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기원에 관한 논쟁은 들뢰즈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다. 브라이도티를 비롯한 페미니즘 연구자들은 들뢰즈의 스피노자 해석을 바탕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을 정의하고자 하는 반면 안셀-피어슨은 들뢰즈의 초기 연구를 바탕으로 인간과 여타 존재 간의 구분되는 특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전거를 통해 제기된 주장을 토대로, 인간을 프리휴먼과 포스트휴먼 사이에서 생성 중인 중층적 존재로 이해한다. 인공지능, SNS와 같이 네트워크 미디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정보사회에서 인간은 분산된 주체성을 띤 존재로 파악된다. 포스트휴머니즘을 계승한 교육 연구들은 위계에서 자유로운 아이 상, 리좀적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우리는 이 논쟁을 통해 세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포스트휴머니즘 개념의 정립은 포스트휴먼 상황과 포스트휴머니즘 간의 구분이라는 전략을 취할 수 있다. 둘째, 포스트휴머니즘의 규범성은 인공지능의 자율성이라는 허구를 벗어나 진보된 인간 사회를 지향하는 규범 위에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포스트휴머니즘이 남길 유산은 교육적 공공성의 재구축이라는 과제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승지・이조은・정혜영・이연선(2018). 포스트휴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함의 탐색. 『어린이문학교육 연구』 19(3). 399-421. | 미소장 |
2 | 김분선(2017).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 지위에 대한 고찰. 『환경철학』 23. 37-61. | 미소장 |
3 | 김진석(2019). 『강한 인공지능과 인간: 인간강화와 인간잉여의 패러독스』. 파주: 글항아리. | 미소장 |
4 | 박기순(2020). 스피노자와 스토아 전통: 감정 이론을 중심으로. 『인간연구』 40. 137-164. | 미소장 |
5 | 박충식・손화철・하대청(2019). 인공지능 사용 제품 및 서비스 영향평가. 『포스트휴먼 사회와 새로운 규범』. 파주: 아카넷. 219-235. | 미소장 |
6 | 박휴용(2019a). 포스트휴먼 시대 학습자의 존재론적 이해와 학습이론 패러다임의 변화. 『교육방법연구』 31(1). 121-145. | 미소장 |
7 | 박휴용(2019b). 포스트휴먼 시대의 학교교육의 변화와 교사전문성의 향상. 『교육철학연구』 41(2). 47-80. | 미소장 |
8 | 백종현(2019). 포스트휴먼 사회의 도래와 휴머니즘. 『포스트휴먼 사회와 새로운 규범』. 파주: 아카넷. 27-60. | 미소장 |
9 | 서동욱(2017). 일의성의 존재론. 서동욱・진태원 편저. 『스피노자의 귀환: 현대철학과 함께 돌아온 사유의 혁명가』. 서울: 민음사. 184-213. | 미소장 |
10 | 박정희의 국가주의 교육론과 경제성장 | 소장 |
11 | 우정길(2019a).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 교육: 센델(M. Sendel)의 선물론(Theory of Giftedness)을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 41(3). 91-116. | 미소장 |
12 | 우정길(2019b).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의 교육』. 서울: 박영스토리. | 미소장 |
13 | 이길상(2017). 서구 교육이론의 한국적 수용 양상: 해방 이후 진보주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39(3). 79-104. | 미소장 |
14 | 이정우(2008). 『천 하나의 고원: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 파주: 돌베개. | 미소장 |
15 | 이조은・강승지・이연선(2018). 포스트휴먼 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교육적 시사점 탐색. 『교육혁신연구』 28(4). 341-366. | 미소장 |
16 | 이철승(2019). 『불평등의 세대: 누가 한국 사회를 불평등하게 만들었는가』. 서울: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7 | 조귀동(2020). 『세습 중산층 사회: 90년대생이 경험하는 불평등은 어떻게 다른가』. 서울: 생각의힘. | 미소장 |
18 | 정윤경(2019). 포스트휴머니즘과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 재고. 『교육철학연구』 41(3). 117-147. | 미소장 |
19 | 최승현(2014). AI 심신론의 기술교육적 시사점: 니시카와와 시몽동의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 36(4). 219-239. | 미소장 |
20 | 하대청(2019). 자율적 인공지능에서 휠체어 탄 인공지능으로. 『포스트휴먼 사회와 새로운 규범』. 파주: 아카넷. 116-146. | 미소장 |
21 | 허희옥・양은주・김다원・문용선・최종근(2017).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지능과 학습. 『교육철학연구』 39(1). 101-132. | 미소장 |
22 | 홍성욱(2019). 『포스트휴먼 오디세이: 휴머니즘에서 포스트휴머니즘까지』. 서울: 휴머니스트. | 미소장 |
23 | 下司 晶(2016). 『敎育思想のポストモダン: 戰後敎育學を超え』. 東京: 勁草書房. 최승현 역(2020). 『포스트모던 교육사상: 일본교육학은 포스트모던을 어떻게 수용했는가』. 서울: 박영스토리. | 미소장 |
24 | 大黑岳彦(2016). 『情報社會の哲學: グークル・ビッデータ・人工知能』. 東京: 勁草書房. | 미소장 |
25 | Ansell-Pearson, K.(1997). Viroid Life: Perspectives on Nietzsche and the Transhuman Con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최승현 역(2019). 『바이로이드적 생명: 니체와 탈인간의 조건』. 서울: 그린비. | 미소장 |
26 | Naturalism and the Idea of Nature ![]() |
미소장 |
27 | Aoun, J. E.(2017). Robot-Proof: Higher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ssachusetts: MIT Press. 김홍옥 역(2019). 『AI시대의 고등교육』. 서울: 에코리브르. | 미소장 |
28 | Aristotle(1894). Ethica Nicomachea. recognovit brevique adnotatione critica instuxitⅠ Bywater, Oxford: Clerendon Press. 이창우 외 역(2006).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이제이북스. | 미소장 |
29 | Barad, K.(2007).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0 | Bignall, S. and Braidotti, R.(2019). Posthuman Systems. eds. Bignall, S. and Braidotti, R. Posthuman Ecologies: Complexity and Process after Deleuze. London: Rowman & Littlefield. 1-16. | 미소장 |
31 | Afterword: complexity, materialism, difference ![]() |
미소장 |
32 | Braidotti, R.(2013). The Posthuman. New York: Polity Press. 이경란 역(2015). 『포스트휴먼』. 파주: 아카넷. | 미소장 |
33 | Burbules, N.(2009). Postmodernism.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y of Education. Siegel, H.(ed.).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525-527. | 미소장 |
34 | Caputo, J. D. Hermeneutics: Facts and Interpretation in the Age of Information. New York: Pelican Books. 이윤일 역(2020). 『포스트모던 해석학: 정보 시대에서의 사실과 해석』. 서울: 도서출판b. | 미소장 |
35 | Deleuze, G.(1969). Spinoza et la problème de l’expression. Paris: Minuit. 현영종・권순모 역 (2019). 『스피노자와 표현 문제』. 서울: 그린비. | 미소장 |
36 | Deleuze, G.(2004). Instincts and Institutions.(eds. Lapoujade, D., trans. Taormina, M.) Desert Islands and Other Texts: 1953-1974. Cambridge and London: Semiotext(s). 19-21. | 미소장 |
37 | Doepke, M. and Zilibotti, F.(2019). Love, Money & Parenting: How Economics Explains the Way We Raise Our Kids.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김승진 역(2020). 『기울어진 교육: 부모의 합리적 선택은 어떻게 불평등을 심화시키는가?』. 서울: 메디치. | 미소장 |
38 | Greene, J.(2013). Moral Tribes: Emotion, Reason and the Gap Between Us and Them. New York: Atlantic Books. 최호영 역(2017). 『옳고 그름: 분열과 갈등의 시대, 왜 다시 도덕인가』. 서울: 시공사. | 미소장 |
39 | A politics of imperceptibility ![]() |
미소장 |
40 | The Nature of Sexual Difference ![]() |
미소장 |
41 | Grosz, E.(2015). ‘Deleuze and the Nonhuman Turn: An Interview with Elizabeth Grosz’, in Jon Roffe and Hannah Stark(eds.). Deleuze and the Non/Human.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17-25. | 미소장 |
42 | Haraway, D. J.(2003). The Companion Species Manifesto: Dogs, People, and Significant Otherness. Chicago: Prickly Paradigm Press. | 미소장 |
43 | Haraway, D. J.(2016). Manifestly Haraway. Minnesot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황희선 역(2019). 『해러웨이 선언문: 인간과 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 파주: 책세상. | 미소장 |
44 | Kant, I.(1803). Uber Padagogik. 백종현 역주(2018). 『교육학』. 파주: 아카넷. | 미소장 |
45 | Latour, B.(1999). Pandora’s Hope: Essays on the Reality Science Studies. Harvard University Press. 장하원・홍성욱 역(2018). 『판도라의 희망: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서울: 휴머니스트. | 미소장 |
46 | McLuhan, H. M.(2003). Und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Critical Edition). Gingko Press. 김상호 역(2011).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47 | Murris, K.(2016). The Posthuman Child: Educational transformation through philosophy with picturebook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48 | Nadler, S.(2006). Spinoza’s Ethics: An Introduction.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이혁주 역(2013). 『에티카를 읽는다』. 서울: 그린비. | 미소장 |
49 | WHAT IS NEW MATERIALISM? ![]() |
미소장 |
50 | Reeves, R. V.(2017). Dream Hoarders: How the American Upper Middle Class. New York: Brookings Institution Press. 김승진 역(2019). 『20 VS 80의 사회: 상위 20퍼센트는 어떻게 불평등을 유지하는가』. 서울: 민음사. | 미소장 |
51 | Sellers, M.(2013).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Deleuze, Te Whariki and Curricular Understanding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손유진・안효진・유혜령・윤은주・이경화・이연선・이진희・임부연・전가일・한선아 역(2018). 『어린이의 교육과정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52 | Spinoza, B.(1977). Die Ethik(Lateinisch und Deutsch). übers. von Jakob Stern. Stuttgart. 강영계 역(2007). 『에티카』. 파주: 서광사. | 미소장 |
53 | The Transversality of New Materialism ![]() |
미소장 |
54 | Williams, J.(2019). Time and Posthuman: Rosi Braidotti and A. W. Moore on the Posthuman and Anthropocentrism after Deleuze’s Philosophy of Time. eds. Bignall, S. and Braidotti, R.. Posthuman Ecologies: Complexity and Process after Deleuze. London: Rowman & Littlefield. 105-12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