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晚清 중국인들의 이국 여정을 복원하다 = Restore the overseas journeys of the Chinese people in the late Qing Dynasty : focusing on the data utilization of the late Qing Zhuzi Ci poems about foreign lands : 晚清 海外竹枝詞의 자료활용을 중심으로 김화진 p. 99-119
<담낭전> 이본으로서 『허생젼』의 자료적 특징과 가치 = A study on the data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HuhSaengjeon』 as a version of <Damnangjeon> 신희경, 김영 p. 77-97
랭보의 「불가능」의 절대적 불가능 = Rimbaud's absolute impossibility of L'Impossible 신옥근 p. 169-190
위를 향한 추락 = Upward falling : America seeing itself in Chang-rae Lee's Aloft : 창래 리의 『어로프트』와 미국을 바라보는 미국의 시선 박선주 p. 209-232
재일문학의 북한 표상 = North Korea represented in Zainichi Korean literature : Jini's Puzzle written by Che Sil : 최실의 『지니의 퍼즐』 김계자 p. 149-167

천문의 상징 기호에 대한 이해 = The understanding of astronomical symbol : focusing on shamanistic symbol sky disk, Myongdo : 무속의 상징물 명도를 중심으로 최진아 p. 1-45
A. Culioli의 언어이론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theory of A. Culioli. 3, Integration of Benveniste to schematic form . 3, Benveniste의 총합에서 도식적 형태까지 이선경 p. 191-208
복장(腹藏)과 한국 불교미술사 연구 = The Bokjang and studies of Korean Buddhist art history : the state of the field : 회고와 전망 이승혜 p. 47-76
『동화 토지』에 드러난 『토지』 스토리텔링의 특징 = The study of children's story 'Toji' 김예니 p. 121-148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王慎之⋅王子今輯, 『清代海外竹枝詞』, 北京:北京大學出版社, 1994. 미소장
2 王利器⋅王慎之⋅王子今輯, 『歷代竹枝詞』, 西安:陝西人民出版社, 2003. 미소장
3 丘良任等編, 『中華竹枝詞全編』, 北京:北京出版社, 2007. 미소장
4 丘良任, 『竹枝紀事詩』,廣州:暨南大學出版社, 1994 미소장
5 王之春, 『使俄草』, 長沙:岳麓書社, 2016. 미소장
6 尤侗, 『外國竹枝詞』(규장각소장본). 미소장
7 文志華, 『尤侗事迹征略』, 廣西師範大學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8 尹德翔, 「『中華竹枝詞全編・海外卷』補遺」, 『寧波大學學報』, 2011.5. 미소장
9 尹德翔, 『晚清海外竹枝詞考論』, 北京:人民社會科學出版社, 2016. 미소장
10 周作人, 『過去的工作』, 河北:河北教育出版社, 2001. 미소장
11 張祖翼⋅王以宣⋅潘飛聲著, 『倫敦竹枝詞・法京紀事詩・西海紀行卷・柏林竹枝詞・天外歸槎錄』, 長沙:岳麓書社, 2016. 미소장
12 路成文⋅楊曉妮, 「『倫敦竹枝詞』作者張祖翼考」, 『聊城大學學報』, 2012.3. 미소장
13 陳室如, 『近代域外遊記研究(1840 1945)』, 台灣:文津出版社, 2008. 미소장
14 陳道華⋅姚鵬圖著, 『日京竹枝詞 扶桑百八吟』, 長沙:岳麓書社, 2016. 미소장
15 夏曉虹, 「吟到中華以外天-近代“海外竹枝詞”」, 『讀書』, 1988.12. 미소장
16 夏曉虹, 「近代外交官廖恩燾詩歌考論」, 『中國文化』, 2006.2. 미소장
17 夏曉虹, 「黃遵憲與早期『申報』關系追蹤」, 『南京師範大學文學院學報』, 2007.1 미소장
18 黃遵憲⋅鍾叔河輯校, 『日本雜事詩廣注』, 長沙:湖南人民出版社, 1981. 미소장
19 劉雨珍, 「黃遵憲『日本雜事詩』源流述論」, 『日本研究論集』, 1999.3. 미소장
20 鍾叔河, 『走向世界叢書』, 長沙:岳麓書社, 1985. 미소장
21 錢鍾書, 「漢譯第一首英語詩「人生頌」及有關二三事」, 『七級集』,上海古籍出版社, 1994. 미소장
22 顧柄權編, 『上海洋場竹枝詞』, 上海:上海書店出版社, 1996. 미소장
23 嚴迪昌, 『清詩史』上冊,杭州:浙江古籍出版社, 2002. 미소장
24 揖斐 高, 「竹枝の時代-江戸後期の風俗詩」 (詩歌にあらわれた思想-1-「特集」) 日本思想史, ぺりかん社, 1983. 미소장
25 Mark Borer, 「亜墨竹枝論-江戸後期における竹枝詞の新展開」, 岩波書店, 1999. 미소장
26 深澤 一幸, 「1895年の四都竹枝詞-ベルリンとロンドンの歌」, 言語文化研究, 通號36, 大阪大學大學院言語文化研究科, 2010. 미소장
27 王之春の「東京雑詠」「東京竹枝詞」 네이버 미소장
28 김화진, 「청말 해외견문록에 나타난 서양 인식과 개혁담론」,『인문과학연구』 39, 2019. 미소장
29 메리 루이스 프랫 지음, 김남혁 옮김, 『제국의 시선-여행기와 문화횡단』, 서울: 현실문화, 2015. 미소장
30 박종훈, 「淸 柏葰의 <朝鮮竹枝詞>에 드러난 朝鮮認識」, 『한국언어문화』 44, 2011. 미소장
31 박준원, 「淸代 朝鮮竹枝詞 硏究」, 『경성대학교 논문집』 19, 1998. 미소장
32 박현규, 「중국 초기 죽지사고」, 『중어중문학』 제16집, 한국중어중문학회, 1994. 미소장
33 신하윤, 「청대 풍토시에 나타난 조선 사회와 문화」, 『교수학술제』 14, 2006. 미소장
34 신하윤, 「서진 「조선죽지사」에 나타난 청인의 조선인식」, 『중국문학』 52, 2007. 미소장
35 정생화, 「우동의 「조선죽지사」에 대하여」, 『한국한문학연구』 48, 2011. 미소장
36 홍인표, 「청말 상해죽지사에 표현된 상해 경극희원의 공연활동 특징」, 『중국문학연구』 57, 201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