011&boardSeq=2126283&lev=0&m=040108&searchType=S&statusYN=W&page=1&s=kice (검색일: 2019. 7. 11.) 미소장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2020학년도 중등임용시험 문항유형 및 문항수 조정 안내.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0011&boardSeq=5023606&lev=0&m=040108&searchType=S&statusYN=W&page=1&s=kice (검색일: 2019. 7. 20.) 미소장
25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9). 중등교사 임용시험. http://www.kice.re.kr/sub/info.do?m=010602&s=kice (검색일: 2019. 7. 11.) 미소장
26 허경철·이화진·박순경·소경희·조덕주(2001). 교과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미소장
27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이홍우(역)(2017). 교육의 과정. 경기: 배영사. 미소장
28 Ross, E. W. (2006). The struggle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 W. Ross (Eds.),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s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3rd Ed.) (pp. 17-36).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미소장
29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