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애란(2012), 『비행운』,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2 | 박민규(2014), 『카스테라』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 20, 문학동네. | 미소장 |
3 | 이문열(2005), 『젊은 날의 초상』 오늘의 작가 총서 12, 민음사. | 미소장 |
4 | 장강명(2019), 『산 자들』, 민음사. | 미소장 |
5 | 김기현(2014), 「1871년 영해동학혁명의 사료와 자취」, 『동학학보』 30호, 동학학회. | 미소장 |
6 | 김상숙(2019), 「1987년 6월 민주항쟁과 이한열」, 『민주주의와 인권』 19권 2호, 전남대학교 5.18 연구소. | 미소장 |
7 | 김정인(2018), 『대학과 권력 –한국 대학 100년의 역사』, 휴머니스트. | 미소장 |
8 | 김형주(2017), 「‘촛불시대’의 도래와 남겨진 과제: 2000-2010 시기의촛불집회를 중심으로」, 『현대사회과학연구』 21권, 전남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 미소장 |
9 | 도정일(2014), 「[특별기고] 대학교육에서 ‘교양’이란 무엇인가」, 『한겨레』, 2014년 2월 20일. | 미소장 |
10 | 문양희(1978), 「해방 이후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발달에 관한 연구」, 『군자교육』 9호, 세종대학교. | 미소장 |
11 | 슬라보예 지젝(2002),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 미소장 |
12 | 윤선자(2010), 「광주학생운동 이후 학생운동의 변화」,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5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미소장 |
13 | 이완범(2014), 「4・19 전조(前兆)로서의 1960년 초봄 지역 시민운동:‘4・19’의 ‘대학생-서울’ 중심사관을 넘어서」, 『한국정치외교사 논총』 34권 2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 미소장 |
14 | 이창호・김종길(2009), 「청소년들의 세대인식: 초・중・고・.대학생 집단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6권 1호, 미래청소년학회. | 미소장 |
15 | 임미리(2016), 「한국 학생운동에서 대학생의 저항적 자살에 관한 연구」, 『기억과 전망』 34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미소장 |
16 | 정태석(2009), 「광우병 반대 촛불집회에서 사회구조적 변화읽기: 불안의 연대, 위험사회, 시장의 정치」, 『경제와 사회』 81호, 비판사회학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