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차이를 비교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한국 대학생 240명과 중국 대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로는 중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한국 대학생보다 긍정적이며 노인에 대한 지식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노인에 대한 심리적 지식과 노인을 존경대상으로 인정하는 정도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경로의 전통사상은 지속적으로 계승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지식을 가질 수 있는 교육과 노인과의 교류 프로그램도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설노인의 성별에 따른 상실감과 자아통합감, 삶의 만족도 분석 = Correlates of sense of loss, ego integr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residential care by gender differences 이현지, 남현주 p. 247-258

영어 연어(連語)의 범주 분석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analysis of category in English collocations 유선영 p. 421-430

중고령자가 예측하는 장래돌봄유형 = Expected type for care by middle-age and elderly people in Korea 이선, 차승은 p. 707-721

설화 「은혜 갚은 까치」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에 대한 문학치료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ry therapy of children's depress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by using folktale The Magpie Who Repaid the Favor 박정은 p. 297-312

임금근로 장애인의 임금변화 유형화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ology and determinants for change in the wage of disabled people 이민욱, 김성은 p. 477-490

한국판 자동적 사고척도-부정형의 단축형 개발과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negative 허선욱, 김지현 p. 783-796

ICT 기기를 활용한 학부 유학생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using ICT devices 이수경 p. 491-504

공고화된 민주주의는 경제투표를 강화하는가? = Does consolidated democracy strengthen economic voting? 차재권, 서선영 p. 965-980

일본의 한국학 학부생들의 전공선택 배경과 취업전망 = A study on college-major choice and Korea-related job prospect of Korean major undergraduates in Japan : a case study of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동경외국어대 조선어전공 사례 연구 정기인, 정인관 p. 651-665

『풀잎은 노래한다』와 『베니토 세레노』에서의 정체성 분열과 소통의 가능성 = A study on identity division and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The Grass is Singing and Benito Cereno 강영돈 p. 273-282

중년여성의 맨발걷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barefoot walking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한상미 p. 767-782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비행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delinquenc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 부모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주소희 p. 955-964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lecture evaluation in a university = 대학의 교수역량 자가 진단결과 분석과 강의평가와의 관련성 탐색 Sookoung Jun p. 609-620

중년 여성의 우울 감소와 자존감 향상을 위한 만다라 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Mandala art therapy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self-esteem in middle-aged women 김세현 p. 887-900

교양교과 연계 학생 동아리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지역 지적장애학생들의 요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udent circles connected with the liberal arts on the cooking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region 장경화 p. 581-593

중미 합작 할리우드 영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Critical views on China-US co-produced Hollywood films : focusing on The Great Wall : 「그레이트 월」을 중심으로 이수영 p. 505-520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정책 및 위탁제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Nursery school staff recognition of the policy and consignment system to convert private daycare centers 허은정, 채영란 p. 797-812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연구 = A study on Korean speaking instruction model using dictogloss 박정화 p. 313-328

치매 노인 돌봄 제공 남성 배우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xperience of male spouses providing car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홍미연 p. 813-828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연구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between Korea and China 이혜정, 모선희 p. 259-272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민족국가담론과 소설적 형상화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nation discourse and novel formation as imagined communities : focus on Han Seol-ya's Seolbongsan, Lee Gee-young's Doomangang, Kim Sae-il's Hong Beom Do : 한설야의 『설봉산』, 이기영의 『두만강』, 김세일의 『홍범도』를 중심으로 최영자 p. 737-751

언어재활사의 자질 함양에 관한 인식도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cultiva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qualities 김화수, 엄윤지, 이지우, 최선영 p. 391-404

빈곤상태 변화유형별 우울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drinking problems by types of change in poverty conditions 조혜정, 염동문, 권혁창 p. 697-706

근대 경성의 공적 공간에 나타난 무용의 메타모포시스 = The metamorphosis of dance at public spaces of modern Gyeongseong 김호연 p. 911-926

중년기의 조망수용과 분노반추가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iddle-aged perspective-taking and anger rumination on marital instability :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김고은, 김기용 p. 873-886

소상공인 재기지원제도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rechallenge support system for small business person 박국호 p. 283-296

다문화 사회 학교폭력 상담에서의 상호문화 감수성의 영향 = The effect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on school violence counseling in multicultural society 이미령 p. 447-461

국제관계학의 시각으로 본 아마르나 국제 공동체 = The Amarna international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 강승일 p. 857-872

A study of cancer patients' communicative pattern and its implications= 암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 "커뮤니케이션 정세도" 수준과 관련하여 : in relation to the level of "Communicative definition" Hyosook Kim p. 235-246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rades 3 and 4 who have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 임상실습이 경험이 있는 3, 4학년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오재우, 장현정 p. 405-419

장애인의 여가문화 여건과 여가문화 만족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leisure-cultural condition and leisure-cultural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전리상 p. 941-954

양극성정동장애 중년남성에 대한 미술치료 내러티브 탐구 = An art therapy narrative inquiry on the life of a middle-aged man who has bipolar affective disorder 김형란, 강민철 p. 207-221

생활스포츠지도사의 전문성인식이 역할만족과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Study on professional recognition of sports instructor on rol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손원호 p. 375-389

중·고등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이 진로계획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planning 정지애 p. 683-696

청소년기 부모역할 자신감이 출산의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dolescents' confidence about parental roles on procreation consciousness : mediating effect of marriage consciousness : 결혼의식의 매개효과 서인균, 이연실 p. 521-535

기혼 남녀의 대인관계 어려움과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부부관계 만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n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family strength among married men and women 홍성례 p. 829-842

명리학에서 지장간의 천간(天干) 구성과 일수(日數) 배속 고찰 = Study on composition of the heavenly stems of Jijangan and assignment of number of days in Myeongli science 최산태, 김만태 p. 981-995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충동성 및 가족응집력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adolescent cyber violence damage experiences on cyberbullying and moderating effect of implulsivity and family cohesion 박현선, 유숙경, 김진숙 p. 345-360

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인문학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관한 효과성 연구 = 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humanities-centere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married migrant women 노영희, 전현옥 p. 635-650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환경'과 '인물' 연구 = A study on 'environment' and 'characters' in Kim Won-il novel : focus on Meditation about Toyosae birds : 『도요새에 관한 명상』을 중심으로 김인경, 이문성, 염경순 p. 901-910

상담자의 성인애착유형과 지혜 수준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 = Differences in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depending on adult attachment types and wisdom levels of counselors 이윤희 p. 537-549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career matur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지현 p. 329-344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부모'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ood parent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전주람, 최경 p. 621-634

Sport clubs on the move = 변화 중인 스포츠클럽 : 독일 사례 : the German example Walter Tokarski, Hongnam Kim p. 1009-1022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김효춘, 박희숙, 최동숙 p. 361-373

다의어의 의미기술과 어휘표상 모형 = Semantic description and representation models of polysemy 정유진 p. 667-682

한국전쟁 이후 가족화에 나타난 응집(應集)적 요소에 관한 연구 = Cohesive elements which appeared in family portraits after the Korean War 이태림 p. 551-564

영화산업의 성폭력 맥락과 저항의 양상 = Sexual violence in context and aspects of resistance in the film industry : comparison of the documentaries in South Korea and the UK : 한국과 영국의 다큐멘터리 비교를 중심으로 홍숙영 p. 843-856

미충족 의료에 대한 연구 경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for unmet medical care 김용묵 p. 997-1008

단전호흡이 노년층의 생활건강적 경험에 주는 영향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ffect of danjeon breathing on living health experiences of older adults 한상미, 임동호 p. 565-579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S교회 제자훈련 특징 = Characteristic analysis of S church discipline training from intercultural perspective 장효청 p. 595-607

다문화 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과 담론 논의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ulticultural lifelong education and discussions : focusing on qualitative and literary research : 질적 및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김형준, 이상주 p. 223-234

뇌졸중 환자의 우울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이명희, 오수용 p. 927-939

심뇌혈관질환 노인에서 걷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alking on quality of life to the elderly people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이미영, 박종 p. 463-476

명리학의 적성론(適性論)에서 왕(旺)한 십성(十星)과 격국(格局)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en stars and Gyeokguk that are prosperous in aptitude of Myeongli science 최은희 p. 753-766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감상 수업 설계 방안 = A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al design plan using the storytelling technique in elementary school 윤지영, 김설화 p. 431-445

여가태도와 여가소비의 관계 및 소득계층의 조절효과 연구 =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consump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income class 최순화 p. 723-736

『여성동아(女性東亞)』를 중심으로 본 비혼 여성 담론의 시론(試論)적 연구 = A preliminary study of the discourse of single women in women's magazines 『여성동아』 공나형 p. 13-27

장기요양보호 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양부담과 적응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A study on care burden and adaptation of the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the elderly in need of long-term care 김경호 p. 69-84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orker's job stress on depress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노성 p. 41-52

학교 밖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 극복을 위한 인문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humanities therapy program to overcome the learned helplessness of out-of-school youths 김가연 p. 53-68

용도지역 변경이 지가 변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change of zoning on land price 김선아, 전해정 p. 85-94

재난피해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disaster victims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김수영 p. 95-108

대학원 유학생 학위논문 결론의 담화구조 분석과 교육적 함의 = Analysis on discourse structures of conclusions in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ses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민정호 p. 1-12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현장 이야기 = Preschool teacher's story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권종애 p. 29-40

참여주도 실행연구를 통한 중간관리자 집단역량프로그램 효과성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empowerment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middle managers through practitioner action research : focusing on podcasts : 팟케스트를[실은 팟캐스트를] 중심으로 김수정 p. 109-124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decision making of clinical nurses 김양신 p. 125-136

토지공개념 명문화의 헌법적 의미 = Constitutional meaning of stipulation of land ownership' public concept 김용태 p. 137-147

한·일 노인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ty care policy for the elderly in Korea and Japan : focused on the Gilbert & Terrell analysis model : Gilbert & Terrell의 분석모형을 중심으로 이진국, 김주희 p. 149-162

동양문고본 춘향전에 수록된 시조 연구 = Study on the Sijo in Dongyangmungo edition of Choonhyangjeon 김준 p. 163-173

박근혜대통령 퇴진반대 태극기 집회 공감여부에 영향을 미친 변수 = Factors affecting the Taegeukgi rally against resignation of president Geun-hye Park 김학량 p. 175-190

광역지방자치단체 양질의 일자리 실태와 특화도 분석 = Analysis of decent job and degree of specializa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김계욱, 정해영, 임형섭 p. 191-206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명순, 노기영, 장지혜(2013), “대학생의 노인 이미지, 지식과 고정관념 및 인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3): 633-636. 미소장
2 김수영, 문경주, 장수지(2017), “젊은 세대의 문화성향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노인에 대한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6(38): 163-191. 미소장
3 김완태(2014), “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한·일 비교”,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욱(2011),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 31(3): 505-526. 미소장
5 모선희, 윤성호, 김형수, 윤경아, 정윤경(2018), 『현대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6 배문조(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미소장
7 안옥희, 임희경, 김현진(2002),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47-355. 미소장
8 양교용(2012),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노화불안과 노인에 대한 태도”, 한서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이금룡(2004), “연령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전략적 방안모색”, 『노인복지연구』, 26(겨울호): 143-164. 미소장
10 이선자(1989), “연령단계별로 본 노인에 대한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이신숙, 살라리(Salari, S.)(2005), “한, 미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9-218. 미소장
12 이영숙, 박경란(2002), “노년학 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3): 29-30. 미소장
13 이윤경(2007),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 연구”, 『한국인구학』, 30(2): 1-22. 미소장
14 이호선(2005),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미소장
15 A Study on the Home Helpers' Knowledge about Facts on Aging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Korea 소장
16 이혜자, 하연진(2009),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95-112. 미소장
17 전혜성, 권금주(2009),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원격대학 장년기 대학생을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3(3): 203-226. 미소장
18 정진경(2015), “노인 이미지 연구 경향 분석: 1990년 이후 국내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5(4): 1115-1134. 미소장
19 조명희(2006), “노인에 대한 주부들의 태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95-106. 미소장
20 지민경, 안권숙(2008), “치과위생사들이 인지한 노인에 대한 이미지 및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8(3): 23-36. 미소장
21 최미정, 심정신(2014),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299-306. 미소장
22 최성재(2009),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29(1): 329-352. 미소장
23 최용득(2008), “간호과와 사회복지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4 한정란(2000),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3): 115-127. 미소장
25 한정란, 류희선, 김시진(2007), “대학생들의 노화에 관한 지식 및 노인에 대한 태도”, 『직업교육연구』, 26(3): 121-139. 미소장
26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LY PERSONS 네이버 미소장
27 Kogan, N.(1977), “Attitude Toward Old People: The Development of a Scale and an Examination of Correlation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2: 44-54. 미소장
28 Palmore, E.(1997), 『Ageism: Positive and Negative』, New York: Springer. 미소장
29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네이버 미소장
30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네이버 미소장
31 Attitudes toward the aged as a function of age and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32 吕宝静(2002), 『社会工作与台湾社会』, 台北: 巨流出版公司. 미소장
33 陈冬青(2011), “中日大学生的老年人印象讨论”, 『山东省农业管理千部学院报』, 28(3): 89-90. 미소장
34 桂瑶瑶(2009) “当代大学生对老年人态度与行为的现状分析及其培育研究”, 南昌大学 硕⼠学位论文 미소장
35 马骁骁(2010), “从人口老龄化看中国未来计划生育政策-人口老人化原因的实证分析”, 『经济视⾓旬刊』, 5: 46-48. 미소장
36 王桂新(2012), “少子老龄化:计划生育后遗症”, 『社会观察』, 9: 26-28. 미소장
37 谢广全, 杨国德(2009), “技职校院学生老化知识, 对老人态度与服务老人意愿关系之研究”, 『弘光人文社会学报』, 11: 49-84. 미소장
38 통계청(2018), . 미소장
39 国家统计局(2018), .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