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일본의 나카시마 테츠야 감독의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은 뮤지컬적인 스타일과 화려한 색채뿐만 아니라 남성중심주의 사회의 억압에서 살아간 한 여성의 삶을 보여주어 관객의 공감과 큰 사랑을 받았다. 특히 히스테리 신경증자로 연출된 주인공 마츠코의 캐릭터가 영화가 전달하는 메시지에 절묘하게 융합되어 달콤하고 유쾌한 비극을 반영하였다.

히스테리 신경증자는 타자가 상실한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타자의 욕망을 지배하기 위해 자신이 타자의 특정한 대상이 되려고 한다. 히스테리 신경증자는 타자의 욕망을 지속시키기 위한 특정한 대상이 되려고 하며 욕망이 불만족스러운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충족되지 못한 욕망에 대한 욕망이다. 히스테리는 대타자와의 동일시를 통해 주체를 찾아간다. 히스테리 신경증 여성은 자신의 무의식적 욕망과 심리적 갈등을 자신이 속한 문화에서 타자가 인정하는 증상이나 행위로 치환하여 표현한다. 신경증자는 억압에 의해 자신의 존재를 상실하며 타자의 욕망에 의존하며 타자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대타자가 억압하여 신경증자는 타자의 욕망에 의해 자신의 욕망을 구성한다.

히스테리 신경증은 타자의 욕망이 되려고 노력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타자의 욕망을 살펴보면서 주체에게 억압을 가한 대상을 찾아내어 사회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은 가부장체제의 피해를 받은 한 여성의 절망적인 삶을 연출하였다. 히스테리 신경증자의 특성에 따라 마츠코는 아버지의 분리된 주체로 존재하고 아버지라는 타자로부터 분리되어 주체화된 인생을 살 수 없게 된다. 영화 속 마츠코는 어린 시절 아버지의 영향으로 시작하여 남성중심주의 세상에서 억압을 받으며 주체성을 잃었다. 마츠코는 타자인 아버지의 욕망을 지속시킬 대상이 되려고 노력하였고 대상a의 자리에 위치하게 되었다. 마츠코는 남성의 욕망과 동일시하며 남성을 바라보며 추종한다. 영화는 불쌍한 여인이 남성을 추종하면서 혐오스런 일생을 살게 된 것으로 남성중심주의 사회를 비판하였다.

신경증이 주체의 보편적인 구조라면 이 영화의 목표는 신경증을 없애려는 것이 아니라 억압을 받고 있는 주체의 위치를 바로잡는 것이다. 그리고 그 억압의 근원은 성별이 아니라 사회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From archetypal motifs of Cinderella's glass slippers and round images to vagina monologues = 신데렐라의 유리 구두 원형 모티프에서 버자이너 모놀로그 둥근 이미지까지 : Parler-Femme in Taste of Life, Forêt Debussy, Twin Bracelets, Raise the Red Lantern, Old Well, Tuya's Marriage, and I Am Not Madame Bovary Ya-chen Chen p.51-94

전후 한국영화에 재현된 자본주의적 공간의 형성 = Formation of capitalistic space represented in postwar Korean movies : focusing on the David Harvey's urban theory : 데이비드 하비의 도시이론을 중심으로 김대근 p.149-179

Competing for global story market = 글로벌 스토리 마켓 경쟁 : 중국 영화 산업을 중심으로 : the case from China's film industry Yang jihua p.241-275

대상에서 주체로의 변이생성 연구 = A study on the process of variations from object to subject : in text Cléo de 5 à 7 (1962) : <5시에서 7시까지의 클레오>를 중심으로 유지나 p.9-30

역사 재해석과 영화적 재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historical reinterpretation and film representation : focused on The Last Princess and The King's Letters : <덕혜옹주>, <나랏말싸미>를 중심으로 강성률 p.211-239

<야행>에 나타난 여성 산책자 연구 = A study on the female flaneur in Night Journey 황혜진 p.181-209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영화에서 허구와 실재의 경계 = A study on the fiction and real in Abbas Kiarostami's films : focused on the Copie Conforme : <인정받은 복제품>을 중심으로 서정아 p.95-121

작은 화면, 더 많은 사운드 = Simple images more sound : how Netflix emphasizes sound design? : 넷플릭스는 어떻게 사운드 디자인을 강조하는가? 심은진 p.31-49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의 여성 히스테리 신경증 분석 = The hysterical neurosis female character in the film Memories of Matsuko 장영, 차승재 p.123-147

로스 맥켈위 초기 다큐멘터리의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oss McElwee's early documentari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Backyard, Charleen and Time Indefinite : <뒤뜰>, <샬린>, <무한한 시간> 분석을 중심으로 박종호 p.277-318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슬라보예 지젝 저, 이재환 역, 『나눌 수 없는 잔여』, 도서출판b, 2010. 미소장
2 앙투안 베르고트 저, 김성민 역, 『죄의식과 욕망-강박신경증과 히스테리의 근원』, 학지사, 2009. 미소장
3 양석원, 『욕망의 윤리』, 도서출판 한길사, 2018. 미소장
4 이미선, 『라캉의 욕망이론과 셰익스피어 텍스트 읽기』, 한국학술정보, 2006. 미소장
5 이병창, 『지젝 라캉 영화』, 먼빛으로, 2013. 미소장
6 임옥희 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정신분석세미나팀,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3. 미소장
7 조남주, 『82년생 김지영』, 민음사, 2016. 미소장
8 페터 비트머 저, 홍준기, 이승미 역, 『욕망의 전복: 자끄 라깡 또는 제 2 의 정신분석학 혁명』, 한울, 1998. 미소장
9 김경희, 「히스테리 담론과 수행성」, 『19세기 영어권 문학』, 15집, 2011. 미소장
10 김정의,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을 근거로 한 무용창작작품 <again and a-gain>의 주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11 노진희,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에 드러난 마츠코의 자기서사와 쇼의 무기력증 극복 과정」, 『영화와문학치료』, 3집, 2010. 미소장
12 서정희,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과 고전시가 <덴동어미화전가>속 여주인공의 삶의 여정과 극복 과정 탐색」, 『겨레어문학』, 42집, 2009. 미소장
13 윤보협, 「정신분석학의 입장에서 본 캐릭터 연구」, 『한국영화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한국영화학회 추계 정기 학술발표회, 2009. 미소장
14 윤은애, 「라캉과 여성의 “히스테리적 글쓰기”-타자의 욕망과 욕망하는 주체」, 『우리문학연구』, 29집, 2010. 미소장
15 이소희, 「메를로-퐁티의 “말하는 몸”과 히스테리」, 『한국여성철학』, 16집, 2011. 미소장
16 이수진, 「자크라캉의 이론에 기초한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17 이순화, 「영화 <혐오스런 마쓰코의 일생>에서 마쓰코의 히스테리적 욕망」, 『현대영화연구』, 11집, 2015. 미소장
18 이용미, 「영화에 드러난 여성원형의 표상과 젠더」, 『일어일문학연구』, 103집, 20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