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캐나다 기숙학교라는 어두운 과거사가 이슈화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기숙학교는 유럽 캐나다인에 의해 자행된 식민주의 동화정책의 극단적 사례로, 오랜 침묵과 은폐를 넘어서 화해와 기억의 역사로 재구성되고 있다.

어두운 과거사의 인정과 가해 책임을 바탕으로 화해를 모색하는 가운데 정착자 식민주의라는 캐나다적 특수성을 극복하기 위한 각별한 노력은 ‘대화와 상호관계성’, ‘화해 과정의 불완전성 공유’라는 새로운 지향을 제공해주고 있다.

첫째, 기숙학교의 공적기억화를 통해 과거의 역사가 현재 이슈로 재생되는 관계성을 유지하고 서로 대화한다.

둘째, 역사교육과 사회적 이슈가 서로 조응하고 보완되고 있다. 정치담론에 의해 봉합된 선언적 결과가 교육에 이식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문제의 논의가 사회적 이슈의 형성과 해결 과정의 중요한 축을 이루며 양자는 상호 소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성을 유지하는 동력은 화해의 불완전성을 인정하고 완전한 단계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려는 인식을 공유하는 데 있다.

또한 기숙학교의 이슈는 해당 역사상에 대한 문제만이 아니라 그것을 다루는 역사학습 방법에 대한 문제를 제안함으로써 어두운 과거사의 논의를 확대하고 있다.

캐나다가 추구하는 지속 확산적 지향은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이 기초가 되었으며 피해 당사자의 적극적인 폭로와 증언이 동력이 되었다. 이런 점에서 기숙학교의 사례는 서발턴의 자기 재현 가능성에 주목하는 새로운 영역을 제공해주고 있기도 하다.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선주 외, 『세계는 역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 한울, 2018. 미소장
2 Asch, Michael, Aboriginal and Treaty Rights in Canada: Essays on Law, Equity, and Respect for Difference(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97). 미소장
3 Assembly of First Nations, Report on Canada’s Dispute Resolution Plan to Compensate for Abuses in Indian Residential Schools(2004). 미소장
4 Haig-Brown, Celia, Resistance and Renewal: Surviving the Indian Residential School (Vancouver: Tillicum Library, 1988). 미소장
5 Library and Archive Canada, Terminology Guide: Research on Aboriginal Heritage Miller, J. R, Shingwauk’s Vision: A History of Native Residential Schools(Toronto: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6). 미소장
6 Milloy, John, A National Crime: The Canadian Government and the Residential School System 1879–1986(Winnipeg: University of Manitoba Press, 1999). 미소장
7 Morris, Rosalind C.(ed.),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an India: Can the Subaltern Speak?(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미소장
8 ONTARIO Minstry of Education,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9 AND 10-Canadian and World Studies(2013). 미소장
9 ONTARIO Minstry of Education,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9 AND 10-Canadian and World Studies(2018). 미소장
10 Royal Commission on Aboriginal Peoples, Looking Forward, Looking Back: Report of Royal Commission On Aboriginal Peoples(1996). 미소장
11 Smith, L. T., Decolonizing Methodologies: Research and Indigenous Peoples(London:Zed Books, 2008). 미소장
12 Titley, Brian E., A Narrow Vision: Duncan Campbell Scott and the Administration of Indian Affairs in Canada(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86). 미소장
13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Canada, Canada’s Residential Schools:Reconciliation. The Final Report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Canada, Vol. 1~6(Montreal: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5). 미소장
14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Canada, The Survivors Speak (2015). 미소장
15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Canada, Honouring The Truth, Reconciling For The Future; Summary of the Final Report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Canada(Toronto: James and Lorimer & Company Ltd, 2015). 미소장
16 Union of Ontario Indians, An Overview of the Indian Residential School System (2013). 미소장
17 York, Geoffrey, The Dispossessed: Life and Death in Native Canada(London: Vintage Press, 1990). 미소장
18 구난희, 「1990년대 이후 역사교육 정책 네트워크의 구조와 양상 변화」 『歷史敎育』127, 2013. 미소장
19 김진아, 「미국에서 논쟁 수업을 둘러싼 논의」 『역사교육연구』34, 2019. 미소장
20 조한욱, 「타자의 역사: 그 외연과 내포」, 2003년 역사학대회발표집, 2003. 미소장
21 진태원, 「서발턴은 정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한겨레신문』, 2014. 12. 25. 미소장
22 Enabling the Autumn Seed: Toward a Decolonized Approach to Aboriginal Knowledge, Language, and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23 Calderon, Dolores, “Uncovering Settler Grammars in Curriculum”, Educational Studies:A Journal of the American Education Studies Association 50(2014). 미소장
24 Chrisjohn, Roland D., D. Pace, S. Young and M. Mrochuk,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First Nations: Ethics, Theory and Practice”, Mokakit Journal of Canadian Native Research, Vol. 4(1)(1993). 미소장
25 The Settler Grammar of Canadian History Curriculum: Why Historical Thinking Is Unable to Respond to the TRC’s Calls to Action 네이버 미소장
26 Department of the Interior, “Report on Industrial Schools for Indians and Half-Breeds: Nicholas Flood Davin. 14th March 1879”, Canada Annual Report(1880). 미소장
27 Dorrell, Matthew, “From Reconciliation to Reconciling: Reading What ‘We Now Recognize’ in the Government of Canada’s 2008 Residential Schools Apology”, ESC English Studies in Canada, Vol. 35(2009). 미소장
28 Fee, Margery,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Canada”, Canadian Literature; Vancouver, Vol. 215(2012). 미소장
29 Liguori, Guido, “Conception of Subalternity in Gramsci”, Mark McNally(ed.), Antonio Gramsci (London: Palgrave Macmillan, 2015). 미소장
30 Marker, Michael, “Teaching History from an Indigenous Perspective: Four Winding Paths up the Mountain”, Penney Clark(ed.), New Possibilities for the Past:Shaping History Education in Canada(Vancouver: UBC Press, 2011). 미소장
31 Doing Public History in Canada’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네이버 미소장
32 Milloy, John, “Indian Act Colonialism A Century OF Dishonour, 1869-1969”, Research Paper For The National Center For First Nations Governance(2018). 미소장
33 Squaring the circle: how Canada is dealing with the legacy of its Indian residential schools experiment 네이버 미소장
34 Prakash, Gyan, “The Impossibility of Subaltern History”, Nepantla: View from South, Vol. 1(2)(2000). 미소장
35 Book Reviews 네이버 미소장
36 `Indian drum in the house':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an apology for Canadian residential schools and the public's response 네이버 미소장
37 Seixas, Peter, “Indigenous Historical Consciousness: An Oxymoron or a Dialogue?”, Mario Carretero, Mikel Asensio and Maria Rodríguez-Moneo(eds.), History Educ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ies(Charlotte: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12). 미소장
38 Spivak, Gayatri Chakravorty, “Can the Subaltern Speak?”, Rosalind C. Morris(ed.),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an India: Can the Subaltern Speak?(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미소장
39 Wertsch, James V., “Specific Narratives and Schematic Narrative Template”, Peter Seixas(ed.), Theorizing Historical Consciousness(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4). 미소장
40 Settler colonialism and the elimination of the native 네이버 미소장
41 Yaworski, Kiply, “Gifts from God”, The Presbyterian Record, Vol. 132(5)(200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