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근대적 인과율의 해석에 대하여 =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law of causality / 원승룡 1

목차 1

국문초록 1

I. 들어가는 말 : 인과율의 기본적 의미 2

II. 인과율에 대한 고대와 근대의 해석의 차이 4

III. 흄과 칸트의 인과율 비교 8

1. 흄 8

2. 칸트 11

IV. 충분근거율의 관점에서 : 쇼펜하우어의 해석 16

V. 인과적 설명 논증의 관점에서 21

VI. 맺는 말 : 인과율과 지식의 본성 25

참고문헌 28

Abstract 2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탈북학생 문화예술 교육 실태 및 개선 방안 고찰 = A study on cultural-artistic education for North Korean youth migrants : focused on the excellent cases of education for North Korean youth migrant : 교육부 탈북학생 교육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강구섭, 정재훈, 김유연 p.5-39

보기
『서유견문』에 나타난 '조선인식' 고찰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hosun in 'Seoyugyeonmun' 노연숙 p.79-113

보기
근대적 인과율의 해석에 대하여 =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law of causality 원승룡 p.203-232

보기
『표준국어대사전』의 프랑스어 차용어 기술 연구 = A study on the description of French loanwords in the Pyojun Korean Dictionary 하영동 p.257-287

보기
이민구의 강화도 탈출담 연구 = A study on the exodus of Lee Min-gu 김일환 p.41-77

보기
샹탈 아케르만(Chantal Akerman)의 초기 영화에 나타난 벨기에 문화예술의 영향력 연구 = Belgitude in Chantal Akerman's early films 민진영 p.115-151

보기
강진 月南寺址 三層石塔과 塔址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nd stone pagoda remains of Wolnamsa-temple site in Gangjin country 엄기표 p.153-201

보기
한·중 해양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A study on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and Chinese sea-literature 이광재, 정도미, 임환모 p.233-256

보기
『장자』 우언과 『광인일기』 광인의 형상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age of madman between 『Zhuangzi's』 fable and 『Madman's Diary』 한영걸 p.289-316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정하, 「칸트의 인과론에 대한 연구 I- 제2 유추를 중심으로」, 『철학논구』 19권, 서울대학교 철학과, 1991. 미소장
2 Aristoteles, “Analytica posteriora”, The Basic Works of Aristotle, Random House, New York, 1970. 미소장
3 Heidegger M., “Vom Wesen des Grundes”, Wegmarken, Vittorio Klostermann, 1976. 국역: 「근거의 본질에 관하여」, 『이정표 2』, 이선일 역, 한길사, 2014. 미소장
4 Heidegger M., “Die Zeit des Weltbildes”, Holzwege, Vittorio Klostermann, 1977. 국역: 「세계상의 시대」, 신상희 역, 『숲길』, 나남, 2008. 미소장
5 Hume D., A Treatise of Human Nature, Scientia Verlag ,Aalen, 1964 국역: 『오성에 관하여』, 이준호 역, 서광사, 1996. 미소장
6 Kant I., Kritik der reinen Vernunft, Felix Meiner, 1956 국역: 『순수이성비판』, 백종현 역, 아카넷, 2006. 미소장
7 Russell B., “On the Notion of Cause”, Proceedings of Aristotelian Society 13, 1912/1913. 미소장
8 Schopenhauer A., “Der vierfache Wurzel des zureichenden Grunde”, in:Sämtliche Werke, Cotta-Insel Verlag, Bd 3, 1962. 미소장
9 Schopenhauer A.,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Reclam, 1990. 국역: 『의지와표상으로서의 세계』, 홍성광 역, 을유문화사, 2018. 미소장
10 Stegmüller, W., Probleme und Resultate der Wissenschaftstheorie und Analytischen Philosophie, Band I, Springer Verlag, 1969. 미소장
11 Toulmin, S., The Use of Argument, Cambridge Uni. Press, 2003. 미소장
12 Wright, G.H. von,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Cornell Univ. Press, 1971. 미소장
13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Schwabe & Co. Basel, Bd. 4, 197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