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영화 〈논픽션〉은 최근의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관련되는 출판계의 동향을 소재로 하는 작품이다. 출판사 편집장과 소설가, 편집 에디터 등 인물들이 나누는 대화와 토론의 내용은 대부분 디지털 문화 환경 속에서의 소설 창작과 출판, 유통 등에 관한 것이다.
이 영화는 엄연한 픽션이면서도 지금의 현실을 그대로 담아낸다는 점에서 논픽션의 성격을 띤다. 우선 영화 특유의 특별한 볼거리나 극적인 사건 없이 인물 간 대화나 토론 중심으로 현시대의 문화적 풍경을 전달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디지털 매체와 전자책, 오디오북의 출현으로 변화를 겪는 출판과 문학계의 정황을 인물들의 담화 형식으로 전한다. 또한 영화는 인물들 간의 다소 복잡한 관계를 통해 사실과 거짓, 현실과 허구 사이의 미묘한 경계와 불안한 공존을 보여주기도 한다.
영화 〈논픽션〉은 인물들 간의 대화와 토론 위주로 전개된다. 대화와 토론이 상대와의 차이와 상호 인정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전개 방식은 영화가 전하는 주제와 적절하게 상응한다. 영화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종이책과 전자책, 허구와 현실 등 상반적 개념들 간의 충돌이나 배제가 아닌 공존과 상생의 의미를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올리비에 아사야스 감독, 2018, 영화 <논픽션>. | 미소장 |
2 | 권동우/배혜진, 2020, 「‘쓰기 윤리’를 매개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 교육 과정 및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4권, 1호, 한국교양교육학회, 81-105. | 미소장 |
3 | 김경애, 2018, 「웹소설과 글쓰기의 새로운 플랫폼」, 『문학의 오늘』 제26호, 솔출판사, 29-39. | 미소장 |
4 | 김경화, 2019, 「국어 교육에서 하이퍼텍스트 연구 동향 탐색: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제29호, 한국리터러시학회, 353-392. | 미소장 |
5 | 김려실, 2019, 『문학과 영상예술의 이해』, 부산대출판부. | 미소장 |
6 | 김명석, 2009, 『인터넷 소설, 새로운 이야기의 탄생』, 책세상. | 미소장 |
7 | 류영호, 2020, 「전자책 콘텐츠 플랫폼과 출판」, 『기획회의』 제510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6-29. | 미소장 |
8 | 박진/김행숙, 2004, 『문학의 새로운 이해』, 청동거울. | 미소장 |
9 | 배수진, 2019, 「대학 글쓰기의 과제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문계 글쓰기 방안」, 『시문학』 제143호, 한국시문학회, 395-421. | 미소장 |
10 | 신선희, 2019, 「디지털 글쓰기의 소통 양상과 교육적 수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미소장 |
11 | 엄지혜, 2020, 「눈, 유튜브 구독자수는 베스트셀러를 예견할까?」, 『기획회의』 제510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36-39. | 미소장 |
12 | 윤석빈, 2012, 『입말과 글말 그리고 인간의 실존』, 충북대 출판부. | 미소장 |
13 | 이광석 외, 2016, 『현대 기술 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그린비. | 미소장 |
14 | 이지영, 2018, 「학생 필자의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참여 양상에 따른 글의 질 차이」, 『작문연구』 제39집, 한국작문학회, 147-181. | 미소장 |
15 | 이진우, 2013, 『테크노인문학』, 책세상. | 미소장 |
16 | 월터 J. 옹, 2003, 이기우/임명진 역,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 미소장 |
17 | 조셉 보그스, 1995, 이용관 역, 『영화보기와 영화읽기』, 제3문화사. | 미소장 |
18 | 최시한, 2018, 「디지털 매체 시대의 문학적 ‘쓰기’」, 『문학의 오늘』 제26호, 솔출판사, 8-17. | 미소장 |
19 | 디지털 글쓰기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글쓰기 능력과 태도 변화 연구 | 소장 |
20 | 영화 <논픽션> ‘Talk Issue,' 2019,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23836)(검색일: 2020.06.23.) | 미소장 |
21 |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 국민독서실태조사, https://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Seq=1776&pDataCD=0406000000&pType=04.(검색일:2020.03.3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