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5.18의 법적 재현에서 나타난 대중봉기와 헌정 = The masses insurrection and the constitution in the legal representation of 5.18 Gwangju uprising 김정한 p. 75-95

저암(樗庵) 신택권(申宅權)의 차운시 양상과 그 의미 = A study on aspect and its meaning of rhyme-borrowing poems by Jeoam(樗庵) Shin Taek-kwon(申宅權) 김묘정 p. 97-127
心畝 金彰桓의 역관 가계 배경과 문인예술가 활동 = A study on family background of Kim Chang-whan(金彰桓) and actives of a literary artist : the behavior of Kim Chang-whan, a descendant of the official interpreter Ubong Kim's clan during the late of great H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 한말 식민지기 牛峯金氏 金指南 중인 가계의 행보 최희정 p. 197-225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 군법회의의 문제점 = The problems of the collaborator's punishment during the Korean War : focusing on three cases of the military trial : 노천명·조경희·이인수의 판결을 중심으로 김윤경 p. 267-301
라파엘전파 종교화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Dante Gabriel Rossetti)의 <보라, 주의 종이여!(Ecce, Ancilla Domini!)>에 나타난 프라 안젤리코(Fra Angelico)의 재발견 = A study on the Pre-Raphaelites' rediscovery of the Italian primitive artist Fra Angelico in Dante Gabriel Rossetti's <Ecce, Ancilla Domini!> 김행지 p. 303-357
슬로트의 인간 완성 및 자기수양 불가능성 논제 비판 = Criticizing Michael Slote's theses of the impossibility of human perfection and moral self-cultivation 최도빈 p. 397-428

알레고리가 아닌 예외 = Exception that is not an allegory : 칼 슈미트의 정치신학과 발터 벤야민의 역사철학에 대하여 조효원 p. 359-396
계명대 동산도서관 소장본『諺簡牘』과 이본『諺簡牘 抄』의 비교 연구 및 '고령가곡녀자들등님곡' 가사 주해 =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of 『Eongandok』 and its different version 『Eongandok cho』, and annotation of Goryeong-Gasa 장요한 p. 129-162

포스트메모리와 5.18 = Postmemory and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 focused on the documentary Kim-Gun : 다큐멘터리 영화 <김군>을 중심으로 배주연 p. 5-35

1988년 "버마"로 1980년 광주를 기억하기 = Remembering Gwangju in 1980 with 'Burma' in 1988 : based on the articles of the 8888 popular uprising in Myanmar by the Korean newspaper : 한국 신문의 미얀마 민중항쟁 보도를 중심으로 정일영 p. 37-73

일제강점기 延吉敎區의 가톨릭 운동 = Catholic action of the diocese of Yenki under Japanese imperial rule : focusiong on youth organization : 靑年會를 중심으로 장명선 p. 227-266
역사화해 관점에서 본 조선 숙종 대 노산군 복권 조치 = A case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 the reinstatement of a dethroned king in the late seventeenth-century Chosǒn Korea 계승범 p. 163-196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申宅權, 『樗庵漫稿』 미소장
2 申宅權, 『國譯 樗庵漫稿』, 楊平文化院. 미소장
3 沈, 『沙川集草藁』, 서울역사문화포럼 영인본. 미소장
4 申濡, 『竹堂先生集』, 한국문집총간 속 31. 미소장
5 申混, 『初菴集』, 한국문집총간 속 37. 미소장
6 강경훈, 「重菴 姜彛天 文學 硏究 : 18세기 近畿南人, 小北文壇 展開와 관련하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7 조선후기 서울과 한시의 변화 소장
8 강민호, 「押韻의 미학으로 본 次韻詩의 특성에 대한 연구 -元白과 蘇軾의 차운시를 중심으로」, 『중국문학』 72,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미소장
9 강성위, 「화운시(和韻詩)의 유형(類型)과 특성고(特性考)」, 『중국문학』 30, 한국중국어문학회, 1998. 미소장
10 김묘정, 「17세기 小北八文章의 시세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미소장
11 김영진, 「鄭遂榮의 『之又齋詩稿』」, 『고전과 해석』 6, 고전한문학연구학회, 2009. 미소장
12 김영진, 「허필의 烟客詩稿」, 『문헌과 해석』 26, 2004. 미소장
13 김종하, 「樗庵 申宅權 ‘十老詩’ 연구」, 『大東漢文學』 60, 대동한문학회, 2019. 미소장
14 남윤수, 「樗庵 申宅權의 生涯와 詩文」, 『고서연구』 22, 한국고서연구회, 2004. 미소장
15 박동욱, 「연객 허필의 예술 활동과 일상성의 시학」, 『한국한문학연구』 46, 한국한문학회, 2010. 미소장
16 박 탄, 「重菴 姜彛天의 散文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17 방현아, 「重菴 姜彛天의 『漢京詞』 硏究 : 18世紀 서울의 都市的 樣相의 形象化」,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미소장
18 서동형, 「豹菴 姜世晃의 詩世界」,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미소장
19 안대회, 「성시전도시 9종」, 『문헌과해석』 46, 문헌과해석사, 2009. 미소장
20 안대회, 「성시전도시와 18세기 서울의 풍경」, 『고전문학연구』 35, 한국고전문학회, 2009. 미소장
21 이영순, 「醉松 李羲師의 한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미소장
22 이종묵, 「樗庵 申宅權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 17, 한국한시학회, 2013. 미소장
23 정우봉, 「姜彛天의 『漢京詞』에 대하여 : 18세기 서울의 시적 형상화」, 『한국학보』 20, 일지사, 199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