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쉔커(Heinrich Schenker, 1868~1935)의 분석방법론을 적용해 후기낭만음악을 탐구한 모르간(Robert Morgan)의 1976년 연구를 시작, 40년이 지나 같은 주제로 돌아온 그의 2016년 연구를 끝으로 두 시점 사이 이 분야에 대해 논구되었던 베이커(James M. Baker), 사텐드라(Ramon Satyendra), 슈타인(Deborah Stein), 테이처(Ryan Taycher)의 괄목할만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19세기 중·후반의 후기낭만음악을 분석하는 중경층 모델을 정리·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선행연구자들이 의식적 또는 암묵적으로 기대었던 이론적 전제들을 도출하여 비교하고 이들이 보다 종합적인 환경에서 융합되어 분석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개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정리한 쉔커식 중경층 모델은 분석 대상으로서의 음악이 갖는 조성적 환경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으며, 이 모델들은 단일 화음 X의 연장, 미완성 근본구조 I-V 또는 X-I, 그리고 근본구조를 유지하되 그 안의 변형을 인정한 I-X-I나 X-V-I의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쉔커의 이론적 전제가 어떠한 수준에서 적용되었는지를 가늠자 삼은 기 스케치 된 작품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세 작품에 대한 재분석을 이끌었다. 리스트의 ⪡두 번째 애가⪢는 조성적 구심점이 결여된 음악표면에서 ‘선적인5-6진행’을 통한 단일 화음인 으뜸화음의 연장, 볼프의 ‘봄에’는 짧게 제시된 으뜸화음을 구조적인 것으로 승격함으로써 I-V의 진행, 그리고 볼프의 ‘우리는 오랫동안 침묵했었지’는 ♭III-V-I의 변형된 근본구조 중경층 모델로 수정되었다.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송무경. “음악적 통일성과 응집력의 보고로서의 모티브.” 『서양음악학』 18/3 (2015): 11-40. 미소장
2 송무경. “조성음악의 분석이론.” 『음악이론과 분석』. 김 연 책임편집, 59-92. 서울: 심설당, 2005. 미소장
3 송무경, 안소영. 『후기낭만화성: 기법과 적용』. 서울: 심설당, 2019. 미소장
4 이고은. “베베른의 초기 가곡에 나타나는 조성음악어법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미소장
5 정세은. “후기낭만음악의 쉔커식 중경층 설계를 위한 이론적 전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6 Baker, James M. “The Limits of Tonality in the Late Music of Franz Liszt.” Journal of Music Theory 34/2 (1990): 145-173. 미소장
7 Beach, David. Advanced Schenkerian Analysis: Perspectives on Phrase Rhythm, Motive, and Form. New York: Routledge, 2012. 미소장
8 Cadwallader, Allen and David Gagne. Analysis of Tonal Music: A Schenkerian Approach. 2nd E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미소장
9 Cook, Nicholas. A Guide to Musical Analy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미소장
10 Drabkin, William. “Heinrich Schenker.” In The Cambridge History of Western Music Theory. Edited by Thomas Christensen, 812-84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11 Dunsby, Jonathan and Arnold Whittall. Music Analysis in Theory and Practi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88. 미소장
12 Howell, Tim. “Reviews: Hugo Wolf’s Lieder and Extensions of Tonality by Deborah J. Stein.” Music Analysis 7/1 (1988): 93-99. 미소장
13 Kamien, Roger. “Non-Tonic Settings of the Primary Tone in Beethoven Piano Sonatas.” The Journal of Musicology 16/3 (1998): 379-393. 미소장
14 Katz, Adele. Challenge to Musical Tradition: A New Concept of Tonality. New York and London: Andesite Press, 1945. 서우석, 김은혜 번역. 『음악분석연구』. 서울: 수문당, 1982. 미소장
15 Larson, Steve. “The Problem of Prolongation in ‘Tonal’ Music: Terminology, Perception, and Expressive Meaning.” Journal of Music Theory 41/1 (1997): 101-136. 미소장
16 Morgan, Robert P. “Dissonant Prolongation: Theoretical and Compositional Precedents.” Journal of Music Theory 20/1 (1976): 49-91. 미소장
17 Morgan, Robert P. “Dissonant Prolongations Again: Nontonic Extensions in Nineteenth-Century Music.” Journal of Music Theory 60/1 (2016): 1-21. 미소장
18 Morgan, Robert P. Becoming Heinrich Schenker: Music Theory and Ide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미소장
19 Salzer, Felix. Structural Hearing: Tonal Coherence in Music. New York: Dover Publications, 1962. 전지호⋅임우상 공역. 『음악의 구조적 들음』.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8. 미소장
20 Satyendra, Ramon. “Liszt’s Open Structures and the Romantic Fragment.” Music Theory Spectrum 19/2(1997): 184-205. 미소장
21 Schenker, Heinrich. Free Composition. Translated and Edited by Ernst Oster. New York: Longman, 1979. 미소장
22 Schmalfeldt, Janet. “Form as the Process of Becoming: The Beethoven-Hegelian Tradition and the ‘Tempest’ Sonata.” Beethoven Forum 4 (1995): 37-72. 미소장
23 Stein, Deborah J. Hugo Wolf’s Lieder and Extensions of Tonality. London: UMI Research Press, 1985. 미소장
24 Taycher, Ryan. “Deceiving the Ear: Recontextualization, Key Association, and Auxiliary Cadence in Two Songs by Hugo Wolf.” Journal of Schenkerian Studies 6 (2012): 93-113. 미소장
25 Wilson, Paul. The Music of Béla Bartók.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