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억(1926), “「소금쟁이」에 대하야”, 『동아일보』(10월 8일: 3). | 미소장 |
2 | 김원섭(1926), “「소금쟁이」를 논함”, 『동아일보』(10월 27일: 3). | 미소장 |
3 | 김제곤(2012), 『동시마중』, “도움말”, 11: 205-207. | 미소장 |
4 | 문병찬(1926), “「소금쟁이」를 논함-홍파군에게”, 『동아일보』(10월 2일: 3). | 미소장 |
5 | 문병찬(2015), 『세계일주동요집』, 서울: 온이퍼브. | 미소장 |
6 | 백민 한정동의 삶과 문학 | 소장 |
7 | 방정환(1926), “동요 「허잽이」에 관하여上·下”, 『동아일보』(10월 5; 6일: 3). | 미소장 |
8 | 선자(1925), “동요선후감(童謠選後感)”, 『동아일보』(3월 9일: 7). | 미소장 |
9 | 우이동인(1926), “글 도적놈에게”, 『동아일보』(10월 26일: 3). | 미소장 |
10 | 유경환(1979), 『한국현대동시론』, 서울: 탑영사. | 미소장 |
11 | 이오덕(1975), “표절 동시론”, 『시정신과 유희정신』, 광주: 굴렁쇠, 2005, 156-159. | 미소장 |
12 | 이재철(1978),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서울: 일지사. | 미소장 |
13 | 임성규(2007), “아동문학 비평 논쟁의 초두(初頭), 그 도정(道程)과 의미 -「소금쟁이」번역·표절 논쟁”, 『문학교육학』, 24: 174-175; 182. | 미소장 |
14 | 장영미(2009), 『한정동선집』, 서울: 현대문학. | 미소장 |
15 | 장영미(2010), “한정동 연구-1920, 3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연구』, 18:79. | 미소장 |
16 | 최호동(1926), “「소금쟁이」는 번역이다”, 『동아일보』(10월 24일: 3). | 미소장 |
17 | 편집자(1926), “「소금쟁이」논전을 보고”, 『동아일보』(11월 8일: 3). | 미소장 |
18 | 한병도(1926), “예술적 양심이란 것”, 『동아일보』(10월 23일: 3). | 미소장 |
19 | 한정동(1926), “「소금쟁이」는 번역인가”, 『동아일보』(10월 9; 10일: 3). | 미소장 |
20 | 한정동(1958), 『갈잎 피리』, 서울: 청우출판사. | 미소장 |
21 | 홍파(1926), “「소금쟁이」를 논함을 읽고”, 『동아일보』(10월 30일: 3). | 미소장 |
22 | 홍파(1926), “당선동화 「소금쟁이」는 번역인가”, 『동아일보』(9월 23일: 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