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모의 진로지원 및 학교 진로교육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arental career support and school career education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김정숙, 연보라 p. 29-54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운영 실제 연구 : A practical study on the operation on the high school record : focusing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general high school / 일반고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정미, 조흥순 p. 1-28
초등학생 대상 마음챙김 기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of the mindfulness-based social-emotional learn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승현, 이승호 p. 115-141
인공지능 스피커가 적용된 아바타의 성별 및 사실성 수준이 의인화 지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gender and realism level of avatar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on the persona perception 양은별, 임태형, 류지헌 p. 89-113

교원성과급 정책의 패러독스 분석 : A study on the paradox analysis of performance-related pay policy for teachers in Korea : based on Deborah A. Stone's policy paradox / Deborah A. Stone의 정책패러독스 관점을 중심으로 신현석, 정수영, 이영선, 이재선 p. 55-88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 Classification of social withdrawal changes of multicultural youth and identification of influential factors using growth mixture model 장유나, 오현정, 안소영, 홍세희 p. 143-169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갑성・오희정(2017). 사회는 교사에게 어떤 역할을 기대하는가?: 2007~2016년 신문자료 내용분석을 통한 교사역할기대 경향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4(3), 139-166. 미소장
2 김광호・김갑성・김성숙・김정민・김주아(2010).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평가제도 국제 비교 연구:한국 국가 배경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서. 미소장
3 김수구・천세영・을지새항(2011). 나이스 교무업무에 기초한 중등교사의 직무 시간량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127-152. 미소장
4 김순남 외(2013).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정책 연구: 국제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OR 2013-09. 미소장
5 김이경・유수정・김미정(2009). 교사의 근무시간 내・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7(4), 87-108. 미소장
6 김재훈(2018). 대학입시 학교생활기록부 생성에 대한 교사들의 문제의식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7 김혜원(2017). 학생부 종합전형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진학담당 교사들의 인식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8 박균열 외(2014). 학교생활기록부 기재방식 및 교육적 활용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OR 2014-1. 미소장
9 성태제 외(2012). 최신 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10 이원석(2017). 대입전형자료로서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영역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비교. 교육방법연구, 29(3). 543-566. 미소장
11 유훈(2016). 정책집행론. 서울: 대영문화사. 미소장
12 전영국(2019).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의 수행.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미소장
13 정정길・최종원・이시원(2016).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미소장
14 조용환(2005).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15 주영효・김상철(2017).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교육행정학연구, 35(1), 141-168 미소장
16 주영효・김대영・박종필・류영철・이인수(2017). 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 제고 방안 연구. 교육부 연구보고. 미소장
17 한수경(2016).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일반고 교사들의 대응전략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8 Spradley, J. P(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신재영 역(2006). 참여관찰법. 서울: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19 Backward Mapping: Implementation Research and Policy Decisions 네이버 미소장
20 Lipsky, Michael(1976). Toward a Theory of Street-Level Bureaucracy. Theoretical Perspectives on Urban Politics.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미소장
21 Lipsky, Michael(1980).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s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s. New York: Rusell Sage Foundat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