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조직공정성, 혁신행동,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 관계 규명에 대한 연구 : 지식공유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perceived by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memb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 권혁삼 ; 한용희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2.1.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3

2.2. 조직공정성과 고객지향성의 관계 4

2.3. 혁신행동과 조직몰입의 관계 5

2.4. 혁신행동과 고객지향성의 관계 6

2.5. 조직공정성, 혁신행동과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 관계에 있어 지식공유행동의 매개효과 6

III. 연구 방법 9

3.1. 연구 대상 9

3.2. 측정 도구 11

3.3. 연구 모형 및 자료 분석 방법 14

IV. 연구 결과 15

4.1. 기초통계 분석 결과 15

4.2. 연구 모형에 따른 분석 결과 15

V. 논의 20

참고문헌 22

저자사항 (Author(s) Note) 26

Abstract 27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조직공정성, 혁신행동,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 관계를 규명하고 지식공유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경쟁력을 높이기위한 효과적인 조직운영과 인적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249매의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 고객지향성에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혁신행동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몰입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은 지식공유행동에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지식공유행동은 조직몰입,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조직공정성, 혁신행동과 조직몰입, 고객지향성의 관계에 있어 지식공유행동의 매개효과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중소기업의 제도적 측면에서 조직공정성과 인적 측면에서 혁신행동 강화를 통해 지속적 경영성과로서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더불어 중소기업에서 지식경영 실천을 위한 지식공유행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SMEs as well 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is study also aimed to derive ways of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human management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SMEs.

[Methodology]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employees of SMEs and data from 249 people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21.0 and AMOS21.0.

[Findings] In SMEs, organizational justice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SMEs, innovative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but it does not have a positive a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show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behavior in SMEs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SME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Finally,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innova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mplications] The study presented way of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s a continuous management performance that is driven by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innovation behavior in terms of human resources of SMEs and ways of knowledge sharing activation for knowledge management practice in SMEs were as wel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창업기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s on resident companies : comparison of moderating effect and operator : 서울지역 BI 운영주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미경, 김정인 p. 133-158

보기
대학 공시정보를 활용한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여부 예측 = Prediction of the pass/fail in accreditation of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 published data analyses in a discrete choice model : 이산선택모형에 의한 대학알리미 공시정보 분석 이동현, 조순정 p. 49-70

보기
회계담당자의 경력과 감사시간 = The association between career of accounting officers and audit hours 김현아, 정남철 p. 71-90

보기
독일 인더스트리 4.0 기업교육 모델의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 팩토리 교육 적용을 위한 고찰 = A study on application of fraunhofer industry 4.0 layer model for Korean SMEs' smart factory training 김은희 p. 91-112

보기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ocus on individual innovation performance= 조절초점이 종업원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종업원의 창의성의 매개효과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creativ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reative self-efficacy Guo, Song, Chung, Soo-Jin p. 1-26

보기
창업자의 기업가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n financial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주헌 p. 255-278

보기
자동차산업에서 서비타이제이션의 특성에 따라 구매자의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about the buyer's attributes of servitiz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 repurchase intention in the automobile industry 김슬아, 이창원 p. 233-253

보기
중소기업 구성원이 지각한 조직공정성, 혁신행동,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간 관계 규명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perceived by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memb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 지식공유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혁삼, 한용희 p. 181-207

보기
주요주주의 스튜어드십 코드 참여와 기업의 배당 의사결정 = Blockholders' stewardship code participation and firms' dividend payout decisions 강평경, 박재형 p. 159-179

보기
네트워크 활동원천에 따른 사업성과 =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network sources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rning : 학습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채연희, 박성희 p. 27-48

보기
명의상 대표이사의 존재와 MD&A 공시품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istence of nominal CEO and MD & A disclosure quality 박하연, 이아영 p. 113-131

보기
메타포를 통한 조직분석 = Organizational analysis through metaphors : the case of organizational separation and reorganization : 분사와 조직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홍승현, 이재근, 허문구 p. 209-231

보기

참고문헌 (6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수일, 한주희(2009). 조직몰입과 직무동기의 다차원관계: 자기결정감에 의한 접근. 산업경제연구. 22(3): 1017-1038. 미소장
2 권나경, 이상재, 김혜린(2014). 조직공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기업의 고용형태를조절효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237-246. 미소장
3 김경수, 김태인(2010). SEM을 이용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생산성논집. 24(3): 25-57. 미소장
4 김 구(2007). 지식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환경과 혁신행동 요인의 탐색.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7(2): 107-135. 미소장
5 김성혁, 황수영(2006). 패밀리 레스토랑 종사원의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9(4): 165-184. 미소장
6 김미숙, 홍관수(2014). 서비스 기업의 조직공정성, 사회자본,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의 관계에 관한연구. 기업경영연구. 21(3): 15-33. 미소장
7 김미주(2008).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공정성, 조직몰입, 고객지향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8 노수근(2015). 지식공유가 흡수역량, 심리적 자본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9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활용. 구조방정식 특강. 미소장
10 문형구, 최병권, 고욱(2009).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인사조직연구. 17(2): 229-306. 미소장
11 배병렬(2006).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이해와 활용. 도서출판 청람. 미소장
12 백 훈(2014). 중소기업의 고객지향성과 경쟁자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거래특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3 손승연, 박희태, 윤석화(2013). 상호작용 공정성과 과업성과: 리더인정 및 심리적 계약의 매개효과. 인사조직연구. 21(3): 229-260. 미소장
14 손정미(2019). 지식공유, 혁신행동, 직무만족 및 일몰입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5 신병로, 최우성, 서강태(2016). 호텔종사원의 조직공정성이 선제적 행동과 지식공유의도에 미치는영향에 있어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관광학연구. 41(1): 105-131. 미소장
16 신제현, 하동현(2016). 관광공무원의 지식공유와 지식활용에 따른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0(11): 19-34. 미소장
17 어윤선(2013). 외식업체 직원의 성격특성에 따른 혁신행동과 조직몰입간의 관계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6(2): 371-387. 미소장
18 오진주(2019). 대기업 팀의 혁신행동과 응집성, 정보교류체제 및 지식공유행동의 관계에서 팀장-팀원 교환관계와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9 유정화, 김형곤(2018).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공정성 지각, 심리적 주인의식, 지식공유,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근무기간의 조절효과. 관광학연구. 42(1): 133-152. 미소장
20 유지수, 김주영, 조봉순, 김혜정(2008).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학습조직 분위기가 6시그마 몰입과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22(4): 23-50. 미소장
21 유현선(2016). 기술이 서비스 혁신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내 지식 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8(4): 43-67. 미소장
22 윤병섭, 이영안, 이홍재(2010).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연구. 10(3): 219-238. 미소장
23 이금심, 황복주(2016).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초록집:481-510. 미소장
24 이영아, 전다혜, 박남수(2019). 서비스종사원의 조직공정성지각이 조직신뢰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4(2): 211-232. 미소장
25 이영진(2019). 조직지원인식, 지식공유, 직무만족 및 일 몰입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대학원. 미소장
26 이유안, 노호정, 김인신(2015). 호텔 기업에서의 조직 학습 역량이 조직 혁신성 지각, 발언 및 지식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종사원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7(2): 5-20. 미소장
27 이지우, 김종우, 김일천(2003).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지원이 종합병원 직원들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13(1): 46-68. 미소장
28 이철기, 이광희(2007).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비교 연구. 중소기업연구. 29(3): 75-98. 미소장
29 이호길, 서철현(2002). 호텔기업의 지식경영 핵심요인과 지식공유문화가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17(2): 87-107. 미소장
30 이혜미, 한진수(2015). 호텔의 지식공유영향요인에 따른 지식공유가 서비스 혁신행동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4(4): 79-96. 미소장
31 임은영(2019). 직무특성, 혁신행동,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조절효과-중소 인터넷 언론사 종사자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미소장
32 임은영, 이선규(2018). 조직공정성과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중소언론사 종사자를 대상으로-. 융합정보논문지. 8(1): 291-300. 미소장
33 임준철, 윤정구(1998).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적 맥락이 조직성원의 행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27(1): 93-111. 미소장
34 장용선(2010). 조직문화 유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향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23(5): 2793-2813. 미소장
35 정기영, 송영렬, 정유수(2016). 건설업의 지식경영 영향요인이 지식경영활동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산회계연구. 14(1): 39-63. 미소장
36 정경구, 강종구, 강남원(2011). 프로축구 구단 직원의 조직공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541-555. 미소장
37 정현우, 김창호(2006). 종업원의 감성지능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0(4): 29-61. 미소장
38 조규태(2010). 카지노 종사원의 조직공정성지각과 고객지향성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대학원. 미소장
39 조성준(2015). 지식공유 의도의 영향용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4): 129-153. 미소장
40 조윤형(2014). 상호작용공정성,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 조직비전 인식과의 관계. 인적자원관리연구. 21(4): 131-152. 미소장
41 지윤호, 박태수(2017). 호텔기업 구성원의 지식경영활동이 서비스 혁신행동, 조직 헌신,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32(5): 325-341. 미소장
42 진선미(2013). 대학 행정직원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43 하용규(2010). 호텔기업 조직공정성과 종사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수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0): 368-377. 미소장
44 한정훈(2018). 업무혁신 프로그램의 적합도와 관계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산업혁신연구. 34(4): 47-57. 미소장
45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161-177. 미소장
46 Self-leadership skills and innovative behavior at work 네이버 미소장
47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 Exa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네이버 미소장
48 Interactional, Formal, and Distributive Justice in the Workplace: An Exploratory Study 네이버 미소장
49 JUSTICE, TRUST, AND TRUSTWORTHINESS: A LONGITUDINAL ANALYSIS INTEGRATING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네이버 미소장
50 Davenport, T. H., and Prusak, L. (1998). Working Knowledge: How Organizations Manage What They Know.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미소장
51 Encouraging knowledge sharing among employees: How job design matters 네이버 미소장
52 A model of knowledge-sharing motivation 네이버 미소장
53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네이버 미소장
54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and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Prentice Hall. 미소장
55 Holt, J. K. (2004). Item parcel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optimum solutions. In Paper presented at the 2004 annual meeting of the mid-we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olumbus: OH. 미소장
56 Janssen, O. (2004). How fairness perceptions make innovative behavior supportiveness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44: 1039-1050. https://doi.org/10.1002/job.238 미소장
57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58 Total quality management and performance appraisal: An integrative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59 Moorman, R. H.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 citize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l(76): 845-855. https://doi.org/10.1037/0021-9010.76.6.845 미소장
60 The Effect of a Market Orientation on Business Profitability 네이버 미소장
61 The Contribution of Shared Knowledge to IS Group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62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네이버 미소장
63 Going beyond technology: Knowledge sharing as a tool for enhancing customer-oriented attitudes 네이버 미소장
6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네이버 미소장
65 Why Do Employees Resist Change? 네이버 미소장
66 West, A., and Farr, J. L.(1989). Innovation at work, West, M. A. & Farr, J. L. (eds.).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John Wiley & Sons 3-13. 미소장
67 West, S. G., Finch, J. F., and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Hoyles, R. H.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Issues, Concepts, and Applications. Sage. 미소장
68 A measure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