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후한(後漢) 시기의 유학자였던 왕부(王符)의 『잠부론』(潛夫論) 「몽렬」(夢列)편에 대한 연구이다. 「몽렬」은 꿈에 대한 왕부의 철학이 담긴 저술로서, 이를 통해 한대(漢代)의 꿈에 대한 현상과 관념, 왕부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 한대는 유학의 발전을 이룬 시기였지만, 종교적 분위기가 농후했던 시대였다. 춘추전국 시대까지 공적인 영역에서 다루어지던 ‘점몽’(占夢)이 민간의 영역으로 흡수되어 발전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점몽은 풍수, 관상, 팔괘(八卦) 등과 결합하며 크게 유행하였는데, 진·한대 성행했던 참위(讖緯)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였다.
왕부는 혼란스러웠던 후한 시기, 은거하면서 세상과 우주를 관조하고 자신의 도도한 이론을 펼쳤던 유학자였다. 왕부는 주술, 무술(巫術), 관상(觀相), 점몽 등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 그는 꿈의 존재와 효용성을 인정하기는 했지만, 그것은 음양론의 질서 속에서 용인되는 제한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왕부의 이러한 비판적 해석은 꿈에 대한 분석적 저술로 이어졌다. 왕부는 「몽렬」을 통해 꿈을 열 가지로 분류하고[十夢], 꿈이 발생하는 원인, 꿈을 해석하는 방법, 꿈이 현실과 조응하는 방식과 몽자의 태도를 진지하지만 비판적으로 서술하였다. 왕부가 꿈에 대해 갖는 객관적 태도, 점몽 방법에 대한 소개, 꿈에 대한 서술은 이후의 고대 중국의 꿈 연구, 꿈에 대한 동서비교 연구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현남, 「『잠부론(潛夫論)』에 나타난 꿈(病夢)에 관한 연구」, 『韓國宗敎史硏究』 제13호, 한국종교사학회, 2005. | 미소장 |
2 | Marie-Louise von Franz 저, 이부영·이광자 옮김,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서울, 한국융연구원, 2018. | 미소장 |
3 | 成百曉 역주, 『詩經集傳(下)』,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2007. | 미소장 |
4 | 王符 저, 임동석 역주, 『潛夫論』(2), 서울, 동서문화사, 2009. | 미소장 |
5 | 유강하, 「“어떤 꿈이 참이 아니겠는가?[何夢非眞]” - 夢占逸旨』 「內篇」에 드러난 진사원의 꿈 인식 연구」, 『외국학연구』 제49호,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9. | 미소장 |
6 | 유강하,「고대 중국인의 꿈 기록 『몽점일지』(夢占逸旨)에 대한 연구-『몽점일지』 외편(外篇)을 중심으로」, 『인문연구』 제90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 미소장 |
7 | 劉文英 저, 하영삼·김창경 옮김, 『꿈의 철학: 꿈의 미신, 꿈의 탐색』, 동문선, 1993. | 미소장 |
8 | 陸馨, 「王符 ≪潛夫論≫ 硏究 :<讚學>篇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12. | 미소장 |
9 | 이준영 해역, 『周禮』, 서울, 자유문고, 2014. | 미소장 |
10 | 鄭太鉉 譯註, 『春秋左氏傳』(2),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2004. | 미소장 |
11 | 조원일, 「왕부(王符)의 천인관계론(天人關係論) 연구」, 『철학논집』 제57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 미소장 |
12 | 陳士元 저, 김재두 옮김, 『夢占逸旨』, 서울, 은행나무, 2008. | 미소장 |
13 | 진 쿠퍼 저, 이윤기 옮김,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서울, 까치, 2016. | 미소장 |
14 | 최진묵, 「중국 고대 夢占의 논리와 그 사회적 기능」, 『중국고중세사연구』 제16호, 중국고중세사학회, 2006. | 미소장 |
15 | Carl Gustav Jung 저, 한국융연구원 C.G.융 저작 번역위원회 옮김, 『원형과 무의식』, 서울, 솔, 2018. | 미소장 |
16 | 路英, 『中國式解夢』, 北京, 團結出版社, 2010. | 미소장 |
17 | 劉文英, 『星占與夢占』, 北京, 中央編譯出版社, 2008. | 미소장 |
18 | 麻餘森, 『殷墟甲骨文引論』, 長春, 東北師範大學出版社, 1993. | 미소장 |
19 | 沐言非 主編, 『詩經』, 北京, 北京聯合出版公司, 2019. | 미소장 |
20 | 范曄 撰, 李賢 等 注, 『後漢書』, 北京, 中華書局, 2003. | 미소장 |
21 | 司馬遷 撰, 裵駰 集解, 司馬貞 索隱, 張守節 正義, 『史記』, 北京, 中華書局, 1997. | 미소장 |
22 | 司馬遷, 『史記』(一), 中華書局, 2003. | 미소장 |
23 | 姚偉鈞, 『神秘的占夢』, 南寧, 廣西人民出版社, 2004. | 미소장 |
24 | 褚贛生, 『中國古代夢占』, 北京, 九州出版社, 2008. | 미소장 |
25 | 鄭均, 『讖緯考述』, 臺北, 文史哲出版社. 2000. | 미소장 |
26 | 陳士元, 『夢占逸旨』, 北京, 中華書局, 1985. | 미소장 |
27 | 彭丙成 注譯, 『新譯 潛夫論』, 臺北, 三民書國, 1998. | 미소장 |
28 | 何躍靑 編著, 『占夢文化』, 北京, 外文出版社, 201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