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초화학 교과에서의 주제별 모듈을 활용한 융합적 수업 모형의 운영 및 결과 분석 = A study on operational and result analysis of conversed curriculum based on module system by subject in basic chemistry class 황은경 p. 221-255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 focusing on Korean as general education : 교양 한국어를 중심으로 조윤정, 이정숙, 민진영 p. 259-284
대학생의 현실 인식 변화와 교양교육의 방향 = A study on the change of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works of Lee Mun-yol, Park Min-kyu, Kim Ae-ran, andJang Gang-myeong : 이문열, 박민규, 김애란, 장강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윤정업 p. 7-32
대학생 커뮤니티의 혐오표현 양상 = Hate speech in online college communities : with a focus on c university’s everytime(에브리타임) hot posts : C대학 에브리타임 핫게시물을 중심으로 최유숙 p. 33-53
공동창작으로 표현한 자화상을 통해 본 대학생들의 자기 인식 = An empirical study on co-created self-por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최윤경 p. 55-89
인성교육으로의 교양교육과 성격 계발 = General education and character development into personality education : focused on John Stuart Mill's character theory : 존 스튜어트 밀의 성격 이론을 중심으로 김은미, 최현철 p. 93-116
탈북자 소재 소설에 나타난 타자 수용의 윤리적 감성 = Korean's ethical affect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in Korean novels 윤정화 p. 157-184
대학 교양 과목 'NCS를 위한 실용 글쓰기'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제고 = A study of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liberal education subject ‘practical writing of NCS’ : focused on students' efficacy beliefs : 학습자 효능감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안미애, 이채영 p. 117-155
사회-통합적 관점에서의 발달장애아동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교양교육 연구 = A study on liberal education for the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a social-integrated perspective 정우영, 박성제, 권익진 p. 185-219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애란(2012), 『비행운』, 문학과 지성사. 미소장
2 박민규(2014), 『카스테라』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 20, 문학동네. 미소장
3 이문열(2005), 『젊은 날의 초상』 오늘의 작가 총서 12, 민음사. 미소장
4 장강명(2019), 『산 자들』, 민음사. 미소장
5 김기현(2014), 「1871년 영해동학혁명의 사료와 자취」, 『동학학보』 30호, 동학학회. 미소장
6 김상숙(2019), 「1987년 6월 민주항쟁과 이한열」, 『민주주의와 인권』 19권 2호, 전남대학교 5.18 연구소. 미소장
7 김정인(2018), 『대학과 권력 –한국 대학 100년의 역사』, 휴머니스트. 미소장
8 김형주(2017), 「‘촛불시대’의 도래와 남겨진 과제: 2000-2010 시기의촛불집회를 중심으로」, 『현대사회과학연구』 21권, 전남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미소장
9 도정일(2014), 「[특별기고] 대학교육에서 ‘교양’이란 무엇인가」, 『한겨레』, 2014년 2월 20일. 미소장
10 문양희(1978), 「해방 이후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발달에 관한 연구」, 『군자교육』 9호, 세종대학교. 미소장
11 슬라보예 지젝(2002),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미소장
12 윤선자(2010), 「광주학생운동 이후 학생운동의 변화」,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5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미소장
13 이완범(2014), 「4・19 전조(前兆)로서의 1960년 초봄 지역 시민운동:‘4・19’의 ‘대학생-서울’ 중심사관을 넘어서」, 『한국정치외교사 논총』 34권 2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미소장
14 이창호・김종길(2009), 「청소년들의 세대인식: 초・중・고・.대학생 집단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6권 1호, 미래청소년학회. 미소장
15 임미리(2016), 「한국 학생운동에서 대학생의 저항적 자살에 관한 연구」, 『기억과 전망』 34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미소장
16 정태석(2009), 「광우병 반대 촛불집회에서 사회구조적 변화읽기: 불안의 연대, 위험사회, 시장의 정치」, 『경제와 사회』 81호, 비판사회학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