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민현식·신명선·오현아·이지은·안창호·조진수·박진희(2018). 언어와 매체. 천재교육. | 미소장 |
2 | 방민호·안효경·신서인·오현숙·이용광·김태경(2018). 언어와 매체. 미래엔. | 미소장 |
3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6). 문법. 교육부. | 미소장 |
4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02).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 미소장 |
5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1985). 문법. 교육부. | 미소장 |
6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1991). 문법. 교육부. | 미소장 |
7 | 이관규·박경희·신호철·신희성·이동석·정지현·하성욱(2018). 언어와 매체. 비상교육. | 미소장 |
8 | 이삼형·김창원·양정호·안혁·하동원·박찬용(2018). 언어와 매체. 지학사. | 미소장 |
9 | 최형용·강영준·권태윤·박재연·박종오·소신애·송찬욱·오세호·임요한(2018). 언어와 매체. 창비. | 미소장 |
10 | 김광해·권재일·임지룡·김무림·임칠성(1999). 국어지식탐구. 박이정. | 미소장 |
11 | 김봉국(2014).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교과서 속의 음운변동 내용에 대한 검토. 우리말연구 38, 29-44. 우리말학회. | 미소장 |
12 | 김정인(2020ㄱ). 국어 사잇소리의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3 | 김정인(2020ㄴ). 현대국어 사잇소리에 대한 관견. 이화어문논집 50, 265-295. 이화어문학회. | 미소장 |
14 | 김창섭(1996).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 미소장 |
15 | 배주채(2013). 개정판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 미소장 |
16 | 신승용(2018). 기저형과 어휘부.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7 | 엄태수(2006). 현대국어 사이시옷 현상의 검토. 국제어문 38, 165-200. 국제어문학회. | 미소장 |
18 | 이선웅(2014). 기술문법과 학교문법. 국어학 69, 167-205. 국어학회. | 미소장 |
19 | 이진호(2003). 국어 ㅎ-말음 어간의 음운론. 국어국문학 133, 167-195. 국어국문학회. | 미소장 |
20 | 이진호(2006). 국어 음운론의 중간 층위. 어문연구 34(3), 93-11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미소장 |
21 | 이진호(2009). 국어 음운 교육 변천사. 박이정. | 미소장 |
22 | 이화진(2015).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I』 교과서의 ‘음운 변동’ 기술 양상과 문제점. 국어교육학 50(3), 161-192. 국어교육학회. | 미소장 |
23 | 음운규칙 간의 위계 검토 | 소장 |
24 | 정영호(2009). 국어 용언어간의 기저형 ‘X(C)ㅎ-X(C)ㆆ-’. 국어국문학 151, 91-116. 국어국문학회. | 미소장 |
25 | 조경하(2005). 현대국어의 사잇소리 현상. 이화어문논집 23, 5-27. 이화어문학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