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Innovation: Mapping the winds of creative destruction 네이버 미소장
2 Subjective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3 CAPABILITIES AS FUNDAMENTAL ENTITLEMENTS: SEN AND SOCIAL JUSTICE 네이버 미소장
4 What is the Good Life? Positive Psychology and the Renaissance of Humanistic Psychology 네이버 미소장
5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6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네이버 미소장
7 Sen, A. (1980). “Equality of what.” In S. McMurrin (Ed.), The Tanner Lectures of Human Values (pp. 257-280). Salt Lake City: Univ of Utah Press. 미소장
8 Sen, A. (1985). Commodities and Capabilities. Amsterdam: North Holland. 미소장
9 Tatarkiewicz, W. (1976). Analysis of Happiness. Warsaw: Polish Scientific Publisher. 미소장
10 강성진. (2010).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한국경제학회> 58(1), 5-36. 미소장
11 구교준・임재영・최슬기. (2015). “행복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부학연구> 21(2), 95-130. 미소장
12 구교준・임재영・최슬기. (2017). <무엇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서울: 집문당. 미소장
13 김명소・한영석. (2006).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조사연구> 7(2), 1-38. 미소장
14 김승권・장영식・조흥식・차명숙. (2008). <한국인의 행복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15 박승규. (2016). <2015년 지역생활권 지표 구축 및 주민행복도 조사>. 서울: 지역발전위원회. 미소장
16 변미리・민보경・박민진. (2018). <서울형 행복지표 구축과 제도화 방안>. 서울: 서울연구원. 미소장
17 원태연・정성원(2010). <통계조사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미소장
18 이우민・서승연・이경환. (2016).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대한실증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2), 351-360. 미소장
19 이희철・구교준. (2019). “역량 중심의 국민행복지수: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3), 115-140. 미소장
20 정명은・김미현・장용석. (2014). “서울시민의 행복과 사회자본 관계 분석: 행복한 시민, 따뜻한 지역공동체.” <서울도시연구> 15(1), 163-186. 미소장
21 조병구 외. (2018). <국민행복지표 개발 연구>. 세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미소장
22 최은수・최인철・최종안. (2019). “대한민국 행복 지도: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대한민국 지역별 행복 비교.”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8(4), 647-667. 미소장
23 최종안. (2019). “강원도 지역의 행복 진단.” <사회과학연구> 58(2), 101-122. 미소장
24 한민・최인철・김범준・이훈진. (2011).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소.”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미소장
25 한민・최인철・김범준・이훈진・김진형. (2012). “한국인의 마음지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435-464. 미소장
26 황명진・심수진. (2008). “한국의 행복지수 개발.” <조사연구> 9(3), 93-117.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