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차 체성 감각 피질을 자극한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체성감각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on somatosensory and upper limb function for improving life care 김선호 p. 269-277
경상북도 수학여행과 현장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ways to activate school trips and field trip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 focus on the Gyeongsangbuk-do area : Focus Group Interview(FGI)를 통한 질적 연구 남태석, 허종국 p. 29-42
한국 영화시장의 집중화 현상에 대한 논의 = A study on centralization of the Korean film market : focusing on the supply and consumption of the top 100 movies : 흥행영화의 공급과 소비를 중심으로 박승현, 이푸름 p. 109-124
진동자극 저항운동이 허리통증 경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of experienced back pain adults 고민균 p. 221-230
연구주제 분석을 통한 한국창작무용 경향 탐색 = Exploring the trend of Korean creative dance by analyzing research topics : application of text mining : 텍스트 마이닝의 적용 유지영, 김우경 p. 53-60
인지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차이 =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ccording to cognitive intervention programs 이윤정, 김정자, 오명화 p. 209-219
보건계열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healthcare-related major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은솔, 방요순, 오은주 p. 243-250
오페라 아리아의 크로스오버 편곡기법 연구 = Research on classical crossover arrangement methods of arias in operas : focused on Una Furtiva Lagrima, an aria of an opera called L'Elisir d'Amore : 오페라 사랑의 묘약 중 아리아 Una Furtiva Lagrima를 중심으로 신델라, 신유호 p. 151-160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호스피스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to advance directives and hospice perception 이금주, 최예숙 p. 181-190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의 작업능력과 삶의 질, 우울 간의 상관관계 = Correlation between the work ability,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of therapists in medical institutions 정다해, 기지연, 조미림 p. 231-241
디자인기업에서의 관계마케팅이 신뢰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marketing in design companies on the trust and intent of relationship maintenance 은창익 p. 13-27
고령여성의 발레운동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여가만족 및 삶의 질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of a ballet program 박선희 p. 161-170
딥티슈마사지와 일라이트병행 딥티슈마사지의 체형변화 비교 = A comparison of body shape changes between deep tissue massage and illite-combined deep tissue massage : focusing on women in their 30s :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정인순, 박정연 p. 279-287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 이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와 광고 회피 현상에 대한 고찰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vertising skepticism and avoiding of Youtube users based on media platform 선민재, 김준석, 나운봉 p. 61-76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change of the elderly aged 65 and older who experienced COVID-19 social situation 이나윤, 강진호 p. 171-179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구성, 요부근력, 요통 및 임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12 weeks Pilates mat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lumbar muscle strength, low back pain and pregnancy stress in pregnant women 조나영, 장용철, 조준용 p. 259-267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기반 마음교양강좌의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mind liberal arts course based on mindfulnes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서태화, 정미정 p. 289-299
영화 <기생충>(2019)의 표현성 연구 = A study on expression of the film <Parasite>(2019) : focusing on genre-shifting characters and actors' acting : 장르를 변주하는 캐릭터와 배우의 연기를 중심으로 이아영 p. 77-89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19에 따른 프로야구 관람문화조사 = Professional baseball viewing culture survey according to Corona 19 using social network big data 김기탁 p. 139-150
방송편성규제의 경로의존성 비판과 개선방향 = A criticism of path dependence in the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 : focusing on regulation of programming quotas : 편성비율규제를 중심으로 홍원식 p. 1-11
후기기술수용모형(PAM)과 플로우(Flow)이론을 기반으로 한 유튜브 커버음악 채널의 성공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research on the success factors of Youtube music cover channel based on the post acceptance model(PAM) and flow theory 이진형, 채명신, 장준근 p. 91-107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이혜승, 김환희 p. 201-208
테이핑과 병행한 스위스볼 운동이 임신성 요통 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swiss ball exercise combined with taping on pain,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정경심, 인태성 p. 301-309

<셜리에 관한 모든 것>(2013)에 나타난 움직임 분석 = Analysis of movement in <Shirley-Visions of Reality>(2013) 문재철, 이진영 p. 43-52
대중문화 콘텐츠 변화에 따른 한중 신조어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new words of Korean and Chinese according to changes in popular culture contents 맹상삼, 이광호 p. 125-137
안구운동이 대학생의 눈 건강과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ye health and dynamic visual activity on eye mo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김주현 p. 191-199
노인의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the elderly 박경아, 김정자, 오명화 p. 251-257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석희(2018). 국내에서 제작된 인기 YouTube 채널 분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18(2): 15. 미소장
2 채수연(2019). 유튜브(YouTube) 1인 크리에이터의 커버음악 성공요인 분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박다솔(2020). 한국 개인 채널 최초로 유튜버구독자 ‘1500만명’달성한 제이플라. 인사이트, https://www.insight.co.kr/news/276246/2020.06.14. 미소장
4 박성의(2019). 정성하…한국인 최초 조회 수 1억넘긴 ‘기타 천재’.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 idxno=191779/2020.06.14. 미소장
5 김한석(2019). 유튜브를 활용한 대중음악 홍보전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문화예술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송영주(2015). 개방형 협업 플랫폼의 정보시스템 품질과 개인적 요인이 지속적 참여의도에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 한상연, 최세경, 곽규태(2017). 다중채널네트워크 개인방송 서비스의 이용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34(4): 243-290. 미소장
8 김은석, 김영준(2019). 인슈어테크 디지털 보험플랫폼서비스의 사용자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經營學硏究, 48(4): 997-1043. 미소장
9 최정민(2019). 공공데이터 플랫폼 이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해양과학 데이터 플랫폼을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천명환, 정철호(2012). SNS 사용자의 지각된 상호작용성 및 위험이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7(6): 9-19. 미소장
11 이상호(2013). SNS 사용자의 감성인식, 몰입이구전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사용자 그룹을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8(2): 1-23. 미소장
12 이상기, 강명수(2016). O2O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요인: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의 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3(1): 155-190. 미소장
13 정철호, 서용석(2017). 확장된 후기수용모델에기반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7): 857-864. 미소장
14 박원호(2017). 기술수용모델(TAM)과 후기수용모델(PAM)을 이용한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스타벅스 사이렌오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칙센트미하이.(2004). 최인수 역. 몰입-flow, 한울림. 미소장
16 조원길(2011). 정보기술수용 모형과 플로우 이론을 기반으로 동북아지역의 전자무역시스템신뢰정도와 이용자의 만족도 비교분석. e-비즈니스 연구, 12(4): 345. 미소장
17 김보민(2017). 소셜 미디어 특성이 플로우(Flow)와 긍정적 감정,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외식소비자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김영채, 정승렬(2013). 모바일 앱 이용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플로우 이론과 통합기술수용모형을바탕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4(4): 73-84. 미소장
19 박철(2008). 온라인 소비자행동에서 플로우(Flow)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소비자학연구, 19(2): 65-92. 미소장
20 변용수(2020). 수용자의 주관적 인식과 경험을통해 구분되는 1인 미디어의 장르적 속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이주희, 고경아, 하대권(2018). 11인 미디어 이용자들의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시청 동기 및사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20(2): 178-215. 미소장
22 서승배(2018). 1인 미디어를 활용한 SNS마케팅이 상품 브랜드가치와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윤원찬(2020). 1인 미디어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이 활성화된 설득지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안호진(2019). 유튜브 커버영상의 저작권법적검토 및 현실적 해결방안.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12(1): 163. 미소장
25 김기병(2020). 후기수용모델(PAM)의 확장모형을 통한 온라인 여행사(OTA)의 지속이용의도에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김영택, 오종철, 홍상진(2006). 개인형 커뮤니티 사이트 사용자의 후기수용모형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會誌, 19(6): 2215-2235. 미소장
27 정철호, 정영수(2010). 사용자제작콘텐츠 (UCC)이용자의 수용 후 행동 모델 분석.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 2010(1): 299-308. 미소장
28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네이버 미소장
29 박윤서, 김용식(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요인간 구조적 관계: 기술수용모델(TAM)과 플로우(Flow)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1(1): 247-272. 미소장
30 이강유, 성동규(2018).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2):660-675. 미소장
31 이입평(2017). 유튜브 일인 미디어 방송의 플로우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2 변상운(2019). 유튜브의 속성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몰입과 채널 지속사용의도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3 마리야오(2020). 유튜브 개인화 서비스가 사용자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4 김우찬(2019). 소셜미디어 특성과 사용자 개인특성이 소셜미디어의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튜브와 유튜브 이외의 사용자 비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이윤희(2017). SNS 이용자의 스낵 컬쳐와 피키캐스트 이용에 대한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신건권(2018). 석박사학위 및 학술논문 작성 중심의 SmartPLS 3.0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미소장
37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네이버 미소장
38 Fornell, C. & Larcker, D. F.(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미소장
39 Hair Jr, J. F., Sarstedt, M.. Ringle, C. M. &Gudergan, S. P.(2017). Advanced Issues i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Publications. 미소장
40 천종성(2020). 인지된 네트워크 외부성이 유튜브 채널 구독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에 관한 연구: 기대일치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1 김병현(2020). 과정적 충족으로서의 인지된 행동유도성과 내용적 충족이 OTT서비스의 이용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2 Examining the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e-learning in Azerbaijan? The General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learning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43 유재선(2020). ‘명함라이브’ 사용자 평가를 통한유튜브 음악 콘텐츠 홍보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105-120. 미소장
44 유지영, 김미경(2019). 한국 전통춤과 K-pop 댄스의 융합 : 2018 MMA 방탄소년단 ‘IDOL’ 유튜브 댓글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189-19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