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과학교과의 지질단원 학습은 야외학습과 지역의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자은도를 중심으로 과학교과 지질단원 학습을 위한 지역화 자료를 개발하고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지역의 3개 장소(남진 선착장 부근, 양산 해변 지역, 둔장 해변 지역)를 중심으로 지질관련 지역화 자료를 개발하였다. 남진선착장 부근지역에는 해식애, 모래해안, 갯벌이 분포하고 있다. 해식애 노두에서는 퇴적암인 역암, 사암, 이암이 분포하며, 암석의 풍화 현상 그리고 끊어진 지층 및 휘어진 지층을 관찰할 수 있다. 양산 해변 지역에서는 약 1.5㎞ 길이의 모래해안과 해식애가 발달하며 역암, 사암, 이암의 퇴적암과 화성암인 유문암 그리고 풍화에 의한 풍화혈이 발달한다. 둔장 해변 지역에선 약2㎞ 길이의 모래해안과 해식애 그리고 퇴적암과 다양한 지층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해식동굴이 긴 시간의 침식으로 인해 변화해 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시스택이 분포하고 있다. 3개의 장소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현상은 자은도에 분포하는 독특한 현상으로 과학 교과서의 지질단원에 제시된 지질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지역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화 자료는 사진으로 제작하여 교과서 사진과 비교하여 학습에 이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야외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할 만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 of STEAM program using analogy : focused on the instructional unit of 'solar system' in middle school : 중학교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한신, 김형범, 김용기, 송하명 p. 15-28

지구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 학습을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 효과 및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 Learning effects and difficulties of role play activities to learn earth rotation and sun's apparent motion 김성운 p. 29-39

초·중등과학 지질단원의 학습을 위한 자은도의 지역화 자료 개발 사례 = Development case of regional materials for learning of geology units, prim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at Jaeundo 김해경 p. 110-120

발명 영재를 지도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방안 연구 = Research on difficulties and supporting measures of teachers who teach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김주진, 채동현 p. 64-73

한국천문연구원 '스타-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Developement and effect analysis of 'star-car' program of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focused on the scientific cultural isolated regions : 과학문화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설아침, 김형범, 한신, 김용기 p. 100-109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연구 = Research on reconstruction of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김연화, 곽영순 p. 40-52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tool for examining seasonal change concep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노자헌, 손준호, 김종희 p. 74-89

2015 개정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의 2차 년도 적용 현황 추이 분석 = Trend analysis of curriculum application status of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laboratory experiment curriculum 곽영순 p. 53-63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gender 김순식 p. 90-99

과학·공학 융합 수업 준거틀 및 공학 설계 수준 제안 = Suggesting a framework for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 design and engineering design level 남윤경, 이용섭, 김순식 p. 121-133

극지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KOPRI's experiential field trip programs for the spread of polar science culture 정찬미, 최규리, 백은주, 백희수 p. 1-14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2018a). 과학 3-2. ㈜비상교육, 118. 미소장
2 교육부(2018b). 과학 4-1. ㈜천재교과서, 126. 미소장
3 교육부(2018c). 과학 4-2. ㈜비상교육, 119. 미소장
4 교육부(2018d). 과학 실험관찰 3-2. ㈜비상교육, 65. 미소장
5 권치순, 장문수(2004). 한국과 북한의 초, 중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연계성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58-564. 미소장
6 김덕호, 홍승호(2014). 초등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층과 화석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46(4), 1-25. 미소장
7 김덕호, 홍승호(2015).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학습에적합한 제주도 체험학습장 개발-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6(2), 25-46. 미소장
8 김해경(2015). 지역 지질을 활용한 초등학교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오동도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28-138. 미소장
9 김해경(2019). 무안군 남측 대죽도(중앙동산) 노두의 특징과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도서연구, 31(1), 169-183. 미소장
10 김해경, 이경학, 나경아(2017).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73-184. 미소장
11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미소장
12 노병섭, 양우헌, 조규성(2009).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869-882. 미소장
13 노태희, 김선경, 장종목, 강석진, 임희연, 양찬호, 박재근, 민진선, 배영혜, 오필석, 김연귀, 박장용(2018). 중학교 과학 1. ㈜천재교과서, 293. 미소장
14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47-761. 미소장
15 서동욱(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86-594. 미소장
16 안건상(2013).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35-248. 미소장
17 오강호, 고영구, 윤석태(2004).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해양영역에 관련된 용어 및 탐구의 연계성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76-585. 미소장
18 위수민, 곽정실, 조현준, 김현정(2008). 초등학교 과학과지질 단원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4), 420-436. 미소장
19 윤마병, 남기수, 백제은, 이종학, 봉필훈, 김유영(2017). 충북 영동 지역의 과학학습장을 활용한 토포필리아야외지질학습장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76-89. 미소장
20 이재언(2015). 한국의 섬(신안군). 지리와 역사, 312. 미소장
21 이창진, 정상원(2005). 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1), 41-57. 미소장
22 임성만(2020). 초등과학 교과서 지질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184-197. 미소장
23 전라남도교육청(2019). 2019 도서·벽지학교 및 농·어촌교육진흥지역학교 지정 일람. 143. 미소장
24 조규성, 양우현, 신순선, 오재명, 정덕호(2012). 변산반도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미소장
25 조규성, 황지현, 김정빈(2003).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28-135. 미소장
26 한국자원연구소(1991). 도서·폐광현황 및 활용성 연구(부록1). 759. 미소장
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2). 목포·여수 도폭 지질보고서(1:250,000). 45. 미소장
28 홍미영, 정은영, 맹희주(2002). 초등학교 과학과 교수, 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2002-18, 15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