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어 교학문법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Chinese pedagogical grammar 조은숙 p. 381-419
江西婺源(诗春)方言语音调查与分析 =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phonology of Wuyuan(Shichun) dialect in Jiangxi 闵庆万 p. 1-22
中韓對譯辭典 『譯語類解』의 뜻풀이에 관한 사전학적 고찰 =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a Sino-Korean translation dictionary Yeogeoyuhea : a perspective of Lexicography 全香蘭 p. 121-150
자형분석을 통한 秦文字 斷代연구 : A study on the Qín characters by the division of history into periods using character form analysis : focus on 雝 (Yōng) and 爲 (Wèi) that serve as standards for period division / 斷代기준자 雝과 爲를 중심으로 이소화 p. 75-103

고등학교 교과서 내 문법 항목의 서술에 대하여 : The study on the description of the grammar item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 focusing on the auxiliary verb '會' in 『Chinese 1』 / 『중국어Ⅰ』에 수록한 조동사 '會'를 중심으로 김미순 p. 327-354
作冊夨令簋 銘文 '乍冊夨令$$宜于王姜'에 관한 小考 = A study on the passage "乍冊夨令$$宜于王姜" in the bronze inscription of the ZuoceCeling Gui 김신주 p. 49-73
'更换'류 어휘의 특징연구 : Research on the diachronic evolution of verbs of "Change" in Chinese / 통시적 관점에서의 고찰 한승 p. 151-176
현대중국어 복수성 표현 방식 고찰 = A study on plurality expressions in Mandarin Chinese 이지은 p. 23-47

웨이보에 투영된 疫情 : Coronavirus mirrored in Weibo : SNS big data analytics of COVID-19-related keywords / COVID-19 관련 키워드의 SNS 빅데이터 분석 박민준 p. 287-325
單聲 形聲字 語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tymological meaning of the pictophonetic characters with "單" sound 김광선 p. 105-120
거대사건(Macro Event) 이론을 통한 현대중국어 습관문 연구 = A study of habitual in modern Chinese : based on the macro event 박미애 p. 233-259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중 '날씨' 공기(co-occurrence) 요소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occurrence elements for "Weather" in Korean and Chinese using text-mining 윤유정 p. 261-286

법정 통번역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 고찰 : A study on the job training plan for the quality assurance of the court interpretation : focused on Korea and Chinese-speaking countries / 국내 및 중국어권 국가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은 p. 177-200
중국어 말하기 교재의 대화문에 출현하는 비선호적 반응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dispreferred responses in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s 이지원 p. 201-231
핵심역량 기반 교양중국어 교육과정 모형 개발 = 基于培养核心能力的汉语通识课程设置开发 위수광 p. 355-380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omrie, B.(1985), Tense[M],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미소장
2 Chafe, Wallace(1995), The realise-irrealise distinction in Caddo, the Northern Iroguoian languages, and English[C], in Bybee and Fleischman. 미소장
3 Mithun, Marianne(1999), The languages of native north America[M],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미소장
4 Talmy, L.(2000), Toward a Cognitive Semantics. Vol. II: Typology and Process in Concept[M], Cambridge:The MIT Press. 미소장
5 Y.Tsuji 편(2002), An Encyclopedic Dictionary of Cognitive Linguistics, 임지룡⋅요시모토 하지메⋅이은미⋅오카 도모유키 옮김(2004), 『인지언어학 키워드 사전』,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6 贾红霞⋅李福印(2015), 「状态变化事件與实现事件的概念界定」, 『外语教学』 第1期 第36卷. 미소장
7 贾红霞⋅李福印(2018), 「汉语实现事件的词汇化模式及认知动因—以“抓”类动词为例」, 『华文教学與研究』 总第70期. 미소장
8 渠默熙(2018), 「基於事件视角的词类劃分與伴随表达」, 『廣东外语外贸大学学报』 第2期 第29卷. 미소장
9 耿冰(2010), 「“实现事件”结構词汇化模式的英汉对比研究」, 上海外国语大学 硕士学位论文. 미소장
10 戴浩一(2002), 「概念结構與非自主性语法:汉语语法概念系统初探」, 『當代语言学』 第1期 第37卷. 미소장
11 杜军(2016), 「状态变化事件认知機制探究」, 『外国语文(雙月刊)』 第3期 第32卷. 미소장
12 杜静⋅李福印(2016), 「存在性状态变化事件的词汇化模式」, 『外语教学』 第1期 第37卷. 미소장
13 骆蓉(2016), 「英汉特殊空间移动表达的词汇化模式探究 — 以致使移动表达为例」, 『浙江外国语学院学报』 第1期. 미소장
14 范立珂(2013), 「位移事件的表达方式研究-“运动”與“路径”、“句法核心”與“意义核心”的互动與合作」, 上海外国语大学 博士学位论文. 미소장
15 薛玉萍(2013), 「现代汉语“路径”概念词汇化模式分析」, 『喀什师範学院学报』 第5期 第34卷. 미소장
16 李敏(2006), 「现代汉语非现实範畴的句法实现」, 华东师範大学 博士学位论文. 미소장
17 李福印(2017), 「典型位移运动事件表征中的路径要素」, 『外语教学』 第4期 第38卷. 미소장
18 杨玲(2015), 「状态变化事件、句式和动词行为类型 — 领主属宾句的认知语义学研究」, 『外语教学』 第5期 第36卷. 미소장
19 严辰松(2005), 「英汉语表达实现意义的词汇化模式」, 『外国语(上海外国语大学学报)』. 미소장
20 倪涛(2018), 「汉英状态变化事件的形义类型研究」, 华中師範大学 博士学位论文. 미소장
21 王晓凌(2007a), 「“会”與非现实性」, 『语言教学與研究』 第1期. 미소장
22 王晓凌(2007b), 「论非现实语义範畴」, 复旦大学 博士学位论文. 미소장
23 俞琳⋅李福印(2018), 「事件融合视角下“V到”構式的动补类型嬗变」, 『外语與外语教学』 总第298期. 미소장
24 张立飞⋅严辰松(2010), 「现实和非现实: 现代汉语否定词的语法意义的语义基础」, 『外国语文』 第4期. 미소장
25 陳豔(2017), 「現實和非現實範疇下的現代漢語“好”的研究」, 湖南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미소장
26 冯绍锋⋅冯志伟(2014), 「运动事件词汇化模式不容忽视的两個问题」, 『现代语文(语言研究版)』. 미소장
27 彭利贞(2005), 「现代汉语情态研究」, 复旦大学博士学位论文.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