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전략 = Facilitatio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discussion class / 박창균 1
국문초록 1
I. 서론 1
II. 퍼실리테이션 개념과 토의수업의 지향점 3
1. 퍼실리테이션의 개념 3
2. 토의수업의 지향점 5
III. 참여적 의사결정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 8
1. 토의 분위기와 환경 조성하기 8
2. 퍼실리테이션 도구와 기법 활용하기 9
3. 참여 형식 바꾸기 11
4. 참여자의 갈등 조정하기 12
5. 토의 관찰 및 피드백 제공하기 14
6. 퍼실리테이터의 책임 이양하기 15
IV. 결론 및 제언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1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선연 (2018).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토의 기법 기반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의 적용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종남 (2016). 회의 없는 조직. 화성: 플랜비디자인. | 미소장 |
3 | 박창균 (2013). 토의 담화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 점검. 화법연구, 23, 85-120. | 미소장 |
4 | 박창균 (2017). 효과적인 토의수업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 교사역량개발 워크숍 자료집, 49-62. | 미소장 |
5 | 송선정 (2017).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기법을 활용한 독서토론식 한국어 통합 교육 모형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오우식 (2016). 퍼실리테이션 개론. 서울: 조명문화사. | 미소장 |
7 | 최영인 (2007). 토의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Baker, L. L., & Fraser, C. (2005). Facilitator Core Competencies as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acilitators. In S. Schuman (Ed.). The IAF handbook of group facilitation: best practices from the leading organization in facilitation (pp. 459-471). San Francisco: Jossey-Bass. | 미소장 |
9 | Bens I. (2018). Facilitating with ease!(4th ed.). New Jersey: John Wiley & Sons. | 미소장 |
10 | Dole, M., & Straus, D. (1976). How to make to meeting. Wyden Books. | 미소장 |
11 | Hartnett, T. (2010). Consensus-Oriented Decision-Making. New Society Publishers. | 미소장 |
12 | Hori Kimitoshi (2004). ファシリテ-ション 入門. 임해성 옮김 (2014). 퍼실리테이션 테크닉 65. 서울: 비즈니스맵. | 미소장 |
13 | Justice T., & Jamieson, D. W. (2012). The facilitator’s fieldbook: step-by-step procedures checklists and guidelines samples and temples (3rd ed.). New York: AMACOM. | 미소장 |
14 | Kaner, S., Lind, L., Toldi, C., Fisk, S., & Berger, D. (2014). Facilitator’s Guide to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 미소장 |
15 | Kaner, S., Lind, L., Toldi, C., Fisk, S., & Berger, D. (2014). Facilitator’s Guide to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3rd ed.). 구기욱 옮김 (2017). 민주적 결정방법론-퍼실리테이션 가이드. 서울: 쿠퍼북스. | 미소장 |
16 | Schuman, S. (Ed.). (2005). The IAF handbook of group facilitation: best practices from the leading organization in facilit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 미소장 |
17 | Schwarz, R. (2005). The Skilled Facilitator Approach. In S. Schuman (Ed.). The IAF handbook of group facilitation: best practices from the leading organization in facilitation (pp. 21-34). San Francisco: Jossey-Ba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