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지식의 구조 관점으로 본 실과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 이동원 1

국문초록 1

I. 서론 1

II. 실과에서의 지식의 구조와 역량 3

III. 지식의 구조 관점에서의 실과 교육과정 5

IV. 실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11

1. 지식의 구조를 반영한 기술 영역의 교육 내용 11

2. 가치를 반영한 교육과정 14

V. 결론 및 제언 16

참고문헌 18

ABSTRACT 2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마을 연계 기반 제주지역의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환경 분석 = Analysis on the environment for establishing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Jeju based on school-village association 문보경, 강윤진, 이인회 p. 607-634

보기
대학생 역량개발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eveloping university students' competency on employability : mediation of career ambition / 경력열망의 매개효과 박용호, 홍유리, 강지훈, 임혜경 p. 665-692

보기
생존분석을 적용한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시점 영향요인 분석 : Survival analysis approach for student departure of freshmen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S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정, 송영수, 오수현 p. 235-258

보기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이 학습자의 학습실패 개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academic failure self-disclosure of learners : the mediating role of learners' positive emotions / 학습자의 긍정성의 매개효과 문세미, 김종백 p. 473-493

보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휴대전화의존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parent's neglecting attitude, and mobile phone dependence :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이영민, 권성연 p. 167-196

보기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대학적응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김은아, 김남영 p. 495-513

보기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의 동기 설계를 위한 M-ARCS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ARCS scale for motivational design of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남정은, 박종욱, 우성주 p. 717-745

보기
비진학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요인 및 개인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 factors, person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perceived by youth who do not attend college on the life's satisfaction : concentrating on late adolescent / 후기청소년을 중심으로 엄순옥, 김혜진 p. 747-766

보기
학생이 생각하는 과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실의 모습 = Classroom characteristics that students believe enhance scientific creativity 박희경, 박정우 p. 635-664

보기
교사의 물질주의 가치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teachers' materialistic values on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 전문적 정체성, 소진의 매개효과 신영숙, 이지연 p. 339-361

보기
간호대학생의 자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nfluencing factors on perception toward among nursing students 이은주, 노숙진, 김혜경, 정혜인 p. 393-409

보기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건강성의 관계 :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s : focused on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 학습몰입과 교양체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두희, 원주연 p. 693-715

보기
영아의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와의 심리적·행동적 조화적합성이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nfluence of infant's temperament and infant-mother psychological & behavioral goodness-of-fit o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권성례, 김진경 p. 49-71

보기
통계적 논증활동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논증과정 및 통계적 소양 분석 = An analysis on argumentative process and statistical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engaged in statistical argumentation activity 이정찬, 윤종국 p. 443-471

보기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논어수업이 대학생의 유교적 가치인식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rtfolio applied the Analects education on Confucian recognition of values and the character of the university students 조성천, 유준호 p. 217-234

보기
실용음악을 통해 바라본 2015년 개정 초등음악 교과서 분석 : Analysis of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textbooks from practical music : focused on the 5th grade music textbook / 초등학교 5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스텔라 p. 563-590

보기
지식의 구조 관점으로 본 실과 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according to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이동원 p. 197-216

보기
산학협력을 통한 장기 현장실습 경험이 예비유아교사 직무어려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ong-term field practice experience through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on job execution difficulties recognition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김가윤 p. 127-147

보기
학생 논설문에 나타난 단어의 추상성 정도 분석 및 사전 구축 = Analysis of the abstractness of words in student's essays and pre-construction 최영미, 박영민 p. 515-541

보기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강점활용에 따른 양육효능감, 부모만족, 부모동기 간 차이 연구 = The study concerning differences in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satisfaction, and parent's motivation according to utilization of strength in th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김선형 p. 259-278

보기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적 내러티브 : Teachers' experience on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public future school 'DeobuleoseongjangHakgyo' / 공립형 미래학교 '더불어성장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경 p. 19-48

보기
초기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史的 고찰 :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for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 focusing on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 『마포삼열 자료집』을 중심으로 박근희 p. 543-561

보기
반려견은 아동의 삶에 긍정적인가? = Are companion dogs positive to children's life? 조윤주 p. 149-166

보기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의 질 관리 체계의 방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강경리 p. 279-308

보기
보편적 가치와 집단따돌림 참여 행동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al values and bullying participant roles : mediating effects of moral emotions and moral disengagement / 도덕적 정서 및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 최정원, 이영호 p. 309-337

보기
연계(융합)전공 졸업자의 연계(융합)전공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interdisciplinary major among interdisciplinary major graduates 하오선 p. 93-110

보기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희망, 성취정서 및 끈기(Grit)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hope, achievement emotions,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전미란, 류지영 p. 1-18

보기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변화에 대한 부모감독, 문화적응스트레스, 또래관계의 동시 및 지연효과 = Current and la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cculturative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on social withdrawal 최효식, 연은모 p. 111-126

보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 keyword network analysis on research in literature for early childhood 주현정 p. 411-441

보기
게임디자인스키마이론에 기반한 통일교육용 게임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fication educational game based on the theory of game design schema : '장마당 게임'사례를 중심으로 임애련, 임상훈, 유영만 p. 363-391

보기
노인 대상 치매파트너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a dementia partner educ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정은숙, 박지현 p. 591-606

보기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goals, emo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 간호대학생의 성취목표, 학습성취정서 및 학업성적 간의 관계 Lee Mikyoung p. 73-92

보기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이화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 –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815-835. 미소장
2 강이화 (2018). 4차 산업혁명과 교육과정의 방향: 핵심역량 논의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1305-1324. 미소장
3 강종표 (2016). 초등 실과 「창의적 제품 만들기」중단원에서 전통 민속놀이 기구 만들기 및 놀이 체험을 통한 창의·인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4), 63-87. 미소장
4 강현석 (2009).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에서 지식의 재해석 :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브의 관계. 한국교육철학회, 38, 1-34. 미소장
5 김민정 (2008).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시행된 ‘현장적합성’검토의 의의와 한계-『한국문화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1(1), 29-50. 미소장
6 김지숙 (201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성격과 핵심역량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1), 1-18. 미소장
7 고인규 (2017). 실과교육에서 ‘하는 지식’의 가치 지향성에 관한 연구. 실과교육연구, 23(3), 1-18. 미소장
8 교육부 (1992).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미소장
9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 초등학교 교육부. 미소장
10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미소장
11 문대영 (2011). 초등 실과교육을 통한 창의적 구조물 만들기 활동제안.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1(8), 381-386. 미소장
12 문성환, 이승훈 (2012). RoS 모델 적용을 통한 실과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3), 287-314. 미소장
13 박선화, 문영주, 장근주, 임윤진, 한금영 (2017).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연구: 중학교 국어, 역사, 수학, 기술·가정,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18-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4 박천환 (2011). 지식의 구조에 대한 발생론적 해석. 초등교육연구, 24(4), 1-17. 미소장
15 박채형 (2019a).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 통합교육과정연구, 13(3), 205-228. 미소장
16 박채형 (2019b). 잭슨의 잠재적 교육과정과 그 이후. 도덕교육연구, 31(2), 163-185. 미소장
17 박희봉, 이희창, 전지용 (2008). 한·중·일 3국의 가치변화 성향 분석-신세대와 기성세대간 비교-. 한국행정논집, 20(2), 501-532. 미소장
18 송정범, 이태욱 (2009). 실과 ‘목공단원’에서 교육용 로봇의 활용이 실과 사고 기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5(3), 69-88. 미소장
19 이홍우 (2006). 지식의 구조와 교과 개정·증보판. 교육과학사. 미소장
20 이홍우, 유한구, 장성모 (2003). 교육과정이론. 교육과학사. 미소장
21 장수찬 (2005). 동아시아 사회의 유교주의와 탈 근대화:가치변화에 대한 경험주의적 분석. 사회과학연구, 6, 3-32. 미소장
22 전윤주, 송정범, 이태욱 (2008). 실과에서 로봇활용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4(4), 209-224. 미소장
23 진의남, 류상희 (2016).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한국실과교육학회, 29(2), 61-75. 미소장
24 한혜정, 이주연 (2017). 학문중심 교육과정 및 이해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이해. 교육과정연구, 35(3), 203-221. 미소장
25 한혜정, 장경숙,김기철, 이주연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17-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26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7 Bruner J. S. (1972). The Relevance of Education. George Allen and Unwin. 미소장
28 Jackson, P. W. (1968). Life in Classroom. Holt, Reinhart & Winst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