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우선 소설의 플롯을 삶의 욕망과 죽음의 충동 사이의 긴장이 마련하는 역동적 공간으로 분석한 피터 브룩스의 모델에 성적 관계에 대한 프로이트의논의로부터 도입한 인물 구도를 결합한 ‘오디세우스 마스터플롯’을 설정했다. 이 마스터플롯이 근대 소설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형태로 변주되고 있으며 그 변주의방식에서 시대적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전제를 이루고 있다. 이글은 그와 같은 전제를 바탕으로 오디세우스 마스터플롯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무진기행」과 그 대항서사라고 할 수 있는 『도가니』(공지영), 「오직 한 사람의 차지」(김금희), 『다른 사람』(강화길), 「넌 쉽게 말했지만」(이주란) 등을 비교하면서그 마스터플롯이 여성의 관점에서 변형, 전도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젠더의식의 변화 과정이 맺는 상관관계를 드러내고자 했다. 그를 통해 젠더 의식의 변화를 소설적으로 형상화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defines the odysseus masterplot combining Peter Books’s plot model with Freud’s discussion on the masculine sexual desire. It is thought that the masterplots have been maldistributed in modern korean narratives and the difference in them can explain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 of that period. On that premise, I compared the odysseus masterplot in “Mujingiheng”(A Journey to Mujin(霧津)) with its counter narratives, such as Gong Ji-young’s Dogany(melting pot), Kim, Keum-hee’s “Ojik Han Saramui Chaji(only one person’s possession)”, Kang Wha-gil’s Dareun Saram(the next person), Lee Ju-ran’s “Neon Swipge Malhaetjiman though you said simply)” and got to confirm that the change of gendered consciousness was projected in the transition of the masterplo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김석범 대하소설 『화산도』에 나타난 장소와 공간의 의미 = The meanings of place and space in Hwasando(Volcanic Island) : 밀항, 이카이노, 경성(서울)에 대한 묘사를 중심으로 권성우 p. 35-65
속물의 고고학 = Archaeology of snobs : a study on Lee Ho-cheol's "Sosimin" : 이호철의 『소시민』 연구 김영찬 p. 109-134
민중'을 향한, 전도적 상상력과 전복(顚覆)의 서사 = The narrative of revolutionary imagination and reform of the people : a study on Shin Chae-ho's literature : 신채호 문학(론)에 대한 고찰 조영란 p. 255-283
최정희 친일문학의 특수성 연구 = Study on peculiarity of Choi Jeong-hee's pro-Japanese literature : between the signifier of 'nation' and 'women' : '민족'과 '여성'의 기표 사이에서 박수빈 p. 135-168
서사소통 체계에서 의미의 논리 = Logic of meaning in narrative communication : 「종생기」론 송기섭 p. 195-219
1920년대 초 사회주의 비평 담론과 진화론 인식 = Discourse on socialist critique and cognition of the evolutionary theory in the early 1920s 이만영 p. 221-254
구원 없는 재난 서사와 혐오의 정서 = Disaster narrative without salvation and hateful emotion : focusing on Kim Ae-ran's 『Goliath in the water』 and Son Hong-gyu's 『Seoul』 : 김애란의 「물속 골리앗」과 손홍규의 『서울』을 대상으로 김영삼 p. 67-107
염상섭 소설의 전쟁 미망인 = The war widows in Yeom Sang-seop's novels 공종구 p. 5-34
오디세우스 마스터플롯의 여성적 전도 과정 = A study on the process of feminist transition of the odysseus masterplot in modern Korean narrative : focus on the counter narratives against "Mujingiheng(霧津紀行)" : 「무진기행」의 대항서사들을 중심으로 손정수 p. 169-193
'국민문학'의 기획과 '신지방주의'론 = Planning of Kukmin-munhak (national literature) and new localism theory : focusing on Kim Jong-han and Choi Jae-seo : 김종한, 최재서를 중심으로 천춘화 p. 285-316

1945년 해방기부터 1950년대 전쟁기까지 방인근의 탐정소설 = The composition of criminals in the detective fiction of Bang In-geun from the 1945~1950s : 범인 설정 구도를 중심으로 최애순 p. 317-363
1960년대 근대화와 '보통' 여성의 문학 행위 = The modernization in 1960s and 'ordinary' women's literary acts : Park Wan-Seo's writing on Naked Tree(1970) and being a writer : 박완서의 『나목』 창작 및 등단 과정을 중심으로 한경희 p. 365-411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승옥, 「무진기행」, 『김승옥 소설 전집 1』, 문학동네, 1995, 125-152. 미소장
2 공지영, 『도가니』, 창비, 2009. 미소장
3 김금희, 「오직 한 사람의 차지」, 『문학과사회』, 2017. 봄, 92-119. 미소장
4 허희·김금희·정세랑·최은영, 「세대·젠더·문학: 30대·여성·소설(가)—새봄을 여는 특집 좌담」, 『문학 선』, 2017. 봄, 18-50. 미소장
5 강화길, 『괜찮은 사람』, 문학동네, 2016. 미소장
6 강화길, 「농담-김승옥「乾」」, 『문예중앙』. 2017. 봄, 320-329. 미소장
7 강화길, 『다른 사람』, 한겨레출판, 2017. 미소장
8 이주란, 『모두 다른 아버지』, 민음사, 2017. 미소장
9 이주란, 「넌 쉽게 말했지만」, 『21세기문학』, 2018. 가을, 321-348. 미소장
10 이주란, 「한 사람을 위한 마음」, 『AXT』, 2019. 5·6, 154-175. 미소장
11 김보배, 「김승옥 소설에 드러나는 메두사 신화 속 인물 연구」, 명지대 석사학위논문, 2019. 미소장
12 김홍중, 「기생(寄生) 혹은 죽음의 불가능성—「무진기행」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 『문학동네』, 2013. 가을, 609-628. 미소장
13 노성숙, 『사이렌의 침묵과 노래: 여성주의 문화철학과 오디세이 신화』, 여이연, 2008. 미소장
14 신샛별, 「지방-여성 서사의 문학사적 반격—강화길론」, 『문학과사회 하이픈』, 2018. 가을, 109-139. 미소장
15 신형철, 「여성을 여행하(지 않)는 문학」, 『한국근대문학연구』 5(2), 2004. 10, 199-238. 미소장
16 정장진, 「무진기행을 위하여, 혹은 무의식의 여행을 위하여」, 『작가세계』, 1996. 겨울, 388-399. 미소장
17 Abbott, Porter,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18 애트우드, 마거릿, 『페넬로피아드』, 김진준 역, 문학동네, 2005. 미소장
19 브룩스, 피터, 『플롯 찾아 읽기』, 박혜란 역, 강, 2011. 미소장
20 펠스키, 리타, 『근대성과 페미니즘』, 김영찬·심진경 역, 거름, 1998. 미소장
21 프로이트, 지그문트, 김정일 역, 「불륜을 꿈꾸는 심리」,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1996, 159-17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