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후한(後漢) 시기의 유학자였던 왕부(王符)의 『잠부론』(潛夫論) 「몽렬」(夢列)편에 대한 연구이다. 「몽렬」은 꿈에 대한 왕부의 철학이 담긴 저술로서, 이를 통해 한대(漢代)의 꿈에 대한 현상과 관념, 왕부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 한대는 유학의 발전을 이룬 시기였지만, 종교적 분위기가 농후했던 시대였다. 춘추전국 시대까지 공적인 영역에서 다루어지던 ‘점몽’(占夢)이 민간의 영역으로 흡수되어 발전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점몽은 풍수, 관상, 팔괘(八卦) 등과 결합하며 크게 유행하였는데, 진·한대 성행했던 참위(讖緯)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였다.

왕부는 혼란스러웠던 후한 시기, 은거하면서 세상과 우주를 관조하고 자신의 도도한 이론을 펼쳤던 유학자였다. 왕부는 주술, 무술(巫術), 관상(觀相), 점몽 등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 그는 꿈의 존재와 효용성을 인정하기는 했지만, 그것은 음양론의 질서 속에서 용인되는 제한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왕부의 이러한 비판적 해석은 꿈에 대한 분석적 저술로 이어졌다. 왕부는 「몽렬」을 통해 꿈을 열 가지로 분류하고[十夢], 꿈이 발생하는 원인, 꿈을 해석하는 방법, 꿈이 현실과 조응하는 방식과 몽자의 태도를 진지하지만 비판적으로 서술하였다. 왕부가 꿈에 대해 갖는 객관적 태도, 점몽 방법에 대한 소개, 꿈에 대한 서술은 이후의 고대 중국의 꿈 연구, 꿈에 대한 동서비교 연구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도가철학의 배려, 관용의 윤리 = Ethics of care and tolerance of Taoist philosophy 김현수 p. 141-157

90년대 학습만화 『홍길동전』의 서사변용 연구 = A study on the translation of '90s learning cartoon in <Honggildong> 김대범, 신성환 p. 24-53

1990년대 복고 드라마의 유행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trends of 1990's retro drama : focused on the drama <Yugnammae> : 드라마 <육남매>를 중심으로 김태희 p. 54-76

현대시에 나타난 레트로 문화코드 = Retro cultural codes in modern poetry : a study on the poetry of food in An-dohyun : 안도현의 음식시를 중심으로 배옥주 p. 77-95

한국에서의 레트로(Retro) 인문학 연구의 가능성 시론(試論) = The possibility of retro humanities research in Korea 임미정, 유흔우 p. 96-108

연극 <아리랑고개>의 창작 과정에 수용된 영화 <아리랑>의 영향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of the film Arirang accepted in the creative process of the drama Ariranggogae : <아리랑> 모티프의 복고적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김남석 p. 1-23

다문화 배경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문화 내용 분석 = Analysis on cultural contents in 『Standard Korean Textbook』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elementary students 조희영 p. 322-344

빅데이터의 소유권과 분배 정의론 = The ownership of big data and distributive justice : focused on basic income : 기본소득을 중심으로 목광수 p. 158-182

메를로-퐁티의 『행동의 구조』를 통해 살펴본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개념 =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 its elements, situation, and structure of lived-experience : 의미 체험의 요소, 상황, 그리고 구조 신호재 p. 183-210

한영문학번역가의 위상 제고를 위한 번역재량에 관한 소고 = A study of the discretion of Korean-English literature translators for their status : based on Gadamer's philosophical analytical theory : 가다머(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 이론을 중심으로 김가희 p. 260-273

『잠부론』(潛夫論) 「몽렬」(夢列)을 통해 본 왕부(王符)의 꿈 인식 연구 = A study of Wang Fu's perception of dream through the QianFuLun "Meng Lie" 유강하 p. 211-237

수피이슬람의 사상과 신비주의적 교의 = Ideology of Sufi Islam and it's mysticism : recognition and practice : 인식체계와 수행양식 김중관 p. 274-297

충서(忠恕)와 정보철학 = Zhõng-Shù and philosophy of information : from a constructivist point of view :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이석주 p. 238-259

서울시 중구 지역의 역사문화자원과 도시 레트로(Retro)의 연계 =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Jung-gu, Seoul and the urban retro 정두호, 유춘동 p. 109-119

박사 유학생의 필자 정체성 강화를 위한 제언 = A proposal for strengthening writer identity of foreign doctoral students : focused on discousal identity in academic writing : 학술적 글쓰기에서 담론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민정호 p. 298-321

대중가요 이미지 분석 = Analyzing the image of popular songs : focused on Lee Mi-ja's popular songs : 이미자의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정용수 p. 120-140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현남, 「『잠부론(潛夫論)』에 나타난 꿈(病夢)에 관한 연구」, 『韓國宗敎史硏究』 제13호, 한국종교사학회, 2005. 미소장
2 Marie-Louise von Franz 저, 이부영·이광자 옮김,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서울, 한국융연구원, 2018. 미소장
3 成百曉 역주, 『詩經集傳(下)』,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2007. 미소장
4 王符 저, 임동석 역주, 『潛夫論』(2), 서울, 동서문화사, 2009. 미소장
5 유강하, 「“어떤 꿈이 참이 아니겠는가?[何夢非眞]” - 夢占逸旨』 「內篇」에 드러난 진사원의 꿈 인식 연구」, 『외국학연구』 제49호,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9. 미소장
6 유강하,「고대 중국인의 꿈 기록 『몽점일지』(夢占逸旨)에 대한 연구-『몽점일지』 외편(外篇)을 중심으로」, 『인문연구』 제90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미소장
7 劉文英 저, 하영삼·김창경 옮김, 『꿈의 철학: 꿈의 미신, 꿈의 탐색』, 동문선, 1993. 미소장
8 陸馨, 「王符 ≪潛夫論≫ 硏究 :<讚學>篇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12. 미소장
9 이준영 해역, 『周禮』, 서울, 자유문고, 2014. 미소장
10 鄭太鉉 譯註, 『春秋左氏傳』(2),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2004. 미소장
11 조원일, 「왕부(王符)의 천인관계론(天人關係論) 연구」, 『철학논집』 제57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미소장
12 陳士元 저, 김재두 옮김, 『夢占逸旨』, 서울, 은행나무, 2008. 미소장
13 진 쿠퍼 저, 이윤기 옮김,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서울, 까치, 2016. 미소장
14 최진묵, 「중국 고대 夢占의 논리와 그 사회적 기능」, 『중국고중세사연구』 제16호, 중국고중세사학회, 2006. 미소장
15 Carl Gustav Jung 저, 한국융연구원 C.G.융 저작 번역위원회 옮김, 『원형과 무의식』, 서울, 솔, 2018. 미소장
16 路英, 『中國式解夢』, 北京, 團結出版社, 2010. 미소장
17 劉文英, 『星占與夢占』, 北京, 中央編譯出版社, 2008. 미소장
18 麻餘森, 『殷墟甲骨文引論』, 長春, 東北師範大學出版社, 1993. 미소장
19 沐言非 主編, 『詩經』, 北京, 北京聯合出版公司, 2019. 미소장
20 范曄 撰, 李賢 等 注, 『後漢書』, 北京, 中華書局, 2003. 미소장
21 司馬遷 撰, 裵駰 集解, 司馬貞 索隱, 張守節 正義, 『史記』, 北京, 中華書局, 1997. 미소장
22 司馬遷, 『史記』(一), 中華書局, 2003. 미소장
23 姚偉鈞, 『神秘的占夢』, 南寧, 廣西人民出版社, 2004. 미소장
24 褚贛生, 『中國古代夢占』, 北京, 九州出版社, 2008. 미소장
25 鄭均, 『讖緯考述』, 臺北, 文史哲出版社. 2000. 미소장
26 陳士元, 『夢占逸旨』, 北京, 中華書局, 1985. 미소장
27 彭丙成 注譯, 『新譯 潛夫論』, 臺北, 三民書國, 1998. 미소장
28 何躍靑 編著, 『占夢文化』, 北京, 外文出版社, 201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