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전략 = Facilitatio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discussion class / 박창균 1

국문초록 1

I. 서론 1

II. 퍼실리테이션 개념과 토의수업의 지향점 3

1. 퍼실리테이션의 개념 3

2. 토의수업의 지향점 5

III. 참여적 의사결정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 8

1. 토의 분위기와 환경 조성하기 8

2. 퍼실리테이션 도구와 기법 활용하기 9

3. 참여 형식 바꾸기 11

4. 참여자의 갈등 조정하기 12

5. 토의 관찰 및 피드백 제공하기 14

6. 퍼실리테이터의 책임 이양하기 15

IV. 결론 및 제언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불안정 애착 유형과 편집증의 하위유형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신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beliefs on the relations between insecure attachment types and subtypes of paranoia in university students :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지혜, 이영호 p. 885-904

보기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적성과 실습생역할인식 및 역할수행의 차이 = Differences between the aptitude of a pre- and post-career teacher and the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a trainee cyber-students and undergraduates : 사이버학습자와 학부생을 중심으로 이현진, 임은정 p. 1179-1201

보기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양육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생명존중의식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ife resp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on parenting responsibility 이정은, 강수경 p. 1225-1243

보기
동적기하 환경에서 Lakatos 방법에 따른 중학교 학생의 증명 스키마 분석 = An analysis on proof schema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Lakatos' method in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정선우, 조민식 p. 861-883

보기
간호대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과 공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ability, and empathy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한석영 p. 905-922

보기
중등부 여자 육상선수의 시즌별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에 관한 연구 = Season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level among female track and field athletes in junior high school 류현승, 김정훈 p. 769-786

보기
사고력 증진을 위한 미술관 감상교육 방안 = Museum appreciation education for improving thinking skills : based on case analysis of VTS and thinking routines : VTS와 Thinking routines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류재만, 배진희 p. 1015-1038

보기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생활영역별 일상생활기술의 연계 및 통합 체계 구성 = Constructing a connective and integrated structure of daily living skills based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백수진 p. 727-749

보기
SBAR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self-efficacy following SBAR program 서인주, 장순양 p. 977-992

보기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이경미, 윤채영 p. 1245-1264

보기
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가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career value of female adult learners 선혜연, 김영빈, 황매향 p. 841-860

보기
유아기 괴롭힘 현황 및 예방/개입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 = Teachers' perceptions for bullying and expectations for anti-bullying program 이승하, 김유중 p. 787-816

보기
꿈에 대한 암묵적 이론 및 악몽대처방략과 악몽고통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theory of dreams, nightmare coping strategies and nightmare distress 전평화, 이영호 p. 817-839

보기
실감형 학습자료를 활용한 대학 수업의 효과 = Effectiveness of college classes using realistic learning materials 최현준, 박분희, 김누리 p. 957-976

보기
정서 이면 욕구 확인이 직장 내 스트레스로 인한 부적 정서 및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firming the needs behind emotions on negative-affect and turnover intent caused by stress in workplace 이화실 p. 1063-1078

보기
폐쇄형 SNS를 활용한 토익 말하기 활동의 효과 = The effect of using a closed SNS on TOEIC speaking 허선영, 손승희 p. 923-937

보기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전략 = Facilitation strategies for facilitating discussion class 박창균 p. 993-1013

보기
인문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 Development of humanities capability test tool : reliability testing and exploratory factors :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이경숙, 이상욱, 박민아 p. 1203-1223

보기
유아 식생활교육 연구동향 및 방향성 탐색 = Research trends and directions of children's dietary life education 이신경, 최차란 p. 1039-1062

보기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현악기 운지 교수법 연구 = Study of string instrument fingering teaching method using visual support 한송이 p. 1265-1282

보기
특성화고등학생의 성격강점과 주관적 행복 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strength and subjective happines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허혜영, 장석진 p. 1115-1131

보기
간호대학생의 SBAR인수인계교육이 의사소통능력, 셀프리더십과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BAR handeover education on nursing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self-leadership and clinical judgment 황혜정, 김현희 p. 751-767

보기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PBIS) 체계 적용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 =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applying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 system 강성구, 권혁상, 임경원, 곽승철 p. 1155-1178

보기
확률과 통계에서 우연(chance)의 의미 고찰 = The meaning of chance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고은성, 황은지 p. 939-956

보기
ACE 사업 참여 대학의 교양교육 운영 특성 연구 = Analysis of management features of general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supported by ACE funds in Korea 강명희 p. 1095-1114

보기
초보상담자의 상담자 직업 인식 = Novice counselors' job recognition 김진희, 홍지영 p. 1133-1153

보기
대학교수 대상 수업컨설팅이 교수행동의 중요도와 실천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on perceived importance and actual behavior of university professors' instructional behaviors 오선아, 임태형 p. 687-704

보기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적용 후 교사의 태도 변화 및 시사점 탐색 = A study on the teacher's attitudes and implications after applying 'curriculum-class-evaluation-record alignment' 육경민 p. 705-726

보기
임상실습에서 적용된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 진단 진술문 분석 = Analysis of diagnosis statement of nursing process applied b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김수연, 신용순 p. 1079-1094

보기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선연 (2018).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토의 기법 기반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의 적용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김종남 (2016). 회의 없는 조직. 화성: 플랜비디자인. 미소장
3 박창균 (2013). 토의 담화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 점검. 화법연구, 23, 85-120. 미소장
4 박창균 (2017). 효과적인 토의수업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 교사역량개발 워크숍 자료집, 49-62. 미소장
5 송선정 (2017).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기법을 활용한 독서토론식 한국어 통합 교육 모형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오우식 (2016). 퍼실리테이션 개론. 서울: 조명문화사. 미소장
7 최영인 (2007). 토의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Baker, L. L., & Fraser, C. (2005). Facilitator Core Competencies as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acilitators. In S. Schuman (Ed.). The IAF handbook of group facilitation: best practices from the leading organization in facilitation (pp. 459-471).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9 Bens I. (2018). Facilitating with ease!(4th ed.). New Jersey: John Wiley & Sons. 미소장
10 Dole, M., & Straus, D. (1976). How to make to meeting. Wyden Books. 미소장
11 Hartnett, T. (2010). Consensus-Oriented Decision-Making. New Society Publishers. 미소장
12 Hori Kimitoshi (2004). ファシリテ-ション 入門. 임해성 옮김 (2014). 퍼실리테이션 테크닉 65. 서울: 비즈니스맵. 미소장
13 Justice T., & Jamieson, D. W. (2012). The facilitator’s fieldbook: step-by-step procedures checklists and guidelines samples and temples (3rd ed.). New York: AMACOM. 미소장
14 Kaner, S., Lind, L., Toldi, C., Fisk, S., & Berger, D. (2014). Facilitator’s Guide to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15 Kaner, S., Lind, L., Toldi, C., Fisk, S., & Berger, D. (2014). Facilitator’s Guide to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3rd ed.). 구기욱 옮김 (2017). 민주적 결정방법론-퍼실리테이션 가이드. 서울: 쿠퍼북스. 미소장
16 Schuman, S. (Ed.). (2005). The IAF handbook of group facilitation: best practices from the leading organization in facilit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17 Schwarz, R. (2005). The Skilled Facilitator Approach. In S. Schuman (Ed.). The IAF handbook of group facilitation: best practices from the leading organization in facilitation (pp. 21-34).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