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슈토름의 중기 문학과 사회 비판적 의미의 재발견 = Storms Literatur in der Mittelphase und die Wiederentdeckung seiner sozialkritischen Bedeutung / 송희영 1

국문요약 1

I. 들어가는 말 2

II. 슈토름, 목가적 전원작가인가, 프로이센 비판의 민주주의자인가? 3

1. 슈토름의 문학 : 서정성-사회정치적 이슈-인간보편의 문제 3

2. 자유민주주의 옹호와 프로이센의 군국주의에 대한 저항 5

3. 프로이센에 대한 슈토름과 폰타네의 논쟁 및 토마스 만의 평가 8

III. 프로이센의 봉건 귀족과 신분 차별에 대한 비판 10

1. 「성을 따라서」 : 프로이센의 봉건 귀족에 대한 비판과 자유의 열망 10

2. 「대학에서」 : 봉건귀족의 만행과 하층계급 여성의 좌절 12

V. 나가는 말 15

참고문헌 16

Zusammenfassung 1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괴물의 전복적 시선과 주술사로서의 예술가 = Die umstürzende Perspektive des Monsters und Künstler als Zauberer : 'Eine Studie zu Camera Obscura von Judith Hermann' : 유디트 헤르만의 「카메라 옵스큐라」 분석 최은아 p.159-179

보기
백만 한 번째 손님노동자에서 포스트이주자로 = Vom einmillionundersten Gastarbeiter zu Postmigranten : Eine Untersuchung zu Şamderelis Film Allmanya-Willkommen in Deutschland : 삼데렐리의 영화 <나의 가족, 나의 도시> 고찰 이홍경 p.181-203

보기
오디세우스와 세이렌의 대결 = Duell zwischen Odysseus und den Sirenen in Kafkas s.g. Das Schweigen der Sirenen : 카프카의 '세이렌들의 침묵'을 중심으로 황승환 p.5-24

보기
벤야민의 카프카 해석에서 신학적인 것 = Das Theologische in der Kafka- Interpretation Walter Benjamins 최성만 p.25-50

보기
로마와 예루살렘 간의 법적 투쟁 = Ein gesetzlicher Streit zwischen Rom und Jerusalem : Carl Schmitts und Gershom Scholems Lektüren der Werke Franz Kafkas : 칼 슈미트와 게르숌 숄렘의 카프카 독해 조효원 p.51-82

보기
전이적 유희를 통한 고백과 은폐 = Bekennen und Phantasieren im Spiel der Übertragung : Zur narrativen Strategie von Leo Perutz' Der Meister des Jüngsten Tages : 레오 페루츠의 『심판의 날의 마이스터』에 나타난 서술 전략 송윤경 p.101-130

보기
인간중심주의 비판과 인간의 동물-되기 = Kritik des Anthropozentrismus und Tier-Werden des Menschen : Das Verhältnis von Mensch und Tier in Etüden im Schnee von Yoko Tawada : 다와다 요코의 『눈 속의 연습곡』에 나타난 인간과 동물의 관계 정항균 p.131-157

보기
슈토름의 중기 문학과 사회 비판적 의미의 재발견 = Storms Literatur in der Mittelphase und die Wiederentdeckung seiner sozialkritischen Bedeutung 송희영 p.83-100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ollenbeck, Georg: Theodor Storm: eine Biographie. Frankfurt 1988. 미소장
2 Coghlan, Brian: Theodor Storm und das 19. Jahrhundert: Vorträge und Berichte des Internationalen Storm-Symposions aus Anlaß des 100. Todestages Theodor Storms. Berlin 1989. 미소장
3 Ebersold, Günther: Politik und Gesellschaftskritik in den Novellen Theodor Storms. Frankfurt 1981. 미소장
4 Hettche,Walter (Hrsg.): Briefwechsel. Kritische Ausgabe. Theodor Storm. Berlin 1991. 미소장
5 Hildebrandt, Klaus: Theodor Storm. Der Schimmelreiter. Oldenbourg 1990. 미소장
6 Jackson, David A.: Theodor Storm: Dichter und demokratischer Humanist. Berlin 2001. 미소장
7 Ders.: Theodor Storm's Democratic Humanitarianism: The Novella Im Schloss in Context. In: Oxford German Studies 17. 1988, S. 11-29. 미소장
8 Jeßing, Benedikt: Neuere deutsche Literaturgeschichte. Tübingen 2014. 미소장
9 Jonski, Klaus: Lebensbilder von Handwerkern. Biberach 1996. 미소장
10 Klepper, Nathalie: Theodor Storms späte Novellen.Marburg 2008. 미소장
11 Laage, Karl E. (Hrsg.): ThomasMann. Theodor StormEssay. Heide 1996. 미소장
12 Ders.: Theodor Storm. Biographie. Heide 2013. 미소장
13 Lohmeier, Dieter: Theodor Storm und die Politik. In: Coghlan, Brian: Theodor Storm und das 19. Jahrhundert: Vorträge und Berichte des Internationalen Storm-Symposions aus Anlaß des 100. Todestages Theodor Storms. Berlin 1989. S. 26-40. 미소장
14 Steiner, Jacob: Theodor Storm- Theodor Fontane. Briefwechsel. Kritische Ausgabe. Berlin 1981. 미소장
15 Storm, Theodor: ImSchloß. SämtlicheWerke in vier Bänden. Berlin 1978. 미소장
16 Ders.: Auf der Universität. SämtlicheWerke in vier Bänden I. Frankfurt 1998. 미소장
17 Stuckert, Franz: Theodor Storm. Sein Leben und seineWelt. Bremen 1955. 미소장
18 배정희 정인모: 테오도르 슈토름의 『백마의기사』(1888)와로컬리티담론. 독일어문학59. 2012. 145-168쪽. 미소장
19 이노은: 잃어버린유년의꿈에대한수집과창작을통한회상. 테오도르슈토름의『임멘호Immensee』(1850)연구.카프카연구11. 2004. 145-174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