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국내 중등 음악 교과서 제재곡에 나타나는 '도막형식'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the partite form in middle-school music textbooks / 안소영 ; 송무경 1
1. 서론 1
2. 18-20세기 서양음악의 형식의 이분법적 경향 4
2.1. 18-20세기 서양의 음악형식론 4
2.2. 1980년대 전후 국내 형식론 교재들의 경향 9
3. 도막형식의 구성요소 13
3.1. 마디 수 13
3.2. 작은악절 vs 큰악절 13
3.3. 마침 15
3.4. 디자인 16
4. 도막형식론의 재정립 17
4.1. 한도막형식 17
4.2. 두도막형식 21
4.3. 세도막형식(ABA) 26
5. 결론 30
참고문헌 33
[요약] 35
1955년 8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표된 음악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15 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내 중등음악교과서에서의 도막형식은 서양음악의 음악형식론의 발전과 더불어 변모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국내 음악 교과서에서는 종지와 선율적디자인을 중심으로 서술된 초기 교육과정에서의 도막형식이 점차 마디 수에 의하여 분류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마디 수가 아닌 마침이라는 화성적 요소를 도막형식을 판단하는중요한 요소로 삼아, 국내 가창곡에 적용될 수 있는 도막형식을 재정립하고, 도막형식을유형별로 분류하여 가창곡들의 형식을 분석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필자가 제안하는 도막형식이론은 이전과는 다른 일관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지며, 학교 현장뿐만 아니라 앞으로 교과서를 집필함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바란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낭만주의 시대의 이명동음 표기, 그 기능과 활용 = Function and application of enharmonic spelling in romantic period | 안소영, 송세라 | p. 9-36 |
|
보기 |
국내 중등 음악 교과서 제재곡에 나타나는 '도막형식'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the partite form in middle-school music textbooks | 안소영, 송무경 | p. 67-102 |
|
보기 |
디자인과 화성체계의 상관관계로 살펴본 핵심 아이디어의 활용 = The utilization of core figure examined in correlation between design and harmonic system | 이내선 | p. 37-6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연. 음악이론의 역사. 서울: 심설당, 2006. | 미소장 |
2 | 김연. (책임편집).음악이론과 분석. 서울: 심설당, 2005. | 미소장 |
3 | 나운영. 악식론.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0. | 미소장 |
4 | 나운영. 음악형식론. 서울: 민중서관, 1962. | 미소장 |
5 | 안일웅. 음악형식론. 서울: 학문사, 1974. | 미소장 |
6 | 양윤선. “우리나라 음악교과에 나타난 음악형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7 | 윤양석. 음악 형식론: 악식과 분석.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6. | 미소장 |
8 | 정이은. “형식, 내용, 정신, 그리고 역사: 아돌프 베른하르트 마르크스의 형식론에 담긴 사상적면모.” 음악논단 23 (2009): 133-158. | 미소장 |
9 | Bent, Ian. “Liedform.” Grove Music Online. | 미소장 |
10 | Bent, Ian and Anthony Pople. “Analysis.” I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ell. 2nd ed. London: Macmillan, 2001.“분석,” 강용식 외 편역. 음악이론과 분석, 김연 책임편집. 서울: 심설당, 2005. | 미소장 |
11 | Berry, Wallace. Form in Music. NJ: Prentice-Hall, 1986. | 미소장 |
12 | Burnham, Scott. “The Role of Sonata Form in A. B. Marx’s Theory of Form.” Journal of Music Theory 33/2 (1989): 247-271. | 미소장 |
13 | Burnham, Scott. “Form.” In Cambridge History of Western Music Theory. Edited by Thomas Christensen: 880-906.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 미소장 |
14 | Green, Douglass. Form in Tonal Music.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9. | 미소장 |
15 | Kim, Yeon. “‘Boundaries’ and ‘Thresholds’: Conceptual Models of the Musical Mind in the History of Music Psychology.” Psychology of Music 42/5 (2014): 671–691. | 미소장 |
16 | Leichtentritt, Hugo. Musikalische Formenlehre. Breitkopf & Härtel, 1911, 1927, 1964. 최동선역. 음악형식론(서울: 현대음악출판사, 1986, 2003). | 미소장 |
17 | Lemacher, Heinrich and Hermann Schroeder. Formenlehre der Musik. Musikverlage Hans Gerig, 1962. 이종구 옮김. 음악의 형식. 서울: 수문당, 1985. | 미소장 |
18 | Lehmann, Friedrich. J. The Analysis of Form in Music. Ohio: A.G. Comings & Son, 1919. 이성천 번역. 음악형식과 분석. 서울: 수문당, 1976. | 미소장 |
19 | Lester, Joel. Compositional Theory in the Eighteenth Centur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 미소장 |
20 | Marx, Adolf B. Musical Form in the Age of Beethoven: Selected Writings on Theory and Method (Cambridge Studies in Music Theory and Analysis). Edited by Scott Burnha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 미소장 |
21 | Moreno, Jairo. “Challenging Views of Sequential Repetition: From Satzlehre to Melodielehre.”Journal of Music Theory 44/1 (2000): 127-169. | 미소장 |
22 | Palisca, Claude and Ian Bent. “Theory, theorists.” I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ell. 2nd ed. London: Macmillan, 2001. “이론⋅이론가들,” 김연 편역. 음악이론과 분석, 김연 책임편집. 서울: 심설당, 2005. | 미소장 |
23 | Prout, Ebenezer. Applied Forms: a Sequel to Musical Form. London: Augener, 1970 printing, c1895. | 미소장 |
24 | Spencer, Peter and Peter M. Temko. The Study of Form in Music. New Jersey: Prentice-Hall, 1988. | 미소장 |
25 | Spitzer, Michael. “Marx’s ‘Lehre’ and the Science of Education: Towards the Recuperation of Music Pedagogy.” Music and Letters 79/4 (1998): 489–526. | 미소장 |
26 | Spring, Glenn and Jere Hutcheson. Musical Form and Analysis. Iowa: Wm. C. Brown Communications, 1995. | 미소장 |
27 | Stein, Leon. Structure and Style: The Study and Analysis of Musical Forms. Summy-Birchard Co., 1962. 박재열⋅이영조 공역. 음악형식의 분석연구.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76. | 미소장 |
28 | Waldbauer, Ivan F. “Riemann’s Periodization Revisited and Revised.” Journal of Music Theory 33/2 (1989): 333-391. | 미소장 |
29 | Whittall, Arnold. “Form.” I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ell. 2nd ed. London: Macmillan, 200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