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병모(2018), 오토포이에시스, 단 하나의 문장, 문학동네 | 미소장 |
2 | 고선규(2019), 인공지능과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타커스. | 미소장 |
3 | 구본권(2016), 로봇시대, 인간의 길, 어크로스. | 미소장 |
4 | 권성규(2016), 글쓰기가 어려운 근원적 이유, 기계저널 56(5), 대한기계학회. | 미소장 |
5 | 김언(2016), 언제 올지 모르지만, 이미 오고 있는, 문장 생성기에 대한 고달픈 명상, 현대시학 563, 현대시학회, 49-59. | 미소장 |
6 | 김연순(2009), 기계인간에서 사이버휴먼으로, 성균관대출판부. | 미소장 |
7 | 김욱동(1998),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 미소장 |
8 | 인공지능시대의 글쓰기 직업과 인쇄출판소비 | 소장 |
9 | 게이비 우드(2004), 살아있는 인형-인공 생명의 창조, 그 욕망에 관한 이야기, 이제이북스. | 미소장 |
10 |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셀 루트번스타인(2007), 박종성 역, 생각의 탄생, 에코의서재. | 미소장 |
11 | 박진, 김행숙(2004), 문학의 새로운 이해, 청동거울. | 미소장 |
12 | 신범순, 조영복(2000), 깨어진 거울의 눈, 현암사. | 미소장 |
13 | 오윤호(2019), 인간을 매혹한 감정 기계, 2019 대중서사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대중서사학회. | 미소장 |
14 | 오새내(2018), 독해력은 인공지능 시대의 생존력이다, 말과글 155, 한국어문기자협회, 43-48. | 미소장 |
15 | 이광형(2019), 인간지능과 컴퓨터 연결하는 초지능 시대 선도해야, 중앙일보2019.10.17. | 미소장 |
16 | 이정엽(2017), AI를 통한 글쓰기와 작가의 운명 -コンピュータが小説を書く日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68, 현대소설학회, 104-131. | 미소장 |
17 | 월터 프릭(2017), 인공지능이 아직은 이 글을 쓸 수 없는 이유, 하버드비즈니스리뷰, 11-12. | 미소장 |
18 | 조재룡(2017), 시, 그리고 인공지능이 ..., 모:든 시(창간호), 48-74. | 미소장 |
19 | 최일규(2019), 구성적 인공지능의 오토포이에시스와 인간과의 윤리적 공생가능성, 대동철학 87, 대동철학회, 237-256. | 미소장 |
20 | 채호석(2018), Null의 세계, 문학사상 47-10, 문학사상사. | 미소장 |
21 | http://www.munhwada.net/home/m_view.php?ps_db=letters_ko&ps_boid=202(오태호의 여백 문학-‘미래의 백지’에 새길 ‘궁극의 한 문장’ 찾기)(검색일 : 2019. 5. 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