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순화. (2016). 메가이벤트 개최지의 사회자본과 사회적 가치, 공동체의식 및 협력의사 간의영향관계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0권 제3호, pp.147-171. |
미소장 |
2 |
곽기영. (2017). 「소셜 네트워크 분석」. 서울: 도서출판 청람. |
미소장 |
3 |
김성곤. (2011).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의 활용. 「교과교육학연구」, 제15권 제2호, pp.371-390. |
미소장 |
4 |
김숙연⋅강수진. (2017). 사회적기업 성과와 정부지원금과의 관련성.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7권 제2호, pp.1-20. |
미소장 |
5 |
구승회⋅이진석. (2017). 기업 경영환경과 융합기술 성과 및 사회적 가치 간 관련성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제30권 제12호, pp.2251-2276. |
미소장 |
6 |
김도훈⋅문태훈⋅김동환. (1999). 「시스템 다이내믹스」. 서울: 대영문화사. |
미소장 |
7 |
김동환⋅안지영. (2009). 녹색성장에 관한 이명박 대통령의 인지지도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10권, 제4호, pp. 39-51. |
미소장 |
8 |
김동환. (2010). 녹색성장에 내재된 정책 딜레마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11권제2호, pp.29-44. |
미소장 |
9 |
김동환.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18권 제1호, pp.5-21. |
미소장 |
10 |
김동환⋅정창권⋅김승범. (2019). 저출산 정책과 일자리 정책의 연결을 통해 드러나는 피드백루프,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20권 제4호, pp.25-43. |
미소장 |
11 |
김은정. (2017). 한국의 사회학 연구영역에서의 근거이론의 활용방법과 전개, 그리고 향후 방향의 모색. 「한국사회학」, 제51권, 제3호, pp.37-70. |
미소장 |
12 |
김은희⋅이용재. (2017).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태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602-612. |
미소장 |
13 |
김호철⋅정석. (2016). 대학 지역사회 공헌활동의 사회적 가치 측정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7권 제2호, pp.159-175. |
미소장 |
14 |
노영숙⋅장지현. (2018). 지역사회에 기반한 사회적기업의 딜레마.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8권 제1호, pp.27-52. |
미소장 |
15 |
노영희. (2017).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34권 제2호, pp.181-214. |
미소장 |
16 |
사이람. (2018). 「Using Netminer Script」. 서울: 사이람. |
미소장 |
17 |
이성신. (2009). 근거이론 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추구 행태모델제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1호, pp.5-28. |
미소장 |
18 |
이형재⋅류선호. (2012). 사회적 가치가 사회적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동일시의 효과,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4권 제1호, pp.197-216. |
미소장 |
19 |
장지현. (2017).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사회적기업 지속가능성 시나리오 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63-86. |
미소장 |
20 |
장지현. (2012). 교육바우처제도의 운용과정연구-사회적기업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2권 제1호, pp.109-156, |
미소장 |
21 |
장지현. 최영출. (2017). 주민참여 영향요인이 도시발전 수준에 미치는 인과관계 분석: 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의 적용. 「한국지방행정학보」, 제14권, 제1호, pp.125-152. |
미소장 |
22 |
조영복⋅신경철. (2013).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 측정을 위한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연구」, 제6권 제1호, pp.51-82. |
미소장 |
23 |
조영복. (2010). 「SROI: 사회적 투자수익률 측정 가이드」.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24 |
진희선. (2013). 한국 사회적기업에서의 사회적 가치와 그 구성요소에 대한 논의, 「윤리연구」, 제91권, pp.127-167. |
미소장 |
25 |
최남희. (2017). 창업생태계의 성장과 한계에 대한 피드백 구조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18권 제4호, pp.117-145. |
미소장 |
26 |
최남희. (2018). 지역에서의 법인수 변화요인 탐색과 동태성의 인과순환적 구조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제19권 제4호, pp.145-179. |
미소장 |
27 |
최유진. (2016).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기업의 확산: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한 실증분석,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제2016권 제1호, pp.587-606. |
미소장 |
28 |
최영출. (2019). 공적개발원조 (ODA) 에 있어서 효과성 측정방법론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3권 제4호, pp.1-27. |
미소장 |
29 |
최영출. (2010). 최적화 방법을 활용한 지역교육청 총액인건비 표준 공무원 수 추정.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 pp.185-204. |
미소장 |
30 |
최영출. (2017). 「사회공헌 성과측정 연구과제」. 렛츠런재단 연구보고서. |
미소장 |
31 |
최은정⋅김수현. (2013). 사회적 가치 일치성이 사회적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4권 제1호, pp.87-109. |
미소장 |
32 |
한세억. (2017).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115-154. |
미소장 |
33 |
홍영기. (2011). 교육과정 재구성 및 개발과정에서의 근거이론 접근. 「통합교육과정연구」, 제5권, 제2호, pp.1-18. |
미소장 |
34 |
Alkire, S. (2007). Choosing dimensions: The capability approach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Chronic Poverty Research Centre Working Paper, no.88. |
미소장 |
35 |
The Development of Capability Indicators  |
미소장 |
36 |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odelling in system dynamics: some research questions  |
미소장 |
37 |
El-Harizi, K. and Klemick, H. (2007). Measuring and accounting for community capabilities in Kordofan, Sudan. |
미소장 |
38 |
Lechman, E. (2014). Human Poverty–Measuring Relative Deprivation from Basic Achievements. A Comparative Study for 144 World Countries in the Time Span 1990-2010. A Comparative Study for, 144, 1990-2010. |
미소장 |
39 |
Lelli, S. (2001). Factor analysis vs. fuzzy sets theory: Assessing the influence of different techniques on Sen’s functioning approach, In Center for Economic Studies Discussions Paper Series. |
미소장 |
40 |
Collect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for system dynamics: methods and models  |
미소장 |
41 |
Maas, K. and Liket, K. (2011). Social impact measurement: Classification of method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accounting and supply chain management, vol.27, pp.171-202. Dordrecht: Springer. |
미소장 |
42 |
Analyzing big data in social media: Text and network analyses of an eating disorder forum.  |
미소장 |
43 |
Sterman, J. (2000). Business Dynamics: Systems Thinking and Modeling for a Complex World. N.Y: McGraw-Hill. |
미소장 |
44 |
Improving coding procedures for purposive text data: researchable questions for qualitative system dynamics modeling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