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17세기 프랑스 요정동화에 대한 독일에서의 수용양상에 주목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살펴보고, 요정동화에 대한 계몽적 풍자 내지 현대적 패러디로서 빌란트의 󰡔비리빈커 왕자의 이야기󰡕와 엔데의 동화소설 󰡔짐 크노프와 13인의 도적󰡕을 중심으로 작품 소개와 아울러 요정동화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다. 빌란트의 󰡔돈 실비오󰡕에 수록된 동화 「비리빈커 왕자의 이야기」는 ‘풍자적 개작의 패러디 Parodie einer Travestie’라는 서사적 특징을 지닌다. 빌란트의 동화에서는 현실과 마법의 세계를 동일시하던 주인공 비리빈커가 지속적으로 다양한 모습의 요정들과 우스꽝스러운 에피소드를 경험하며, 요정 및 마법적 존재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점차 스스로 환상적 세계에서 빠져나와, 현실과 마법의 세계를 구분하는 인식적 사고와 의식의 전환을 이루는 모습이 강조된다. 이때 요정들의 모습이 과장되거나 요정세계에 대한 풍자화, 그리고 웃음을 자아내는 요정들과의 대화는 독자로 하여금 고정된 관점을 허물고 다층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인식을 가능케 함으로써 요정동화가 경험적 계몽의 인식변화를 위한 계몽적 도구로서 작용한다. 엔데의 동화소설 󰡔짐 크노프와 13인의 해적󰡕의 환상세계에서는 현대의 기계문명과 자연과학의 발달이라는 사회의 변화가 반영되어 나타난다. 이때 풍자화된 요정세계에서는 요정들의 마법적 위력에 대한 기존의 경외심과 기적에 대한 고정 관념을 전복시키려는 작가적 의도가 암시된다. 엔데는 한편으로는 요정동화의 전형적인 모티브와 서술구조를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는 21세기 변화된 사회 환경을 그의 동화소설에 반영하고, 동화 속 기적에 대한 자연과학적 설명을 덧붙임으로써 그 개연성을 강조한다. 기계문명의 발달과 변화된 관점에서의 자연 인식, 변화된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동화를 통해서 표현되고 있다.

Der vorliegende Aufsatz liefert einen skizzenhaften Überblick über die deutsche Rezeption der französischen Feenmärchen im 18. und 19. Jahrhundert, wobei Einflüsse und interkulturelle Verbindungen zwischen den französischen und deutschen Feenmärchen herausgearbeitet werden. Bei der Liebes- und Heiratsthematik in Bezug auf ein Mädchen und einen jungen Mann handelt es sich um gattungstypische Merkmale der Feenmärchen. Als cultural content ziehen die Feenmärchen die modernen Leser nach wie vor an, und die Motive und erzählerischen Stoffe der Feenmärchen in verschiedenen medialen Adaptionen werden vorgestellt. Um die parodistischen Merkmale in deutschen Feenmärchen zu erörtern, werden hier Christoph Martin Wielands Feenmärchen Die Geschichte des Prinzen Biribinker (1764) und Michael Endes ‘moderne Feenmärchen-Parodie’ Jim Knopf und die Wilde 13 (1962) herangezogen. Anhand der Analyse von Die Geschichte des Prinzen Biribinker werden die satirischen und parodistischen Bearbeitungstendenzen von Wieland hinsichtlich der französichen Feenmärchen hervorgehoben. Der Hang der modernen Leser zum Wunderbaren und Fantastischen begründet immer noch die Beliebtheit der Feenmärchen. In Jim Knopf und die Wilde 13 travestieren die spielerischen Imaginationen von Ende die konventionellen Grundzüge der Feenmärchen. Doch zeigen sich Endes eigene literarischen Ansichten gegenüber Feenmärchen, wobei er die typische Liebes- und Heiratsgeschichte der Feenmärchen parodistisch übernimmt und zugleich seine Helden wieder auf die mythische Welt verweis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삶의 서사로서의 치매 서사 = Demenznarrativ als Lebensnarrativ 최윤영 p. 113-135

게르만족 대이동기의 브락테아테에 나타난 도상표현 = Ikonographische Darstellung der Brakteaten in der Völkerwanderungszeit 김미경 p. 137-158

요정동화의 횡단문화적 수용과 독일 요정동화 패러디 연구 = Untersuchung zur interkulturellen Rezeption der Feenmärchen in Bezug auf die deutsche Feenmärchen-Parodie : Am Beispiel von Wielands Die Geschichte des Prinzen Biribinker und Endes Jim Knopf und die Wilde 13 : 빌란트의 『비리빈커 왕자의 이야기』와 엔데의 『짐 크노프와 13인의 해적』을 중심으로 장영은 p. 83-111

마르틴 발저의 『필립스부르크에서의 결혼』에 나타난 전후 독일사회와 가족상 = Gesellschafts- und Familienbild der Nachkriegszeit in Martin Walsers Roman Ehen in Philippsburg : 사랑과 결혼, 섹슈얼리티, 남성/여성상을 중심으로 권혁준 p. 55-82

청년 빈의 유머러스한 자화상 = Ein humoristisches Selbstporträt von Jung-Wien Schnitzlers Novelle Später Ruhm : 슈니츨러의 노벨레 『늦은 명성』 함수옥 p. 5-27

예술의 자율성 = Autonomie der Kunst : Untersuchungen zu Carl Einsteins experimentalem Roman Bebuquin oder die Dilettanten des Wunders als kubistischem Roman und ‘absoluter Prosa' : '절대산문'과 '입체파 소설'로서의 칼 아인슈타인의 실험소설 『베부퀸 혹은 기적의 예술애호가들』 연구 이철우 p. 29-54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방정환(1993): 사랑의 선물 II, 신구미디어. 미소장
2 엔데, 미하엘(1996): 기관차 대 여행. 1,2 (선우미정 역), 길벗어린이. 미소장
3 엔데, 미하엘(2014):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 (선우미정 역), 길벗어린이 [초판 2004년]. 미소장
4 엔데, 미하엘(2006): 짐 크노프와 13인의 해적 (선우미정 역), 길벗어린이 [초판 2004년] 미소장
5 페로, 샤를(2012): 페로 동화집, 이경의 역, 지식을만드는지식. 미소장
6 Ende, Michael(2004): Jim Knopf und Lukas der Lokomotivführer. Stuttgart[1. Ausg.1960]. 미소장
7 Ende, Michael(2015): Jim Knopf und die Wilde 13. 13. Aufl. Suttgart[1. Ausg.1962]. 미소장
8 Straparola, Giovanni Francesco(2011): Ergötzliche Nächte, Hamburg: tredition GmbH. 미소장
9 Wieland, Christoph Martin(1769): Die Geschichte des Prinzen Biribinker. Hrsg.v. Dr. Carl Schüddekopf. 3.Aufl. Berlin/ Leipzig: Magazin-Verlag Jacques Hegner. 1904 [Project Gutenberg ebook: https://www.gutenberg.org/files/46580-h/ 46580-h.htm 2019.10.23.출력]. 미소장
10 Wieland(1814): Die Abenteuer des Don Sylvio von Rosalva, in: ders.: Sämtliche Werke. Bd. 11 u. 12. Carlsruhe. 미소장
11 Wieland, Christoph Martin(1982): Dschinistan oder auserlesenen Feen- und Geistermärchen. Berlin: Aufbau. 미소장
12 안상원(2015): 현실과 판타지 세계의 통로 -미하엘 엔데와 코르넬리아 푼케의 판타지 소설 연구, 인문과학,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05-335. 미소장
13 윤시향(2006): 아이러니와 웃음의 화합. 빌란트의 당나귀그림자 재판과 관련하여, 외국문학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117-135. 미소장
14 이성훈(2017),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에 실린 그림 동화 「잠자는 왕녀」에 나타난 동화모티프 연구, 217-237. 미소장
15 임정택(1989): C.M. Wieland의 Don Sylvio에 있어서의 환상의 유희와 문학적 소통, 인문과학,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33-164. 미소장
16 장영은(2017): 미하엘 엔데의 시대 비판적 상상력과 인종주의적 세계 – 엔데의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를 중심으로, 실린곳: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37집, 167-193. 미소장
17 최문선(2007): 독일 계몽주의 시대의 메르헨, 실린곳: 독일문학 101집, 5-30. 미소장
18 최민숙(2007): 미하엘 엔데의 아동청소년환상문학과 낭만주의 쿤스트메르헨의 상호텍스트성 - 엔데의 메르헨소설 모모(1973)를 중심으로, 실린곳: 독일문학 103집,78-103. 미소장
19 Berger, Klaus(1985): Michael Ende. Heilung durch magische Phantasie, 2. Aufl.(1988), Verlag und Schriftenmission der Evangelischen Gesellschaft für Deutschland: Wuppertal. 미소장
20 Buchman, Rudolf(1910): Helden und Mächten des romantischen Kunstmärchens – Beiträge zu einer Motiv- und Stillparallele, Leipzig: H. Haessel [Nachdruck des Originals von 1910. Paderborn]. 미소장
21 Dankert, Birgitt(2016): Michael Ende, WBG Darmstadt. 미소장
22 Ewers, Hans-Heino(2015): Kritische Gefolgschaft. Michael Ende und die Romantik, in: Kinder- und Jugendliteraturforschung, 2014/2015. Frankfurt/M., 69-85. 미소장
23 Ewers, Hans-Heino(2018): Michael Ende Neu Entdecken, Stuttgart. 미소장
24 Grätz, Manfred(1988): Das Märchen in der deutschen Aufklärung. Vom Feenmärchen zum Volksmärchen, Stuttgart. 미소장
25 Heinz, Jutta(Hrsg.)(2008): Wieland. Handbuch. Leben-Werk-Wirkung, Stuttgart: Metzler. 미소장
26 Jentgens, Stephanie(1997): Das Paradies der Kindheit. Michael Endes ‘Jim Knopf’, in: Bettina Hurrelmann (Hrsg.): Klassiker der Kinder- und Jugendliteratur, Frankfurt/M., 34-249. 미소장
27 Klotz, Volker(2002): Das europäische Kunstmärchen, 3. überarbeitete. u. erweiterte. Aufl., München. 미소장
28 Kümmerling-Meibauer, Bettina(2004): Klassiker der Kinder- und Jugendliteratur. Ein internationales Lexikon, Sonderausg., Stuttgart. 미소장
29 Lim, Jeong-Taeg(1988): Don Sylvio und Anselmus. Untersuchung zur Gestaltung des Wunderbaren bei C.M. Wieland und E.T.A. Hoffmann, Frankfurt/M. 미소장
30 Marx, Friedhelm(1995): Erlesene Helden. Don Sylvio, Werther, Wilhelm Meister und die Literatur. Heidelberg. 미소장
31 Rzeszotnik, Jacek (Hrsg.)(2000): Zwischen Phantasie und Realität. Michael Ende Gedächtnisband 2000, Passau. 미소장
32 Schweikle, Günther u. Irmgard (Hrsg.)(1990): Metzler Literatur Lexikon. Begriffe und Definitionen. Stuttgart. 미소장
33 Sommer, Cornelius(1971): Christoph Martin Wieland, Stuttgart. 미소장
34 Velten, Harry(2001): The Influence of Charles Perrault, in: Zipes, Jack(Selected & edited):The Great Fairy Tale Tradition. From Straparola and Basile to the Brothers Grimm, New York/ London, 958-968. 미소장
35 Zipes, Jack(2001): Cross-Cultural Connections, in: Zipes, Jack(Selected & edited): The Great Fairy Tale Tradition. From Straparola and Basile to the Brothers Grimm, New York/ London, 845-867. 미소장
36 Zipes, Jack(Selected & edited)(2001): The Great Fairy Tale Tradition. From Straparola and Basile to the Brothers Grimm, New York/ London. 미소장
37 https://de.wikipedia.org/wiki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