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팬데믹 이후 소설에서의 변화에 대한 예비적 고찰 : 코로나 이후 소설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 Preliminary consideration of changes in novels after the pandemic / 임지훈 1

목차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며 2

2. 코로나 시대 이전 소설에서 나타나는 전염병 - 재난의 양상 5

3. 《쓰지 않을 이야기》를 통해 바라본 독해 양상의 변화 10

4. 《팬데믹》에서 나타나는 SF적 상상력의 곤궁 14

5. 나가며 18

참고문헌 20

Abstract 2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 매체 기반 장르문학 연구의 가능성 = Possibility of research on genre literature based on digital media : 웹소설 연구를 위한 제언 이융희 p. 301-320

보기
증강현실(AR)과 스토리텔링 = Augmented reality and storytelling 최민성 p. 433-459

보기
기원과 이식 : Origin and transplantation : focusing on the concept of transplantation as a counter to the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 근대초극론에 대한 대항으로의 '이식' 개념을 중심으로 김학중 p. 153-185

보기
을 대상으로"> 키스텔링(Keystelling)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법 연구 : A study on reading education using keystelling : focusing on "Cheongsan-Byeolgok." / <청산별곡(靑山別曲)>을 대상으로 허관무, 전한성 p. 461-486

보기
1457년 김시습의 行迹과 心境 = The path and the mood of Kim Si-seup in 1457 이승수, 황인건, 김미애, 민선홍 p. 267-300

보기
김기림의 공동체 사랑을 향한 여정 : The Study on Kim Ki-rim's community love : the influence of Alfred Adler on Kim Ki-rim's love theory / 아들러의 사랑론의 수용과 관련하여 이미순 p. 241-266

보기
동아시아 문학에서 타자의 재현과 타자성의 구현 = Representation of the other and realization of the alterity in East Asian literature 이도흠 p. 219-239

보기
초등학생의 일기 텍스트에 나타난 결속 표지에 대한 종적 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hesion marke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s 김정선 p. 125-152

보기
팬데믹 이후 소설에서의 변화에 대한 예비적 고찰 = Preliminary consideration of changes in novels after the pandemic : 코로나 이후 소설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임지훈 p. 37-58

보기
박완서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음식의 문학적 재현과 의미 =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food in Park Wan-seo's short stories 김미영 p. 89-124

보기
대만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trend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for Taiwanese learners 이현주 p. 321-347

보기
팬데믹 이후의 인문학과 '전경인(全耕人)' = Humanities and 'Jeonkyungin' after pandemic 차성환 p. 5-35

보기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 전문대학 학습자의 서평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임인화 p. 349-381

보기
복합 양식 텍스트의 응집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herence of multimodal text 길호현 p. 59-88

보기
터키어 '-abil'의 한국어 일대다 대응 문형의 학습자 습득 양상 고찰 = A study on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one-to-many sentence patterns of Turkish 'Abil' : '-을 수 있다'를 중심으로 양소영 p. 187-218

보기
사랑을 통한 해방 = Liberation through love : 백낙청의 <시민문학론> 연구 전철희 p. 383-404

보기
한국의 서왕모(西王母) 수용과 그 요인(要因) = The acception of Xiwangmu(西王母) in Korea and it's facters 정재서 p. 405-432

보기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유정, <재난 서사의 마스터플롯>, ≪타인을 앓다≫, 민음사, 2016. 미소장
2 김영삼, <구원 없는 재난 서사와 혐오의 정서>, ≪현대소설연구≫ 78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미소장
3 김윤식, <결핵의 속성과 결핵문학>, ≪이상연구≫, 문학사상사, 1987. 미소장
4 김초엽 외 5인, ≪팬데믹≫, 문학과지성사, 2020. 미소장
5 복도훈, <세계의 끝: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인문학연구≫ 42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미소장
6 서은혜,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재난(catastrophe) 모티프와 공동체의 이상>, ≪한국현대문학연구≫ 36집, 한국현대문학회, 2012. 미소장
7 서형범, <‘홍수’의 서사화를 통해 본 재난서사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36집, 한국현대문학회, 2012. 미소장
8 소영현, <민주화의 역설과 한국소설의 종말론적 상상력 재고>, ≪한국문예창작≫ 27집, 한국문예창작학회, 2013. 미소장
9 신진숙, <재난서사의 문화적 구성-후쿠시마와 밀양 사례를 중심으로>, ≪문학과 사회≫ 18집,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미소장
10 오혜진, <출구없는 재난의 편재, 공포와 불안의 서사 - 정유정, 편혜영, 윤고은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48집, 우리문학회, 2015. 미소장
11 이소연, <코로나 시대에서>, ≪문학선≫ 여름호, 2020.06. 미소장
12 정과리・이일학 외, ≪감염병과 인문학≫, 도서출판 강, 2014. 미소장
13 조수경 외 3인, ≪쓰지 않을 이야기≫, Arte, 2020. 미소장
14 최강민, <1920~1930년대 재난소설에 나타난 급진적 이데올로기와 트라우마>, ≪어문론집≫ 56집, 중앙어문학회, 2013. 미소장
15 홍덕선, <파국의 상상력: 포스트 묵시록 문학과 재난 문학>, ≪인문과학≫ 57집,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미소장
16 황정아, <어떤 ‘코로나 서사’를 쓸 것인가>, 창비주간논평 2020.3.4. 미소장
17 슬라보예 지젝, 강우성 역, ≪판데믹 패닉≫, 북하우스, 202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