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학이 북조선 인민과 해외 이주민 등을 배제하거나 주변화하는 편협한 국민주의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체들을 포용하는 개방적인 학문 제도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한국’이라는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 자체부터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한국학이 남북한의 지배구조를 정당화하고 미화하기 보다는 그에 비판적 자세를 견지하며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과 고민에 응답하고자 탈분단시대의 지역학으로서 ‘비판적 한반도학’을 제안한다. 공간의 다중성과 복합성, 주체의 다양성, 그리고 다양성 속에 통합을 추구하는 문제 해결 능력이라는 세 가지 관점은 비판적 한반도학의 출발점이다.

비판적 한반도학의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북조선 연구, 그중에서도 특히 각종 국가론은 북조선 내부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간과하는 특수·일원론적인 경향이 강한 문제점이 있다. 탈분단적 사고에 많은 영향을 미친 ‘내재적 접근방법’ 또한 같은 문제점이 있다. 비판적 한반도학이 다양한 계층, 개인들의 고통과 고민에 응답함을 주된 방향으로 설정한다고 할 때, 이 한반도학이 성립 가능할 것인가의 여부는 얼마나 풍부하게 한반도 주민들의 삶과 생각을 다양성, 다성성, 역동성의 관점에서 해석해낼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그 하나의 대안으로 민중사 및 생애사 연구방법을 원용하여 어떻게 사람들이 체제와 이념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전유하면서 본인의 신념과 개성을 지켜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목회자, 무역 종사자, 역사학자 등 3인에 대한 사례 검토이다.

1967년을 전후하여 북조선에 유일체제가 형성되면서 체제의 경직성은 심화되었다. 그렇지만 그 안에서도 인민들은 지배이념을 각자 자기 나름대로 전유하며 자신의 삶을 때로는 체제의 요구에 일치시키고 때로는 그와 불화하면서 살아갔을 터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민족국가의 베트남전쟁 해석사와 국적불명 여성들의 전장 = Reperusal of Hwang Sok-yong's The Shadows of Arms : the nation state's histor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Vietnam War and the battlefield of women of unknown nationality :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 재독 이지은 p. 109-136

전쟁의 어떤 당사자인가? = A study on the Vietnam War reportage and the novel of Japanese literature : 1970년 전후 일본에서의 베트남 전쟁 르포르타주와 소설 표현 가게모토 츠요시 p. 137-161

한국과 조선 = Hanguk vs. Joseon : history, discourses, and idea of the two Korean sovereign states' relations : beyond the paradigm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 한조관계의 역사·이론·방향 : 남북관계의 종식을 위하여 박명림 p. 25-65

비판적 한반도학의 시각으로 본 북조선 연구 = Crit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as regional studies of the post division era and North Korea research : 탈분단시대 지역학의 탐색 김성보 p. 1-24

북한문학에 다가서온 과정 = The process approach to North Korean literature 신형기 p. 67-82

조선시대 예학의 난제들과 학파간 교섭을 통한 예학의 생태계 형성 = Formation of an academic ecosystem through the exchange of schools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s of Yehak in the Joseon Dynasty 한재훈 p. 195-220

다산 정약용의 토지개혁론과 현실인식 = Dasan Chŏng Yak-yong's theory of land reform and recognition of reality 최윤오 p. 221-243

유길준의 '국민개사'의 '사'는 어떤 자질을 지닌 인물인가? = What qualities does Seon-bi of Yu Gil-jun's "all people are Seon-be" have? : focusing on "morality" : '도덕'을 중심으로 이혜경 p. 245-270

북한 정부의 3·1운동 기념과 표상 = Memorial and representation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March 1st Independent Movement : focusing on the contents of 『Rodong Sinmun』(1946~2019) : 『로동신문』(1946~2019)을 중심으로 이지원 p. 323-356

장지연(張志淵)의 조선유학사 이해 과정과 그 특징 = Jang Ji-yeon'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hosun Confucianism and its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the debate with Takahashi Toru and their mutual influence :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와의 논쟁과 상호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김우형 p. 271-295

1960년대 문학과 '북한'이라는 알레고리 =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and North Korea as an allegory : how did Korean literature represent North Korea? : 한국문학은 북한을 어떻게 재현해왔는가 임유경 p. 83-108

탈냉전(Post-Cold War) 시대 '전쟁 난민' 재미(在美) 베트남인들의 문화정치 = The post-Cold War cultural politics of Vietnamese Americans as "War Refugees" : focusing on the works of Viet Thanh Nguyen : 비엣 타인 응우옌의 저작들을 중심으로 심주형 p. 163-194

민족문학, 제3세계, 동아시아 = National literature, third world, East Asia : the genealogy and structure of Choi Won-sik's East Asia discourse : 최원식의 동아시아론의 계보와 구조 백지운 p. 297-321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조선상사주식회사 자료철(미분류), 미국 의회도서관 Asian Division. 미소장
2 李元賢, 『1949年度 事業總結報告』, 朝鮮商事株式會社, 1950 미소장
3 『력사과학』 미소장
4 『천리마』 미소장
5 『민족문화유산』 미소장
6 『설악신문』 미소장
7 김경일, 「한국학의 기원과 계보」, 『사회와 역사』 64호, 2003 미소장
8 김성보, 「미국·한국의 냉전지식 연결망과 북한 연구의 학술장 진입」, 『사이』 22호, 2017 미소장
9 북한 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쟁점 : 탈냉전, 역사학의 관점에서 소장
10 김성수, 「재·월북 작가 ‘해금’ 조치(1988)의 연구사·문화사적 의미」, 『상허학보』 55집, 2019 미소장
11 김인걸, 「1960, 70년대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사학」, 김용섭교수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간행위원회, 『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미소장
12 김 철, 「자기를 지우면서 움직이기 - ‘한국학’의 난점들」, 『사이』 20호, 2016 미소장
13 박배균,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47권1호, 2012 미소장
14 회원논단 : ( 서 ) 독일의 동독연구에서 ' 전체주의 ' 론과 ' 내재적접근 ' 론 네이버 미소장
15 송두율, 「북한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북한사회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정당한 방법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사회와 사상』 1998년 12월호 미소장
16 송두율, 「북한연구에서의 ‘내재적 방법’ 재론」, 『역사비평』 28호, 1995 미소장
17 윤천근, 「한국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학논집』, 40호, 2006 미소장
18 이국영, 「독일 내재적 접근의 한국적 수용과 오해 -북한연구에 대한 함의」, 『통일문제연구』 20호, 2008 미소장
19 Articles : The Current Studies on the North Korea and Its Prospects 소장
20 이신철, 「‘인민’의 창조와 사라진 ‘민중’ - 방법으로서 북조선 민중사 모색」, 『역사문제연구』 23호, 2010 미소장
21 정영철, 「북한학의 현황과 전망」, 『황해문화』 57호, 2007 미소장
22 김성보 외,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 -비판적 인문정신의 회복을 위하여』, 한길사, 2011 미소장
23 백낙청,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비평사, 1998 미소장
24 백영서,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창비, 2013 미소장
25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외, 『동아시아 평화체제와 남북한 문화예술 교류 방향』, 2019 북한학-한반도학 학술회의 자료집, 2019 미소장
26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역사비평사, 2013 미소장
27 역사문제연구소 한독비교사포럼 기획, 김귀옥 외 지음,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 동아시아의 한반도, 유럽의 독일』, 한울아카데미, 2019 미소장
28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 『사회인문학 백서』, 새물결, 2018 미소장
29 이문영, 『웅크린 말들』, 후마니타스, 2017 미소장
30 이영빈, 『경계선』, 신앙과 지성사, 1996 미소장
31 이영빈·김순환, 『통일과 기독교』, 고난함께, 1994 미소장
32 조동걸, 『현대 한국사학사』, 나남출판, 1998 미소장
33 주승현, 『조난자들』, 생각의힘, 201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