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중국 요(遼)나라의 승려인 사효(思孝, 11세기)는 『묘법연화경』제25품인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주석하여 『삼현원찬(三玄圓贊)』을 저술하였고, 또 이를 직접 과문(科文)하여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이하 ‘삼현원찬과문’이라 약칭)을 작성하였다. 그런데 『삼현원찬』은 현존하지 않고, 『삼현원찬과문』만이 우리나라에 남아 있어 보물 제 204호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삼현원찬과문』은 대단히 귀중한 문헌이며, 이를 통해서 『삼현원찬』의 내용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삼현원찬과문』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서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삼현원찬』은 규기(窺基, 632∼682)의 『법화경현찬(法華經玄贊)』과 깊은 관계에 있다. 규기는 『묘법연화경』을 나눌 때 팔품정종과(八品正宗科)와 팔품유통과(八品流通科)의 두가지 견해를 세우고, 또 팔품유통과에서 정종분(正宗分) 19품을 명일승경(明一乘境)·명일승행(明一乘行)·명일승과(明一乘果)로 3분하였다. 이러한 견해를 사효도 따르고 있다. 또 규기는 6門을 세워서 『법화경』을 주석했는데 사효도 마찬가지로 6문을 세우고 있다.
둘째. 사효는 『능엄경』 권6에서 관세음보살을 설명하는 개념인 2수승(殊勝)·32응현(應現)·14무외(無畏)·4묘덕(妙德)의 개념을 사용해서 「보문품」을 해석하고 있다. 『능엄경』 권6과 『묘법연화경』「보문품」은 그 내용도 다르고 등장인물도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능엄경』 권6에 나오는 개념을 가지고 「보문품」을 해석한 것이 특징이다. 『묘법연화경』이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에 의해 한역(漢譯)된 것이 4세기경이고 『능엄경』이 중국에서 찬술된 것이 8세기이므로, 후대에 등장한 『능엄경』의 개념을 사용해서 『묘법연화경』을 해석한 것이다. 이것은 관음신앙(觀音信仰)의 유행에 있어서 『능엄경』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보물 제204호로 지정되어 있는 본 간본은 원래 의천(義天, 1055∼1101)이 간행한 교장(敎藏)의 초간본(初刊本)으로서 1099년에 대흥왕사(大興王寺)에서 간행된 것이다. 그 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세조(世祖, 1455∼1468재위)때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복각(覆刻)된 것이라 추정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보물 제204호, 문화재청) | 미소장 |
2 | 『妙法蓮華經』(대정장 9) | 미소장 |
3 | 『楞嚴經』(대정장 19) | 미소장 |
4 | 窺基, 『妙法蓮華經玄贊』(대정장 34) | 미소장 |
5 | 義天, 『新編諸宗敎藏總錄』(대정장 55) | 미소장 |
6 | 坂木行男, 『法華經の中國的展開』, 日本: 平樂寺書店, 1972. | 미소장 |
7 | 박광연, 『신라법화사상사 연구』, 서울: 재단법인 한국연구원, 2013. | 미소장 |
8 | 라정숙,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와 고려의 관음신앙」, 역사와 현실71, 한국역사연구회, 2009. | 미소장 |
9 | 朴奉石, 「義天續藏の現存本に就て」, 朝鮮之圖書館3권 6호, 1934. | 미소장 |
10 | 野上俊靜,「遼代の學僧思孝について-房山石經の一つの紹介」, 『佛敎の歷史と文化:佛敎史學會30周年記念論集』, 同朋社, 198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