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한국, 미국, 일본 사이의 삼자관계는 미일, 한미 양자관계에는 위계가 존재하나, 한일 간 양자관계는 미국의 영향력 하에 있으면서 양국의 국내정치에 의해 좌우되는 복합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한미일 관계의 비대칭성은 단순히 무정부 상태에서 권력의 분포에 따라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닌 좀 더 다층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 최근의 위계성이나 지위에 대한 국제정치학적 논의를 참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전쟁의 발발과 이어서 1951년 9월에 맺어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이와 같은 한미일 관계의 위계성을 구조화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 논문은 샌프란시스코 평화회의를 통해서 한미일 관계가 위계적인 형태로 분화되었으며, 일본은 대리인이라기보다는 동아시아 냉전 구성의 주체 역할을 수행하였고, 한국의 참가국 지위는 정치적인 과정을 통해서 부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명섭. 2007, “샌프란시스코평화체제의 변동과 6자회담,” 『국방연구』, 50권 2호: 57-85. | 미소장 |
2 | 김숭배. 2016, “베르사유평화체제와 샌프란시스코평화체제 속의 한일관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1950년대초 미국의 대한(對韓) 외교정책 : 대일강화조약에서의 한국의 배제 및 제1차 한일회담에 대한 미국의 정치적 입장을 중심으로 | 소장 |
4 | 남기정. 2016, 『기지국가의 탄생: 일본이 치른 한국전쟁』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5 |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 저, 장춘익 역. 2012, 『사회의 사회 1, 2』 (서울: 새물결). | 미소장 |
6 |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 저, 서영조 역. 2018, 『사회의 정치』 (서울: 이론출판). | 미소장 |
7 | 류지아. 2010, “한국전쟁 전후, 대일강화조약 논의에 의한 아시아 내에서 일본의 안보와 위상: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연구』, 18권: 69-105. | 미소장 |
8 | 박건영. 2018, 『국제관계사: 사라예보에서 몰타까지』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 미소장 |
9 | 신욱희. 2002, “냉전기 미일동맹의 정치경제, 1954-1960: 일본의 역할,” 문정인, 오코노기 마사오 편, 『시장, 국가, 국제체제』 (서울: 아연출판부): 75-94. | 미소장 |
10 | 신욱희. 2016, “‘일본문제’에서 ‘북한문제’로: 한국전쟁을 통한 동북아시아에서의 위협전이,”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8집 1호: 151-177. | 미소장 |
11 | 신욱희. 2017, 『삼각관계의 국제정치: 중국, 일본과 한반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12 | 신욱희. 2019a, “동북아 냉전체제의 형성: 사건과 주체성,” 신욱희·권헌익 편, 『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 (서울: 서울대 출판문화원): 75-112. | 미소장 |
13 | 신욱희. 2019b, “전이이론으로 본 청일전쟁: 19세기 말 일본의 대 한반도 정책 목표,”『한국정치외교사논총』, 41집 1호: 47-68. | 미소장 |
14 | 유의상. 2015, “샌프란시스코 대일강화회의와 한국의 참가문제: 한국의 내재적 요인과 그 영향,” 『사림』, 53권: 265-303. | 미소장 |
15 | 이종원. 2013, “샌프란시스코 체제의 지속과 변용,” 서울대 아시아 연구소 동북아센터 콜로키움-“한국전쟁과 동아시아 냉전의 재조명” 발표논문 (서울, 11월 25일). | 미소장 |
16 | 전재성. 2019,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 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17 | 전재성. 2020, “주권 개념과 실천을 통해 본 근대국제체제,” 제주평화연구원-서울대국제문제연구소 비교지역질서센터 공동심포지엄 (제주, 1월 30일). | 미소장 |
18 | 정병준. 2019,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한반도 관련 조항과 한국정부의 대응』 (서울: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외교사연구센터). | 미소장 |
19 | 정효식. 2020, “미국엔 중국 조공(朝貢)문화엔 없는 동맹이란 DNA가 있다,” 『중앙일보』, 2월 10일. | 미소장 |
20 | 케네스 월츠(Kenneth Waltz) 저, 박건영 역. 2000, 『국제정치이론』 (서울: 사회평론). | 미소장 |
21 | 허수진. 2019, “프랑코 통치 하 스페인의 제국 정체성과 모로코 영토외교(1940): 존재론적 안보 접근,”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현무암. 2014, “샌프란시스코 체제의 전환과 한미일 의사 동맹 관계,” 『황해문화』, 83호: 34-64. | 미소장 |
23 | Albert, Mathias, Barry Buzan, and Michael Zürn. 2013, Bringing Sociology to International Relations: World Politics as Differentiation Theor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Bennett, Andrew and Jeffrey T. Checkel. (eds.) 2015, Process Tracing: From Metaphor to Analytic Tool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5 | Cha, Victor D. 2016, Powerplay: The Origins of the American Alliance System in Asia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6 | Cronin, James E. 1996, The World the Cold War Made: Order, Chaos, and the Return of History (New York, NY: Routledge). | 미소장 |
27 | Dower, John W. 2014, “The San Francisco System: Past, Present, Future in US-Japan-China Relations,” The Asia-Pacific Journal, Vol. 12, No. 2: 1-41. | 미소장 |
28 | Giddens, Anthony. 1986, The Constitution of Society: The Outline of the Structuration Theor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29 | Hopf, Ted. 2012, Reconstruction of the Cold War: The Early Years, 1945-1958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0 | The Impact of the Korean War on the Cold War ![]() |
미소장 |
31 | Jervis, Robert. 1997, System Effects: Complexity in Political and Social Lif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2 | Jin, Syrus. 2019, “The Casualties of US Grand Strategy: Korean Exclusion from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the Pacific Pact,” Senior Honors Papers/Undergraduate Theses, 14, Washington University in Saint Louis. | 미소장 |
33 | The American Tributary System ![]() |
미소장 |
34 | Kim, Dong-Choon. 2015,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Korea’,” Kimie Hara (ed.), The San Francisco System and Its Legacies: Continuation, Transformation, and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the Asia-Pacific (New York, NY: Routledge): 97-114. | 미소장 |
35 | Lake, David A. 2009, Hierarchy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Lane, Jan-Erik. 2007, Comparative Politics: The Principal-Agent Perspective (New York, NY: Routledge). | 미소장 |
37 | Larson, Deborah Welch, T. V. Paul, and William C. Wohlforth. 2014, “Status and World Order,” T. V. Paul, Deborah Welch Larson, and William C. Wohlforth (eds.), Status in World Politic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3-30. | 미소장 |
38 | Lebow, Richard Ned. 2010, Forbidden Fruit: Counterfactual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9 | Anarchy and Authority: International Structure, the Balance of Power, and Hierarchy ![]() |
미소장 |
40 | Cold War Relic ![]() |
미소장 |
41 | Price, John. 2001b, “A Just Peace? The 1951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Historical Perspective,” JPRI Working Paper, No. 78, June. | 미소장 |
42 | Shin, Wookhee. 2016, “Second Image Reconsidered: Quest for Unit Complexity in Northeast Asia,”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Vol. 43, No. 2: 63-73. | 미소장 |
43 | The Security Dilemma in Alliance Politics ![]() |
미소장 |
44 | Swenson-Wright, John. 2005, Unequal Allies?: United States Security and Alliance Policy toward Japan, 1945-1960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5 | The Agent-Structure Probl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