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혜원, 박천수, 김상호(2007),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능력개발과 재취업 촉진』,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2 |
구강희(2018),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 여성의 구직행동에 미치는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국미애, 이현주(2015), 『서울시 경력단절여성의 일 경험 분석을 통한 지속고용지원방안 연구』,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미소장 |
4 |
김경민(2015), “심리적 구직준비 특성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경희(2018), “중장년 구직자의 사회적 지지, 부정적 구직정서, 구직태도, 구직행동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나래, 홍아정(2016), “중장년 구직자의 사회적 지지가 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폐기학습의 매개효과”, 『평생교육학연구』, 22: 109-136. |
미소장 |
7 |
김난주(2014),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여성연구』, 32(35): 13-27. |
미소장 |
8 |
김난주, 김영숙, 강민정, 박건표, 박미연(2016), 『2016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
미소장 |
9 |
김명언, 장재윤, 조성호, 노현희(2003), “성취프로그램의 효과: 구직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과 조직』, 16(2): 181-204. |
미소장 |
10 |
김성희(2010), “취업희망프로그램이 장기실업자의 구직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에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김혜원(2011), “여성의 경력단절과 임금 손실”, 『한국경제발전학회』, 17(2): 181-210. |
미소장 |
12 |
문란영(2013),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박재규, 공선영, 임경희, 노성향, 장지예(2008), 『경기도 여성인력 고용실태조사 및 취업활성화방안 연구』, 수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미소장 |
14 |
백인화(2016), “경력단절 여성베이비부머의 구직결정 요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손영미, 박정열(2016),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예측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165-184. |
미소장 |
16 |
송성이(2009), “중·고령자의 직업복귀유형별 재취업욕구와 미래시간 전망 비교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신연자(2018), “재취업 구직자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와 구직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신연하(2018),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오승국(2016), “중장년 남성 실직자의 진로장벽,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오은진, 김종숙, 김난주, 이상돈, 김지현(2008),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미소장 |
21 |
천미라(2001), “실직자의 구직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채은진(2005), “여성 실여급여 수급자의 구직활동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통계청(2018), 『경제활동인구조사』, 대전: 통계청. |
미소장 |
24 |
한지현, 장재윤(1994), “남성 또는 여성 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대생들의 개인특성 및 구직행태에서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3): 585-609. |
미소장 |
25 |
황윤주(2015), “중년기 기혼여성 재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유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Testing a Two-Dimensional Measure of Job Search Behavior  |
미소장 |
27 |
The impact of career exploration and interview readiness on interview performance and outcomes  |
미소장 |
28 |
Vinokur, A. D., Price, R. H., & R. D. Caplan(1991), “From Field Experiments to Program Implementation: Assessing the Potential Outcomes of an Experimental Intervention Program for Unemployed Persons”, 『Personnel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4): 543-562. |
미소장 |
29 |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Determinants of Job-Seeking Behavior and Well-Being among the Unemployed1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