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신빙성 없는 서술자에 대한 인지적 논의의 흐름을 일별하고 <치숙>의 수용사를 분석함으로써, 서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독자가 인지적 틀을 능동적으로 투사하거나 문화적으로 제약을 받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논의는 최근 수사적 접근이 직면한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지서사학에 기반을 둔 독자 중심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인지적 관점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자는 텍스트의 의미론적 모호함, 충돌하는 목소리, 스토리와 서술의 모순 등을 자연화하려는 독자 해석의 산물이다. 서술자의 신빙성에 대한 독자의 판단은 개인적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적이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역사적으로 가변적이다. 이런 점에서 <치숙>의 수용사는 신빙성 판단의 다양성과 가변성을 예시하는 흥미로운 사례로, 이 연구에서는 수용사에 나타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변천을 ‘풍자라는 문학적 틀과 ‘추악’의 신빙성 없음’, ‘레드 콤플렉스의 제약과 친일적 개인주의자의 신빙성 없음’, ‘문학적 틀의 수사적 전회와 무지한 반사회주의자의 신빙성 없음’, ‘성차별의 문제의식과 서술자의 중층적 신빙성’으로 살폈다. 이러한 분석은 인지적 접근의 통찰을 독자 개인의 주관성과 다양성에서 공동체의 문화적 제약과 역사성으로서 심화한 시도로, 수용사에 나타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변천을 맥락적으로 추적한 문화사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독자 개인과 해석 공동체의 관습적 수용을 반성하고 수정하면서 신빙성 판단에 매개된 자기를 성찰적으로 이해하는 해석학적 작업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of discussion of unreliable narrators and analyzes the reader’s appropriation of “Chi-suk” to understand aspects readers project the frame or are restricted by culture. The discussion of the unreliable narrator, which started at Wayne Booth,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rhetorical approach, and is recently undergoing a cognitive exhibition based on cognitive narrative. An unreliable narrator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is the product of an interpretation strategy created by the reader’s efforts to naturalize the ambiguity and contradictions of the narrator found in the text. the reception history of Chi-Suk is an interesting example that illustrates the diversity and variability of judgments about unreliable narrators. In this study, I examined four changes of unreliable narrator in reception history, ‘the literary framework of satire and unreliability of ugly’, ‘constraints by red complex and unreliability of pro-japanese individualists’, ‘rhetorical return of the literary framework and unreliability of ignorant anti-socialist’, ‘problem conscious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layered unreliability of narrator’. This analysis reconstructs the reception history of unreliable narrator and has significance as a cultural history study. It is also a process of reflectively understanding one’s self-mediated unreliability, reflecting on and modifying the customary acceptance of readers and interpretive communit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인지적 전회와 신빙성 판단의 역사성 = A study on the cognitive return of unreliable narrator and historicity of judgment on reliability : <치숙>의 수용사를 중심으로 이인화 p. 143-169

고등학교 진로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연구 = A study on literary education as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 <경기 꿈의 대학> 수업 사례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박은진 p. 247-297

실존주의를 통한 인물의 주체성 이해와 문학 감상 교육 = Understanding the subjectivity of characters through existentialism and education of literature appreciation : focusing on the 'Wu zixu' and 'Fan li' in <Wu-Yue Chunqiu> : <오월춘추>의 등장인물 '오자서'와 '범려'를 중심으로 배재훈 p. 105-141

문학교육 연구에서 독자 반응 이론의 행방(行方)과 향방(向方) = Whereabouts and directions of reader-response theory in the research of literature education : focusing on the research in Korea since 1985 : 1985년 이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강민규 p. 33-72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문학 독서 교육 = Literary reading education under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김동환 p. 9-29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에 대한 문학교육론적 회의 = The doubt about alignment of curriculum-class-evaluation in terms of literature education 류수열 p. 225-24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s of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황윤정 p. 171-221

예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에 대한 시론 = Literature education as art education : 창작교육을 중심으로 김성진 p. 73-103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을 위한 문학적 애도 방안 연구 = The study on the way of literary mourning for adolescence experienced bereavement : focused on the Forest of Nutmeg Trees I have Never Visited by Kwon Yeo-sun : 권여선,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을 중심으로 전지윤 p. 299-322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임화, 「五月創作評 - 滑稽와 諷刺의 限界」, 『동아일보』, 1938. 05. 06. 미소장
2 김구종, 「사회·역사를 왜곡시키는 서술자 ‘나’의 담론 연구」, 『한남어문학』 21, 한남어문학회, 1996, 133∼165면. 미소장
3 김성수, 「재·월북 작가의 ‘해금’ 조치(1988)의 연구사·문화사적 의미」, 『상허학보』55, 상허학회, 2019, 11∼49면. 미소장
4 김양선, 「한국 여성문학 연구 장의 변전과 과제」, 『여성문학연구』 28,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645∼669면. 미소장
5 김해옥, 「<癡叔>의 반어적 서술 상황과 談論의 특성 연구」, 『한국언어문화』 10, 한국언어문화학회, 1992, 217∼228면. 미소장
6 나병철, 『전환기의 근대문학』, 두레시대, 1995. 미소장
7 박진,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이론적 쟁점과 신빙성 판단 과정의 윤리적 효과」, 『현대문학이론연구』 75,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135∼158면. 미소장
8 박진,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수사학과 독서의 역동적 과정」, 『현대소설연구』 7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217∼246면. 미소장
9 박형서, 「서술의 신빙성 연구」, 『우리어문연구』 52, 우리어문학회, 2015, 69∼102면. 미소장
10 송현호, 「치숙의 서사구조와 서술 방식 연구」, 『인문논총』 3, 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2, 61∼76면. 미소장
11 송현호, 「채만식 소설의 풍자유형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8, 한중인문학회, 2003, 195∼215면. 미소장
12 염무웅, 『혼돈의 시대에 구상하는 문학의 논리』, 창작과 비평사, 1995. 미소장
13 Articles : The Creative Subject and the Aesthetics of Irony - A Contemporary Meaning of Chaemanshik's Novels 소장
14 蔡萬植 小說 속에 나타난 日帝下 인텔리의 運命과 抵抗 네이버 미소장
15 이혜령, 「소시민, 레드콤플렉스의 양각 -1960∼70년대 염상섭과 한국 리얼리즘론의사정」, 『대동문화연구』 8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37∼75면. 미소장
16 풍자문학의 수용과 효용에 관한 고찰 네이버 미소장
17 장양수, 「俗物의 垂直的 意識考: 蔡萬植 短篇, 「痴叔」의 경우」, 『睡蓮語文論集』 10, 부산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수련어문학회, 1982, 83∼98면. 미소장
18 정진석, 「소설 이해로서 서술자의 신빙성 평가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42, 국어교육학회, 2011, 627∼667면. 미소장
19 정진석, 「소설교육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수용에 대한 인지서사적 고찰」, 『국어교육』 154, 한국어교육학회, 2016, 97∼125면. 미소장
20 최인자, 「소설 화자의 맥락적 이해와 윤리적 반응 형성을 위한 소설 교육」, 『독서연구』 25, 한국독서학회, 2011, 107∼131면. 미소장
21 한지현, 「反語法의 性格과 作家의 視線: 「痴叔」과 「날개」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64, 국어국문학회, 1974, 37∼55면. 미소장
22 Abbott, P.,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우찬제 외 옮김, 『서사학 강의』, 문학과 지성사, 2010. 미소장
23 Booth, W. C., The Rhetoric of Fiction, 최상규 옮김, 『소설의 수사학』, 예림기획, 1999. 미소장
24 Chatman, S. B., The Rhetoric of Narrative in Fiction and Film, 한용환 외 옮김, 『영화와소설의 수사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미소장
25 Erll, A. & Roggendorf, S., “Kulturgeschichtliche Narratologie: Die Historisierung und Kontextualisierung kultureller Narrative”, Nünning, A. F. & Nünning, V., Neue Ansätze in der Erzähltheorie, 조경식 외 옮김, 「문화사적 내러톨로지: 문화적내러티브의 역사화와 콘텍스트화」, 『서사론의 새로운 연구 방향』, 한국문화사, 2018, 110∼171면. 미소장
26 Nünning, A. F., “Reconceptualizing Unreliable Narration : Synthesizing Cognitive and Rhetorical Approaches”, J. Phelan & P. J. Rabinowitz.(eds), A Companion to Narrative Theory, Blackwell Pub, 2005. 미소장
27 Reliability analysis for various communication schemes in wireless CORBA 네이버 미소장
28 Phelan, J., “The Implied Author, Unreliability, and Ethical Positioning”, Living to Tell about it: A Rhetoric and Ethics of Character Narra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미소장
29 Riggan, W., Picaros, Madmen, Naifs, and Clowns: The Unreliable First-person Narrator, Unviersity of Oklahoma Press, 1981. 미소장
30 Scholes, R., Kellog, R. & Phelan, J., The Nature of Narrative, 임병권 옮김, 『서사문학의 본질』, 예림기획, 2007. 미소장
31 Stockwell, P., Cognitive Poet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3. 미소장
32 Zerweck, B., “Historicizing Unreliable Narration: Unreliability and Cultural Discourse in Narrative Fiction”, Style 35,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1, pp. 151∼178. 미소장
33 Zerweck, B., “Der cognitive turn in der Erzähltheorie: Kognitive und ‘Natürliche’Narratologie”, Nünning, A. F. & Nünning, V., Neue Ansätze in der Erzähltheorie, 조경식 외 옮김, 「서사론의 인지적 전환: 인지적 ‘자연적’ 내러톨로지」, 『서사론의 새로운 연구 방향』, 한국문화사, 2018, 336∼373면.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