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장애인 평생교육 질적 연구 동향 분석 : 2007년~2018년까지의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trend of qualitative researches on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centered on paper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07 to 2018 / 장오선 ; 전병운 1
논문요약 1
I. 서론 2
II. 연구 방법 4
1. 분석 대상 논문 선정 4
2. 분석 절차 4
3. 신뢰도 6
4. 자료 분석 6
III. 연구 결과 6
1. 연구의 일반적 동향 6
2. 연구 목적 8
3. 연구 방법 9
4. 연구 주제(내용) 별 동향 11
IV. 논의 및 결론 20
참고문헌 26
Abstract 2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곽승철, 이유리, 임경원 (2010). 장애성인 평생교육 기관의 실태 및 개선방안. 정서・행동장애연구, 26(4), 207-247. | 미소장 |
2 | 권명숙, 임진선 (2018). 발달장애인 요리활동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발달장애연구, 22(2), 43-66. | 미소장 |
3 | 김두영, 김주영 (2015).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모형 개발. 장애인고등교육연구, 1(1), 85-103. | 미소장 |
4 | 김두영, 박인용, 박미진, 윤지현, 조창빈 (2016). 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에 관한 부모의 요구.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2(1), 37-64. | 미소장 |
5 | 김두영, 이경준 (2018).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요구. 경기도내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특수교육학연구, 53(1), 23-47. | 미소장 |
6 | 김미아, 김두영 (2017). 장애인야학 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및 저해 요인. 특수교육학연구, 51(4), 1-20. | 미소장 |
7 | 김수미 (2012). 교육연극(theatre in education)에 의한 장애성인의 자기결정권 행사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8 | 김용욱 (2009). 장애인 야학의 전개와 학생・교사 문화: 두 야학 이야기.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9 | 김정섭 (2015). 장애인평생교육의 시간적 의미.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0 | 김종식 임왕규 (2014). 노인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 179-189. | 미소장 |
11 | 김홍주 (2017). 평생교육차원의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 장애인영화제(PDFF)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2 | 노진아, 이윤숙, 강미애, 박동환, 이유리 (2011). 유아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10(1), 305-328. | 미소장 |
13 | 박석수 (2010). 지적장애성인의 취업중단 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4 | 박승민 (2012). 상담학 분야의 질적 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2), 953-977. | 미소장 |
15 | 손성화, 강영심, 이연재 (2016). 성인발달장애 자녀의 평생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기대.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5(3), 225-249. | 미소장 |
16 | 신경숙 (2017). 성인 발달장애인의 여가 음악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7 | 신빛나, 이준우 (2014).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지. 장애와 고용, 24(3), 35-66. | 미소장 |
18 | 신혜정 (2018). 수어로 풀어낸 농인 리더의 삶과 평생학습 이야기.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9 | 윤지현, 김호연, 김두영 (2016). 발달장애 자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만족도에 대한 부모 인식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15(1), 129-151. | 미소장 |
20 | 임은주, 최승숙 (2013).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대한 관계자의 인식 및 현황 분석. 지적장애연구, 15(3), 263-285. | 미소장 |
21 | 임혜경, 박재국, 이연재, 이주아 (2017). 중도 발달장애인을 위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의 참여자와 교사의 경험 탐색. 평생학습사회, 13(1), 73-103. | 미소장 |
22 | 장미숙 (2014). 성인장애인의 평생교육에 관한 욕구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3 | 정연수 (2017). 전환서비스 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경험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4 | 정연수 (2017). 대학 기반 비학위과정으로 운영된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프로그램실천 사례연구: D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19(1), 185-207. | 미소장 |
25 | 정연수, 이효숙 (2016).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참여한 복지관 종사자의 프로그램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2(2), 127-154. | 미소장 |
26 | 정진숙 (2017). 식자재기반 장애인 평생교육의 오감각 활용 교육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7 | 조창빈 (2018). 장애인평생교육시설 평가지표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8 | 조창빈, 김두영 (2016).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현황 및 요구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7(4), 1-24. | 미소장 |
29 | 조현진, 박재국 (2015).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인식유형. 특수교육학연구, 50(1), 235-260. | 미소장 |
30 | 주재승, 윤지현, 김두영 (2016).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20(1), 23-42. | 미소장 |
31 | 차세진, 황순영 (2017).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장애인평생학교 교육과정 구성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평생교육학연구, 23(4), 163-199. | 미소장 |
32 | 허 준, 노일경, 이경민 (2017). 장애성인 자녀를 둔 여성의 사회적 어머니 되기: 자기보고식 생애사의 의미연결망 분석에 기초하여. 평생학습사회, 13(4), 75-104. | 미소장 |
33 | Aluwihare-Samaranayake, D. (2012). Ethics in qualitative research: A view of the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world from a critical standpoint.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11(2), 64-81. | 미소장 |
34 | Cridland, E. K., Jones, S. C., Caputi, P., & Magee, C. A. (2015). Qualitative research with families living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Recommendations for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40(1), 78-91. | 미소장 |
35 | Fleming, A. R., Plotner, A. J., & Oertle, K. M. (2017).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Characteristics, the Academic Environ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Disability, 30(3), 209-221. | 미소장 |
36 | Guardino, C., & Cannon, J. E. (2015).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for students who are deaf and hard of hearing with disabilities: Addressing the challenges from birth to post secondary education. American annals of the deaf, 160(4), 347-355. | 미소장 |
37 | Johnson, M., O'Hara, R., Hirst, E., Weyman, A., Turner, J., Mason, S., ... & Siriwardena, A. N. (2017). Multiple triangulation and collaborative research using qualitative methods to explore decision making in pre-hospital emergency care.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17(1), 11. | 미소장 |
38 | VanderKaay, S., Moll, S. E., Gewurtz, R. E., Jindal, P., Loyola-Sanchez, A., Packham, T. L., & Lim, C. Y. (2018). Qualitative research in rehabilitation science: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40(6), 705-7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