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재범·최믿음 (2013). 정치인 이미지 구성 요인과 유권자의 투표 행위. 광고연구, 98호, 154∼183. |
미소장 |
2 |
김춘식·김관규·이영화 (2008). 2007년 대통령선거 텔레비전 토론에 나타난 후보자의 캠페인수사 분석. 방송통신연구, 66호, 131∼159. |
미소장 |
3 |
김춘식·전영란 (2006). 1997년 대통령선거 후보자의 텔레비전 토론 수사 분석. 언론과학연구, 6권 1호, 75∼114. |
미소장 |
4 |
문성준·채기태·박선홍·장우식·신민아·김인희 (2014). 대북긴장 언론보도에 대한 남성과여성의 차이: 남성과 여성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관점 연구. 한국방송학보, 28권 5호, 46∼73. |
미소장 |
5 |
박노일·한정호·홍기훈 (2007). 여성 정치후보자의 미디어 프레임에 따른 남녀 수용자 인식 차이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2호, 256∼282. |
미소장 |
6 |
박선영 (2016).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국 대통령 예비선거과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61호, 261∼286. |
미소장 |
7 |
박세미·황하성 (2016). 정치인들의 선거 캠페인 수단으로서의 SNS 활용: 2015년 4·29 재·보궐선거를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7권 2호, 87∼95. |
미소장 |
8 |
박정의·성지연 (2006). 여성정치인 웹사이트의 비주얼 분석: 여성성의 인상관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0호, 119∼147. |
미소장 |
9 |
설진아·김활빈 (2008). 대중매체의 후보이미지 형성 및 유권자의 투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권 2호, 328∼352. |
미소장 |
10 |
송건섭 (2015).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후보자 선택모델: 지방선거조사의 종단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권 4호, 111∼135. |
미소장 |
11 |
송건섭·이곤수 (2011).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002년·2006년·2010년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권 3호, 49∼71. |
미소장 |
12 |
송경재·임정빈·장우영 (2016). SNS는 정치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정치정보 신뢰, 지지의전환 및 참여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7호, 154∼167. |
미소장 |
13 |
안종기·이내영 (2018). 투표선택에 미치는 정치후보자 이미지의 효과와 역할: 한국의 2012년제18대 대통령선거 분석. 한국정치연구, 27권 1호, 281∼314. |
미소장 |
14 |
안차수 (2011). 정치 후보자의 이미지 구성과 측정도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의 후보자 이미지 속성과 지지도 영향. 언론과학연구, 11권 4호, 321∼354. |
미소장 |
15 |
안혜정·이민주·정태연 (2012). 한국 사회와 정부에 대한 태도에서 진보·보수 집단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권 4호, 529∼552. |
미소장 |
16 |
유재웅 (2016). 이미지 관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17 |
이상묵 (2008). 지방선거제도 변화와 지방정치엘리트의 충원양상. 한국행정학보, 42권 1호, 123∼147. |
미소장 |
18 |
이수범·김희진 (2005). 17대 총선의 후보자 정치 광고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9권 1호, 102∼125. |
미소장 |
19 |
이승희·임소혜 (2014). 트위터의 매체 간 의제설정: TV 토론 방송과 트위터의 여론 형성 과정에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1호, 139∼149. |
미소장 |
20 |
이재호·조긍호 (2014). 정치성향에 따른 도덕판단기준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권 1호, 1∼26. |
미소장 |
21 |
이제영 (2012). 2012 여성 대선후보 정치인 이미지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28호, 145∼182. |
미소장 |
22 |
이철한 (2013). 정치담론의 기능적 분석연구: 2011년 서울시장 선거 텔레비전 토론.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30호, 159∼185. |
미소장 |
23 |
이효복·최지혜·김지현 (2018). 퍼스널 브랜드로서의 지방자치단체장 이미지 구성 요인과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9권 6호, 147∼170. |
미소장 |
24 |
전혜진·김양수 (2012). 대통령 후보자의 이미지와 지지성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의 젊은세대 유권자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22권 2호, 1∼27. |
미소장 |
25 |
정은경·정혜승·손영우 (2011). 진보와 보수의 도덕적 가치 판단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권 4호, 93∼105. |
미소장 |
26 |
최영재 (2006). 정치인의 이미지 관리: 언어 및 비언어 메시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1호, 378∼405. |
미소장 |
27 |
탁진영 (2017). 젊은 유권자의 이상적인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36권 1호, 33∼70. |
미소장 |
28 |
황성욱·베노이트 (2008). 2006년 서울 시장선거 후보 TV 토론회 캠페인 담론분석: 베노이트의기능이론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3권 11호, 267∼301. |
미소장 |
29 |
황성욱·조윤용 (2017). 일반인의 평판,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개인 평판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9권 4호, 35∼63. |
미소장 |
30 |
The Effects of Counterstereotypic Gender Strategies on Candidate Evaluations  |
미소장 |
31 |
Acclaiming, attacking, and defending in presidential nominating acceptance addresses, 1960–1996  |
미소장 |
32 |
Benoit, W. L. (1999a). Seeing spots: A functional analysis of presidential television advertisements, 1952-1996. Westport, CT: Praeger. |
미소장 |
33 |
Benoit, W. L. (2011). A functional analysis of the 2011 English language Canadian prime minister debate. Contemporary Argumentation & Debate, 32, 45∼69. |
미소장 |
34 |
A Functional Analysis of American Vice Presidential Debates  |
미소장 |
35 |
Functions of the great debates: Acclaims, attacks, and defenses in the 1960 presidential debates  |
미소장 |
36 |
Functional Theory and Political Discourse: Televised Debates in Israel and the United States  |
미소장 |
37 |
A Functional Analysis of 2004 Taiwanese Political Debates  |
미소장 |
38 |
Boorstin, D. J. (1962). The image: A guide to pseudo-events in America. New York, NY:Vintage. |
미소장 |
39 |
A Functional Analysis of the 2007 and 2012 French Presidential Debates  |
미소장 |
40 |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andidate Image Evaluations in the 2012 Iowa Caucuses  |
미소장 |
41 |
Components of candidate imag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ssue‐persona dichotomy in the presidential campaign of 1996  |
미소장 |
42 |
Intuitive ethics: how innately prepared intuitions generate culturally variable virtues  |
미소장 |
43 |
Presidential television advertising and public policy priorities, 1952–2000  |
미소장 |
44 |
Gender, Candidate Image and Electoral Preference  |
미소장 |
45 |
Online Political Mobilization from the Advocacy Group's Perspective: Looking Beyond Clicktivism  |
미소장 |
46 |
Reputation and imperfect information  |
미소장 |
47 |
A Functional Analysis of the 2002 Korean Presidential Debates  |
미소장 |
48 |
Lippmann, W. (1922). Public opinion. 이동근 (역) (2013). 여론.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49 |
The Interaction of Issue and Image Frames on Political Candidate Assessment  |
미소장 |
50 |
Schematic Assessments of Presidential Candidates  |
미소장 |
51 |
The dynamic construction of candidate image  |
미소장 |
52 |
It's complicated: Facebook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2008 election.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