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중심디자인은 현대의 주요 디자인 패러다임이다. 특히 현대에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소비자 체험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제품을 판매할 때에도 체험과 스토리, 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체험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자사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을 디자인에 반영하기를 원하고 있다. 본고는 이를 위한 디자인심리 원리에 대해 연구한다. 특히 디자인에 대한 선호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된 심리원리들을 소비자의 상위 욕구 충족이라는 측면에서 연구한다. 이를 통해 고품격의 소비자 체험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는데 필요한 심리학적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2~3장은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4장은 공간디자인에 대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사례분석을 위한 자료는 현장 조사, 관련 문헌과 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결과) 본고는 욕구 위계에서 상위 욕구인 소속감과 애정의 욕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 욕구와 연관된 심리원리들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각 욕구 단계별 주요 경험의 성향을 세 가지(익숙함_보수적 경험 추구, 생소함_혁신적 경험 추구, 균형감_중도적 경험 추구)로 분류하였다. 다음 단계로 이 세 가지 경험성향과 연관된 디자인 선호성 향상 원리들을 분석하였다. 익숙함(보수적 경험 추구)과 연관하여서는 밴드웨건 효과, 원형 선호 심리, 황금비 선호 심리, Light-from-above Assumption, 의인화 형태의 선호 심리가 분석되었다. 생소함(혁신적 경험 추구)과 연관하여서는 스놉 효과와 희소성 효과가 분석되었다. 균형감(중도적 경험 추구)과 연관하여서는 MAYA Principle, 단순노출 효과, 플로우 이론이 분석되었다. 4장에서는 공간디자인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원리들 모두가 공간디자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간디자인의 구성요소들(Exterior, Interior, Display/컨텐츠) 중에서 디자인심리 원리가 가장 많이 적용되는 부분은 Display/컨테츠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결론) "익숙함"에 속하는 원리들은 "소속감과 애정의 욕구"와 연관되어 있는데 생소함이나 균형감에 비해 더 많은 연관 원리들이 분석되었다. 이는 욕구 위계론의 주장(하위 욕구가 더 강한 욕구이기 때문에 이것이 충족되어야 상위 욕구가 발동됨)과도 일치한다. 그러므로 특정 브랜드가 넓은 소비자층을 타겟으로 한다면 소비자 심리를 고려할 때 "익숙함"의 심리 원리들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러나 어떤 브랜드가 존경의 욕구나 자아실현 욕구를 추구하는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매우 세분화된 타겟팅을 한다면 새롭고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Human-centered design is a major design paradigm in the contemporary era. As the proportion of service industry has increased, companies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consumer experience that creates high added-value. When companies sell the product, they want to maximize its value by providing it in combination with experience, story, and service. Therefore, companies want to reflect psychological features of consumers in their designs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preference. To support these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his paper studies psychological principles of design. In particular, it analyzes psychological principles for improving consumer preference in relation to satisfying upper-level needs of consumers in the need hierarchy. Through this, the research intends to provide systematic information necessary to design high-quality consumer experience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field study. Chapters 2 and 3 were done with literature review, and chapter 4 was proceeded with case analyses of spatial designs. Data for cas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field studies, interviews, literature, and articles. (Results) This paper analyzed psychological principles of design regarding "belongingness and love needs", "esteem needs", and "self-actualization needs" in Maslow's Need Hierarchy. First, experiential focus for each stage of needs were analyzed and were categorized into familiarity(pursuit of conservative experience), newness(pursuit of innovative experience), and balance(pursuit of midroad experience). The next step was to analyze psychological principles associated with these three foci. In relation to familiarity(pursuit of conservative experience), Bandwagon Effect, Preference for Archetype, Preference for Golden Ratio, Light-from-above Assumption, and Preference for Anthropomorphism were analyzed. Concerning newness(pursuit of innovative experience), Snob Effect and Scarcity Effect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balance(pursuit of midroad experience), MAYA Principle, Mere Exposure Effect, and Flow Theory were analyzed. In Chapter 4, through case analyses of spatial designs,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se principles can be properly applied to spatial designs. Also, it was found that among the design components of spatial designs(exterior, interior, and display/contents), the one to which these principles are most frequently applied is the display/contents part. (Conclusions) Psychological principles for "familiarity" are associated with "belongingness and love needs". In this study, more principles related to familiarity were analyzed compared to newness or balanc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claim of Maslow's Need Hierarchy (lower needs are stronger, and only after lower needs are fulfilled, higher needs will be evoked). Therefore, if a brand targets a wide range of consumers, th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related to familiar experiences.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also confirmed that a brand needs to provide a new and innovative experience if it targets highly segmented consumers who seek "esteem needs", or "self-actualization need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동차 브랜드 공간의 전략적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c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automobile brand space 정희탁, 양지윤, 김주연 p. 281-293

들뢰즈의 인식체계로 바라본 올라퍼 엘리아슨 전시공간특성 연구 =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Olafur Eliasson's exhibition space as seen through the Deleuze recognition system 김수연, 윤재은 p. 153-162

지방자치단체 상징물 명칭의 현황과 명칭 표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names of symbols in local government 류미영, 장영호, 김주연 p. 113-122

색채 중심의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 경향 = A study of research trends of color-centered healthcare space design 이민아 p. 37-47

소재 중심의 오브제 유형과 공간연출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 of object with focus on materials and the element of spatial presentment 허지혜, 임종훈 p. 91-99

집합주택 공유공간의 다양화 경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end of diversification of sharing spaces in multi-family house 김진희, 곽동화, 나현규 p. 175-188

도심 소형 거주 공간 실내 디자인 고급화를 위한 모터 요트 인테리어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motor yacht interior cases for the advancement of interior design in small living spaces in the city : centering around 24m(79ft) or smaller : 전장 24미터(79피트) 이하를 중심으로 신용환, 황성걸 p. 143-152

복합상업시설 내 어트랙션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요소 연출 연구 = A study on the entertainment elements for the attraction in the commercial multi-complex 이영주 p. 101-111

지하철역사 재난대응시설물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of the disaster response facility in subway station 김명화, 김주연, 장영호, 백승경 p. 215-223

공공공간의 그늘 형성 시설물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guidelines of shade-forming facilities in public space 심윤선, 김주연, 권영재 p. 75-89

도시와 국가 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공건축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architecture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and national image 정희춘, 이현성, 김주연 p. 271-280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의 공간디자인 매뉴얼 개발 = Spatial design manual : application of SISIHOSI, LDS in a lifestyle curation shop : 롯데백화점 시시호시 브랜딩 사례를 중심으로 정강화 p. 237-247

기업 공유가치창출(CSV) 공공디자인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체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ublic-private cooperation system for vitalizing corporate creating shared value(CSV) public design 김지연, 이현성, 김주연 p. 63-73

나오시마 도시재생에 나타난 공간의 물질과 비물질적 표현 특성 =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nd non-material express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of Naoshima : focused on the boundary of space shown in the Art house project : 집 프로젝트(家プロジェクト)에 나타난 공간의 경계를 중심으로 김소영, 이대겸 p. 329-340

MBC 드라마 제작에서의 프로덕션 디자인 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roduction design system in MBC drama production 장태준 p. 319-328

폐 산업시설 공간재생을 위한 주민 친화적 공공디자인 계획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friendly public design plan for spatial regeneration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 focused on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s of domestic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 국내 폐 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을 중심으로 신재령, 이정교 p. 11-23

국내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는 도시 공간 문화콘텐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urban spatial cultural contents building the image of a domestic city 최여진, 김주연, 오병찬, 이현성 p. 249-260

재미요소가 적용된 가로편의시설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treet facilities with funny elements 권성은, 이정교 p. 49-62

쿠마 켄고 건축의 구조 해석에 방법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uma Kengo's architecture 민경훈, 윤재은 p. 25-36

베이징 고궁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service space in The Palace Museum : focusing on the narrative angles : 서사적 각도를 중심으로 조계해, 이정교 p. 307-318

핸드레일조명을 활용한 보행환경 조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llumina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using handrail lighting 이도훈, 이은영, 이돈일 p. 261-269

홍성 원도심 걷고 싶은 거리 구간 선정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A basic study for the selection of pedestrian-friendly street section of old downtown in Hongseong 이기석 p. 295-306

도심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elements of the place-specific for the formation of sense of place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city 채승현, 김주연, 임선희 p. 189-200

여성 1인가구를 위한 범죄예방 복합주거공간 연구 = A study on crime prevention complex housing space for single female households : focusing on public sensibility and public space in women's shared housing : 여성 공유주택에서의 공공감성과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원유진, 조택연 p. 201-214

공간 컨텍스트 기반 암스테르담 호스피탈리티 산업 재생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generation design in context-based Amsterdam hospitality industry 장선아, 장영호 p. 133-142

아파트 단지 환경시설물의 자연 형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partment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nature shaping 강병우, 조택연 p. 225-235

사례분석을 통한 시흥시 그린웨이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greenway network in Siheung City through case analysis 이해서, 장영호, 김주연 p. 123-132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위원회 운영 및 심의제도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local public design committee operation and review system of local governments 김영, 이현성, 김주연 p. 163-173

아치의 미적 특성을 적용한 현대 건축 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dern architectural space apply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박윤, 조택연 p. 445-456

공간마케팅 측면에서 바라본 커피 전문점의 공간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design of coffee shops from the view of space marketing : focused on case of Starbucks : 스타벅스를 중심으로 전주원, 김지은 p. 469-482

텍스타일디자인의 연출특성과 오브제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textile design and relationship of objets 허지혜 p. 457-468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시기 전시 디자인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xhibition design directing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the Avant-garde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이민희, 김주연, 김원길 p. 433-444

대규모 공연장의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연구 = Improvement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large-scale concert hall : focusing on wheelchairs users : 휠체어 이용자를 중심으로 우채영, 유준아, 황연숙 p. 497-506

해외 자연사박물관의 전시구조 및 공간체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xhibition structure and space system in overseas natural history museum 이승용 p. 421-432

업사이클 전시사례 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munity space design through upcycle exhibition case analysis : focussing on Gyeonggi-do Upcycle Plaza : 경기도 업사이클 플라자를 중심으로 박진호, 이주형 p. 483-495

어린이 전시 공간에 나타난 스캐폴딩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caffolding characteristics for expanding the space experience in children's exhibition 곽명헌, 윤재은 p. 411-419

인천 버스차고지 특성분석에 따른 유형화 및 복합화 개발방향 제안 = Study on the complexation strategy for the Incheon bus depots by types based on characteristic analysis 김서경, 이태영 p. 329-341

비표상적 가치 체계를 기반으로 한 장소성의 변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dification of placeness based on none-representation value system 임민택 p. 213-223

한국과 중국의 은거 정원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eatures of South Korean and Chinese seclusion gardens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okrakdang and Dokrakwon : 독락당(獨樂堂)과 독락원(獨樂園)의 비교를 중심으로 민신러, 황용섭, 김주연 p. 159-174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공간 특성에 관한 분석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rsery space in workplace nursery facilities 유단경, 이자영, 전현상, 황연숙 p. 367-375

공공청사시설 공간구조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structure of government buildings by types 현창용, 이재영 p. 319-328

관광지 공간 유형화를 통한 안내표지판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uided signboards by the type of tourism space 오병찬 p. 391-400

AIP를 위한 노인공동체 주거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for AIP 장주영, 황용섭, 김주연 p. 355-366

국내 월드컵경기장 부지 내 외부공간 현황조사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utilization of outdoor space in the site of the World Cup stadium in Korea 유다솔, 유영수 p. 343-354

유휴산업시설의 장소자산화를 통한 도시브랜딩 전략 = Urban branding strategy through place asset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신재령, 이정교 p. 129-140

경기문화재단 소속 뮤지엄 수장고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museum store belonging to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independent shared storage : 독립형 공유수장고 도입을 중심으로 박진호, 이주형 p. 301-310

전략적 체험모듈 기반 고관여 인지반응기제 브랜드 공간디자인 연구 = A study on brand space design of high involvement products' cognitive response mechanism based on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진상호, 최익서 p. 237-250

플레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대학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niversity exhibition space applying place branding : focusing on the idea-factory design at Kumoh University of Technology : 금오공대 아이디어팩토리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박진호, 이주형 p. 377-389

지역 정체성 기반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아트 활성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ommunity art based on local identity : focused on local projects in Korea : 국내 지역 연계 프로젝트 사례 중심으로 이효연, 최익서 p. 311-318

과학관 전시에 있어서 관람자 몰입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isitor immersive experience design in science museum 한가빈, 최익서 p. 251-262

친밀감 증대를 위한 세대교류형 주거내의 교류활성화 프로그램에 관한 기초연구 = Basic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intergenerational exchange programs in the house 염의돈, 류리, 김용성 p. 203-211

사용자 참여의견을 적용한 초등학교 화장실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oilet design applied to user participation opinion 신선영 p. 75-85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기업 홍보관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exhibition halls applied with digital media : focusing on space marketing strategy :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천아진, 윤재은 p. 115-128

브랜드 경험 증진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lement of servicescape for building up brand experience : focusing on a coffee professional brand store : 커피전문브랜드 매장 중심으로 김윤희, 이재규 p. 141-157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협업플랫폼 개발 연구 = For commercial space design strategy collaboration platform development study 이소이, 이돈일, 이은영 p. 27-45

노인요양병원 병실 치유환경 향상을 위한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 Healing environ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strategy for geriatric hospital bedroom : using the checklist adopting WELL Building Standard : WELL Building Standard를 적용한 체크리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고가로, 김인성 p. 263-276

무형문화재 전시관 디자인 개발 = Study on the museum desig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 focusing on Miryang Arirang Museum : 밀양아리랑 전시관을 중심으로 이주형, 박진호 p. 175-188

권역응급 의료환경개선을 위한 의료 서비스 디자인 = A study on medical service design for improving regional emergency medical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regional medical center fo[r]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 영남대학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이애리, 노권찬, 이돈일 p. 277-289

브랜드 이미지 및 구매에 영향 미치는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brand image and purchase : a focus on the Korean cosmetic flagship store : 국내 화장품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최형욱, 김주연 p. 189-201

참여디자인 방법을 적용한 농촌 치유관광 공간계획 수립 연구 = A study on spatial planning of rural healing tourism using participatory design method : with a focusing on the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 : 치유환경 요소를 중심으로 안지현, 김경희, 박의택 p. 87-100

가나자와 21세기 현대미술관과 도와다 아트센터의 공간분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analysis of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and the Towada Art Center 이기석 p. 11-25

유비쿼터스 환경에 나타난 미래도시 모빌리티 주거공간 리좀화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rhizomization of future mobility residential space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박현아, 윤재은 p. 401-409

부석사에 나타난 공간의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배치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rhyzome charactristics space of non-hierachical arrangement in Pusoksa 박현아, 윤재은 p. 291-299

지방 소도시의 도시축소 전략 도출을 위한 공공시설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shrinking strategies in Korea small cities : a case of public buildings in Naju City : 전남 나주시 공공건축물을 사례로 유민, 유영수 p. 225-236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활용한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콘셉트 발굴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discovering the concept of a future autonomous vehicle interior space scenario using Lego Serious Play 이덕찬 p. 101-113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 학교와 노인복지관의 복합화 공간계획 = The public facility complex of school and senior welfare center as a place of social interaction 이도현, 곽동화 p. 47-58

소비자의 상위 욕구 충족을 통한 디자인의 선호성 향상에 관한 연구 = Improving design preferences by satisfying consumers' upper needs in need hierarchy : related psychological principles and case study of spatial designs : 연관 디자인심리 원리와 공간디자인에의 적용사례 분석 이정민 p. 59-74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ggarwal, P., & McGill, A. L., (2007). Is that car smiling at me? Schema congruity as a basis for evaluating anthropomorphized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4(4), 468-479. 미소장
2 Bornstein, R. F., (1989). Exposure and affect: over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1968–1987. Psychological bulletin, 106(2), 265-289. 미소장
3 Carbon, C. C., & Pastukhov, A., (2018). Reliable top-left light convention starts with early Renaissance: An extensive approach comprising 10k artworks. Frontiers in psychology, 9, 1-7. 미소장
4 Choi, Jeong-Gun, & Kim, Myung-Suk, (May, 2008). The Usage of Anthropomorphic Form in Product Design. KSDS(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Conference Proceeding, 50-51. 미소장
5 Csikszentmihalyi, Mihaly, (1991).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미소장
6 DiSalvo, C., Gemperle, F., & Forlizzi, J., (2005). Imitating the human form: Four kinds of anthropomorphic form. Unpublished manuscript. Carnegie Mellon University. 미소장
7 Hekkert, P., Snelders, D., & Van Wieringen, P. C., (2003). 'Most advanced, yet acceptable': Typicality and novelty as joint predictors of aesthetic preference in industrial design.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4(1), 111-124. 미소장
8 Hume, D., (1976). The natural history of religion. New Delhi: Prabhat Prakashan. 미소장
9 Korea Dictionary Researcher, (1996).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간호학 대사전). Seoul: Korea Dictionary Researcher. 미소장
10 Lee, Jeongmin, (2014). User's commitment in contemporary design - Its psychological motives and design methodologie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4, 267-280. 미소장
11 Lee, J., (2020).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Basic Needs and Design Preference :Analyses of Related Psychological Principl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15(2), 11-26. 미소장
12 Na, Kyung Hoon, & Nam, Ho Jung, (May, 2015). SNS Use and Design Marketing Strategy of Domestic Telecom Companies for Bandwagon Effect Inducement. KSDS(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Conference Proceeding, 240-241. 미소장
13 Snyder, C. R., & Fromkin, H. L., (1977). Abnormality as a positive characteristic: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measuring need for uniquenes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6(5), 518. 미소장
14 Suh, M., Lee, H., & Rho, T., (2014). The brand anthropomorphized advertising o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low involvement service and produc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5(4), 27-53. 미소장
15 Thomas, R., Nardini, M., & Mareschal, D., (2010). Interactions between “light-from-above” and convexity priors in visual development. Journal of Vision, 10(8), 1-7. 미소장
16 Uzgoren, E., & Guney, T., (2012). The snob effect in the consumption of luxury good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62, 628-637. 미소장
17 Yoon, Jeong In, (2012). A Study on the Effectively in Modern Society Snop Effects Limited Package Design Discussion. Hanyang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 Dept. of Visual Communication ᆞ Brand-Packaging Design. Master's Degree. 미소장
18 Yun, Min Hie, (2009). A Study on Golden Ratio as a Universal Principle of Moder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5(3), 279-288. 미소장
19 Zajonc, R. B., (1968).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p2), 1-27. 미소장
20 글라이트만, 헨리, 장현갑 외 6인 역, (1999). 심리학. 서울:시그마프레스 / Gleitman, H., Fridlund, A., & Reisberg, A., (1995). Basic Psychology. New York: Norton. 미소장
21 뢰바흐, 베른트, (2000). 산업제품조형원론-인더스트리얼디자인, 서울: 조형교육. 미소장
22 리드웰, W., 홀델, C., & 버틀러, J., (방수원, 이희수 역), (2012). 디자인 불변의 법칙 125가지. 서울: 고려문화사. / Lidwell, W., Holden, K., & Butler, J., (2010). Universal principles of design. Beverly, MA: Rockport Publisher Inc. 미소장
23 서, 상희, (2015). 스토리 아키텍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24 시게타, 슈지, (방, 규철 역), (2004). 살아있는 마케팅 심리학. 서울: 도서출판 일빛. 미소장
25 한, 덕웅, (2004). 인간의 동기심리, 서울: 박영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