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식민지기 유교 고등교육과 명륜전문학교 = Confucian higher education in Korea's colonial period and Myeongryun Professional School(明倫專門學校) / 尹海東 1
목차 1
I. 머리말 1
II. 경학원과 유교, 그 식민지적 모호함 4
1. 경학원과 향교 4
2. 유교 - 일본과 조선의 다른 길 8
III. 명륜학원과 유교교육 11
1. 각종학교 명륜학원의 설립 11
2. 본과와 연구과 혹은 俗과 聖 15
3. 학교재정과 졸업생 28
IV. 황도유학과 전문학교로의 도약 35
V. 맺음말 41
부표 46
참고문헌 50
국문요약 53
Abstract 5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동아일보』 | 미소장 |
2 | 『매일신보』 | 미소장 |
3 | 『중외일보』 | 미소장 |
4 | 『經學院雜誌』 | 미소장 |
5 | 『朝鮮』 | 미소장 |
6 | 『文敎の朝鮮』 | 미소장 |
7 | 『朝鮮總督府官報』 | 미소장 |
8 | 『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職員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item/) | 미소장 |
9 | 『제10-13回 中樞院會議參議議事錄』, 1930-1933, 국사편찬위원회 마이크로필름. | 미소장 |
10 | 성균관대학교사편찬위원회, 『成均館大學校史 1398-1978』,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78. | 미소장 |
11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육백년사(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 미소장 |
12 | 安寅植, 『嵋山文稿』, 文潮社, 1973. | 미소장 |
13 | 大同文化學院編 『大同文化學院要覽』, 1933. | 미소장 |
14 | 二松學舍, 『二松學舍六十年史要』, 1937. | 미소장 |
15 | 강인철, 『종속과 자율 – 대한민국의 형성과 종교정치』, 한신대학교 출판부, 2013. | 미소장 |
16 | 강해수, 「‘황도유학’과 도의 담론, 그리고 식민지조선」, 『한국학연구』 28집, 2012. | 미소장 |
17 | 강해수, 「“皇道에 醇化․融合된 유교‘로서의 ’황도유학(교)‘ 담론」, 『한국학연구』 52집, 2019. | 미소장 |
18 | 김명우, 「일제 식민지시기 향교 연구」,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19 | 김순석, 「일제강점기 향교재산관리규칙 연구」, 『태동고전연구』 33집, 2014. | 미소장 |
20 | A Study on Changes in the Confucian Ritua1 Called Seokjeon(釋奠) Held at Gyeonghagwon(經學院) in the Period of Japanese Rule | 소장 |
21 | 김자중,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정책의 성격 규명」, 『교육문제연구』 72집, 2019. | 미소장 |
22 | 김정인, 「일제강점기 향교의 변동 추이」,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7집, 2006. | 미소장 |
23 | 김필동, 「일제 말기 한 젊은 사회학자의 초상 : 신진균론(1)」, 『한국사회학』 51-1, 2017. | 미소장 |
24 | 김필동, 최태관, 「한국사회학의 개척자 김현준의 재발견」, 『사회와 역사』 122집, 2019. | 미소장 |
25 | 류미나, 「식민지권력에의 ‘협력’과 좌절 ― 經學院과 향교 및 문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36, 2005. | 미소장 |
26 | 류미나, 「식민지기 조선의 명륜학원 : 조선총독부의 유교지식인 정책과 조선인의 대응」, 『교육사학연구』 제17집 제1호, 2007. | 미소장 |
27 | 류미나, 「일본의 ‘공자묘 대중화 정책’과 조선 내 공자묘 인식의 변화」, 『인문논총』 64집, 2010. | 미소장 |
28 | 류미나, 「조선의 ‘황도유학’ 전개과정과 일본제국주의의 확장」, 『한일관계사연구』 63집, 2019. | 미소장 |
29 | 리영희, 대담 임헌영, 『대화』, 한길사, 2005. | 미소장 |
30 | 박영미, 「경학원에 보이는 근대 일본 유학의 경향 – 동경사문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일본학연구』 27집, 2009. | 미소장 |
31 | 박영미, 「일제 강점기 한문고등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소고」, 『한국한문학연구』 제59집, 2015. | 미소장 |
32 | 사이토 마레시(齋藤希史), 허지향 역, 『한자권의 성립』, 글항아리, 2018. | 미소장 |
33 | 송찬섭, 『서당,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에서』, 서해문집, 2018. | 미소장 |
34 | 오현수, 「나쓰메 소세키의 작가 이전에 관한 일고찰 – 요세 출입에서 니쇼오학사 입학까지」, 『일본학보』 42권, 1999. | 미소장 |
35 | 윤해동, 「한국 근대 고등교육의 기원과 ‘식민지대학 체제’의 형성」, 윤해동․정준영 편, 『경성제국대학과 동양학 연구』, 선인, 2018. | 미소장 |
36 | 이동진, 「식민지시기 일본 유학생과 한구사회학 – 이상백, 김두헌, 신진균을 사례로」, 『사회와 이론』 33집, 2018. | 미소장 |
37 | 이용범, 「김태준의 사상자원과 학술실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38 | 이윤석,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경성제국대학 강의노트 내용과 의의」, 『동방학지』 제177집, 2016. | 미소장 |
39 | 이황직, 「해방정국의 청년 유교단체 ‘대동회’ 연구」, 『사회이론』 45집, 2015. | 미소장 |
40 | 이황직, 「해방 이후 유교 근대화 시도에 대한 분석과 평가 : 1947-1950년 유도회활동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50집, 2016. | 미소장 |
41 | 장진영, 「일제강점기 釋奠의 변질과 해방 후의 規正」, 『고전과 해석』 17집, 2014. | 미소장 |
42 | 정선이, 「일제 강점기 고등교육 졸업자의 사회적 진출 양상과 특성」, 『사회와 역사』 77집, 2008. | 미소장 |
43 | 정세현, 「공자제를 통한 경학원과 사문회의 교류」, 『한문학보』 35집, 2016. | 미소장 |
44 | 정욱재, 「일제 협력 유림의 유교인식」, 『한국사학사학보』 16호, 2007. | 미소장 |
45 | 정욱재, 「1910~1920년대 경학원의 인적 구성과 역할 : 사성과 구사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제30권 제1호, 2007. | 미소장 |
46 | 정욱재, 「조선유도연합회의 결성과 ‘황도유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3집, 2009. | 미소장 |
47 | 정욱재, 「20세기 초 일제 협력유림의 경학원 활동: 이대영(1874-1950)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56호, 2014. | 미소장 |
48 | 정욱재, 「1920년대 식민지 조선 유림과 일본의 湯島聖堂」, 『민족문화연구』 71호, 2016. | 미소장 |
49 | 정은진, 「무정 정만조의 「朝鮮近代文章家略敍」 연구」, 『한문학논집』 36집, 2013. | 미소장 |
50 | 정일균, 「일제의 무단통치와 경학원」, 『사회와역사』 76호, 2007. | 미소장 |
51 | 조남욱․조윤래, 「일제시대의 한국유교와 유교교육」, 『한국민족문화』 16집, 2000. | 미소장 |
52 | 李曉辰, 『京城帝國大學の韓國儒敎硏究:近代知の形成と展開』, 勉誠出版, 201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