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지식의 구조 관점으로 본 실과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 이동원 1
국문초록 1
I. 서론 1
II. 실과에서의 지식의 구조와 역량 3
III. 지식의 구조 관점에서의 실과 교육과정 5
IV. 실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11
1. 지식의 구조를 반영한 기술 영역의 교육 내용 11
2. 가치를 반영한 교육과정 14
V. 결론 및 제언 16
참고문헌 18
ABSTRACT 2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이화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 –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815-835. | 미소장 |
2 | 강이화 (2018). 4차 산업혁명과 교육과정의 방향: 핵심역량 논의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1305-1324. | 미소장 |
3 | 강종표 (2016). 초등 실과 「창의적 제품 만들기」중단원에서 전통 민속놀이 기구 만들기 및 놀이 체험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4), 63-87. | 미소장 |
4 | 강현석 (2009).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에서 지식의 재해석 :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브의 관계. 한국교육철학회, 38, 1-34. | 미소장 |
5 | 김민정 (2008).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시행된 ‘현장적합성’검토의 의의와 한계-『한국문화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1(1), 29-50. | 미소장 |
6 | 김지숙 (201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성격과 핵심역량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1), 1-18. | 미소장 |
7 | 고인규 (2017).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에 관한 연구. 실과교육연구, 23(3), 1-18. | 미소장 |
8 | 교육부 (1992).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 미소장 |
9 |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 초등학교 교육부. | 미소장 |
10 |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 미소장 |
11 | 문대영 (2011). 초등 실과교육을 통한 창의적 구조물 만들기 활동제안.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1(8), 381-386. | 미소장 |
12 | 문성환, 이승훈 (2012). RoS 모델 적용을 통한 실과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3), 287-314. | 미소장 |
13 | 박선화, 문영주, 장근주, 임윤진, 한금영 (2017).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연구: 중학교 국어, 역사, 수학, 기술·가정,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18-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4 | 박천환 (2011). 지식의 구조에 대한 발생론적 해석. 초등교육연구, 24(4), 1-17. | 미소장 |
15 | 박채형 (2019a).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 통합교육과정연구, 13(3), 205-228. | 미소장 |
16 | 박채형 (2019b). 잭슨의 잠재적 교육과정과 그 이후. 도덕교육연구, 31(2), 163-185. | 미소장 |
17 | 박희봉, 이희창, 전지용 (2008). 한·중·일 3국의 가치변화 성향 분석-신세대와 기성세대간 비교-. 한국행정논집, 20(2), 501-532. | 미소장 |
18 | 송정범, 이태욱 (2009). 실과 ‘목공단원’에서 교육용 로봇의 활용이 실과 사고 기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5(3), 69-88. | 미소장 |
19 | 이홍우 (2006). 지식의 구조와 교과 개정·증보판.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0 | 이홍우, 유한구, 장성모 (2003).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1 | 장수찬 (2005). 동아시아 사회의 유교주의와 탈 근대화:가치변화에 대한 경험주의적 분석. 사회과학연구, 6, 3-32. | 미소장 |
22 | 전윤주, 송정범, 이태욱 (2008). 실과에서 로봇활용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4(4), 209-224. | 미소장 |
23 | 진의남, 류상희 (2016).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한국실과교육학회, 29(2), 61-75. | 미소장 |
24 | 한혜정, 이주연 (2017). 학문중심 교육과정 및 이해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이해. 교육과정연구, 35(3), 203-221. | 미소장 |
25 | 한혜정, 장경숙,김기철, 이주연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17-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26 |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Bruner J. S. (1972). The Relevance of Education. George Allen and Unwin. | 미소장 |
28 | Jackson, P. W. (1968). Life in Classroom. Holt, Reinhart & Winst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