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구명진, 김난도, 김소연, 나종연, 이정성, 최현자(2015). 소비가치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소비자학연구, 26(6), 235-266. |
미소장 |
2 |
구은자, 박수진, 안성식(2016). 공연예술에 대한 가치가 태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9), 543-551. |
미소장 |
3 |
국승희(2009). 무용공연 관람객의 공연선택 및 관람후 행동모형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4 |
권미정, 남인용(2012). 공연예술에서 영상 미디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8, 1-24 |
미소장 |
5 |
김경자(2015). 한·일 대학생 소비자의 소비가치 비교연구. 소비문화연구, 18(4), 221-240. |
미소장 |
6 |
김기수, 심재현(2014). 영화관의 소비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2(4), 73-83. |
미소장 |
7 |
김기영, 유원용(2008). 무용공연의 환경요인과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의 관계. 무용역사기록학, 14, 39-60. |
미소장 |
8 |
김범석(2016). 공연예술 선택속성이 긍정적 사후가치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벤처대학원. |
미소장 |
9 |
김보름, 천혜정(2016). 국악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 및 관람만족도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4(1), 1-27. |
미소장 |
10 |
김소정, 김형준(2013). 소비가치가 명품브랜드의 진품과 복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6(4), 129-142. |
미소장 |
11 |
김은주(2013). 동기부여요인이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예술경영학연구. 6(2), 27-52. |
미소장 |
12 |
김은향(2000). 한국 공연예술 활성화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3 |
김주전(2014). 건강적 가치가 소비가치, 브랜드 이미지, 환자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4 |
김중현(2010). 전통공연예술의 외래 관광객 유치를 위한 상품화 방안. 공연문화연구, 21, 165-210. |
미소장 |
15 |
김현아, 류충완, 조선하(2015). 무용공연의 관객이 인지하는 혼잡지각요인이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6), 717-727. |
미소장 |
16 |
김현정(2015). 공연예술 관람객의 소비성향 분석을 통한 무용공연 관객유치전략.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7 |
남수정(2007). 소비자의 개인/집단주의 성향과 소비가치가 소비에 대한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0(3), 59-86. |
미소장 |
18 |
남정미, 유소이(2015). 계획적 행동이론의 확장모델을 적용한 공연예술상품의 소비자 행동분석. 소비문화연구, 18(2), 63-88. |
미소장 |
19 |
노은영(2013). 문화소비 유형에 따른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 인식과 소비의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0 |
명소형(2016). 소비가치에 따른 브랜드장류의 소비성향이 제품선택속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카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1 |
박다인, 김대진(2016). 뮤지컬 반복관람자들의 소비가치에 따른 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 경영교육연구, 31(4), 165-189. |
미소장 |
22 |
박명숙(2014). 음악공연의 관람가치,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7), 115-124. |
미소장 |
23 |
박명호, 조형지(1999). 고객만족의 재정립. 한국마케팅저널, 1(4), 126-152. |
미소장 |
24 |
박배진, 김시월(2006). 한·일 대학생 소비자의 소비가치, 브랜드동일시와 소비자-브랜드 관계 연구. 소비자학연구, 17(4), 113-143. |
미소장 |
25 |
박선우, 박인자(2014). 무용학습 경험에 따른 무용 공연 선택요인 및 재관람 의사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5(4), 165-182. |
미소장 |
26 |
박선우, 윤혜현(2015). 공정무역커피 구매고객의 소비가치와 태도 및 행동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외식경영연구, 18(6), 181-203. |
미소장 |
27 |
박은아(2011). 공연예술 고객경험가치가 관계품질과 공연기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8 |
박은아, 김은정, 전수경, 이용기(2016). 공연예술 관객체험가치가 액션플로우, 공연만족, 그리고 공연주최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4), 133-145. |
미소장 |
29 |
박화선, 민동규, 권현오, 송창대(2016). 공연 만족이 행동의도 및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30(1), 305-321. |
미소장 |
30 |
변길현, 이혜진, 강신겸(2014). 미술관 관람객의 서비스 품질 인식과 만족도 분석. 문화경제연구, 17(2), 137-159. |
미소장 |
31 |
서구원, 김경선(2009). 뮤지컬공연 서비스의 마케팅 믹스요소와 관람동기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7(2), 65-88. |
미소장 |
32 |
서문식, 신미숙, 하승범, 이셋별(2015). 문화예술공연 관람 시 평가되는 서비스 품질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연구. 소비문화연구, 18(1), 31-58. |
미소장 |
33 |
서순경(2009). 외국인의 한국무용이미지가 한국문화만족도 및 한국문화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4), 435-445. |
미소장 |
34 |
손민호(2004).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무용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35 |
송은아, 표원섭, 임준묵(2017). 뮤지컬 공연에서 관객의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4), 37-47 |
미소장 |
36 |
신혜승, 한주희(2017). 공연예술 선택특성이 비주류 공연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41(6), 63-80. |
미소장 |
37 |
오하나(2016). 뮤지컬 관람객의 작품 구매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관람객 만족을 통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
미소장 |
38 |
오혜영(2015). 생물학적 연령과 주관적 연령의 인지가소비가치와 소비자소외감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소비자학연구, 26(5), 173-200. |
미소장 |
39 |
원종현, 정재은(2015). 소비가치에 따른 1인 가구 세분화와 구매행동. 소비자학연구, 26(1), 73-99. |
미소장 |
40 |
이동수, 최현주, 설민신(2016). 고객만족에 미치는 공연 서비스 품질 결정요인. 한국체육과학회지, 25(3), 905-914. |
미소장 |
41 |
이루지(2006). 무용공연 관객의 관람만족도가 재관람 의사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8(4), 137-145. |
미소장 |
42 |
이병관, 서희주(2015). 문화소비성향이 문화소비가치 및 무용예술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73(1), 189-208. |
미소장 |
43 |
이상원(2003). 공연예술 마케팅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44 |
이숙정, 한은경(2013). 소비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4(8), 257-275. |
미소장 |
45 |
이정학(2006). 관람 소비수준에 따른 마케팅믹스 요인이 무용공연 만족도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7(4), 156-163. |
미소장 |
46 |
이정학, 이용건, 이지혜(2012). 무용공연장 마케팅믹스 요인이 공연 관람객만족과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8, 279-289. |
미소장 |
47 |
이창원(2013). 명품브랜드의 소비가치, 브랜드동일시, 브랜드애착, 소비자행복의 관계와 자기감시성의 조절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48 |
이채은(2010). 고객의 소비성향과 소비가치에 따른 호텔선택 결정속성이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49 |
임기흥, 전지현(2015). 서비스경영의 융복합 산업에서 온라인 가격할인과 뮤지컬 명성이 관람객의 만족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10), 157-163. |
미소장 |
50 |
장선애(2010). 무용공연예술의 효율적인 기획과 마케팅의 방안. 공연문화연구, 21, 491-527. |
미소장 |
51 |
정수현, 김숙연, 김재환, 이정화(2013).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소비가치가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14(5), 229-249. |
미소장 |
52 |
정정은(2006). 무용 공연예술의 활성화 방안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53 |
정제윤(2012). 공연예술서비스의 고객만족과 재관람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미소장 |
54 |
주영애, 홍영윤(2016). 소비자의 문화소비성향과 문화서비스속성이 문화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244-257. |
미소장 |
55 |
주종현(2017). 관객의 소비가치를 통한 공연예술 관람 행동의도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56 |
주종현, 윤미라(2017). 목표 지향적 행동모델을 적용한 관객의 공연예술 관람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5(2), 213-242. |
미소장 |
57 |
진소현, 이미혜(2011). 파티이벤트 소비가치가 소비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명연지, 12(1), 107-134. |
미소장 |
58 |
차민경(2013). 공연예술 소비자의 소셜미디어 이용 가치사슬 구조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59 |
최정은(2011). 창작발레관람의 소비가치에 따른 시장세분화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60 |
최준영(2015). 문화예술상품 속성 및 문화소비성향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61 |
한승엽, 김흥렬, 윤설민, 장윤정(2007).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관광연구, 22(3), 323-339 |
미소장 |
62 |
한현숙(2015). 소비가치가 공연이벤트의 선호도와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경영연구, 19(4), 203-224. |
미소장 |
63 |
허은영, 김성규, 최도인(2006). 공연예술 전문 투자조합 설립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미소장 |
64 |
홍미성, 조진희(2012). 무용관객의 공연만족이 관여도와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7, 43-59. |
미소장 |
65 |
It is all about the emotional state: Managing tourists’ experiences  |
미소장 |
66 |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
미소장 |
67 |
Holbrook, M. B.(2006). Consumption experience, customer value, and subjective personal introspection: An illustrative photographic essa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6), 714-725. |
미소장 |
68 |
Exploring repurchase intention in a performing arts context: who comes? and why do they come back?  |
미소장 |
69 |
LeBlanc, G. & Nguyen, N.(1999). Listening to the Customer's Voice: Examining Perceived Service Value among Business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ing, 13(4), 187-198. |
미소장 |
70 |
Morganosky, M. A. & Buckley, H. M.(1987). Complaint behavior: Analysis by demographics, lifestyle, and consumer valu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4(1), 223-226. |
미소장 |
71 |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es in retail settings.  |
미소장 |
72 |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1991). What We Buy What We Buy: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 159-170. |
미소장 |
73 |
Arts Consump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ersonal Well-Being: A Study of Performing Arts in Hong Kong  |
미소장 |
74 |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
미소장 |
75 |
Van der Haar, J. W., Kemp, R. G., & Omta, O.(2001). Creating value that cannot be copied.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0(8), 627-636. |
미소장 |
76 |
Customer value: The next source for competitive advantage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