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팬데믹 이후 소설에서의 변화에 대한 예비적 고찰 : 코로나 이후 소설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 Preliminary consideration of changes in novels after the pandemic / 임지훈 1
목차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며 2
2. 코로나 시대 이전 소설에서 나타나는 전염병 - 재난의 양상 5
3. 《쓰지 않을 이야기》를 통해 바라본 독해 양상의 변화 10
4. 《팬데믹》에서 나타나는 SF적 상상력의 곤궁 14
5. 나가며 18
참고문헌 20
Abstract 2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유정, <재난 서사의 마스터플롯>, ≪타인을 앓다≫, 민음사, 2016. | 미소장 |
2 | 김영삼, <구원 없는 재난 서사와 혐오의 정서>, ≪현대소설연구≫ 78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 미소장 |
3 | 김윤식, <결핵의 속성과 결핵문학>, ≪이상연구≫, 문학사상사, 1987. | 미소장 |
4 | 김초엽 외 5인, ≪팬데믹≫, 문학과지성사, 2020. | 미소장 |
5 | 복도훈, <세계의 끝: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인문학연구≫ 42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 미소장 |
6 | 서은혜,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재난(catastrophe) 모티프와 공동체의 이상>, ≪한국현대문학연구≫ 36집, 한국현대문학회, 2012. | 미소장 |
7 | 서형범, <‘홍수’의 서사화를 통해 본 재난서사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36집, 한국현대문학회, 2012. | 미소장 |
8 | 소영현, <민주화의 역설과 한국소설의 종말론적 상상력 재고>, ≪한국문예창작≫ 27집, 한국문예창작학회, 2013. | 미소장 |
9 | 신진숙, <재난서사의 문화적 구성-후쿠시마와 밀양 사례를 중심으로>, ≪문학과 사회≫ 18집,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 미소장 |
10 | 오혜진, <출구없는 재난의 편재, 공포와 불안의 서사 - 정유정, 편혜영, 윤고은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48집, 우리문학회, 2015. | 미소장 |
11 | 이소연, <코로나 시대에서>, ≪문학선≫ 여름호, 2020.06. | 미소장 |
12 | 정과리・이일학 외, ≪감염병과 인문학≫, 도서출판 강, 2014. | 미소장 |
13 | 조수경 외 3인, ≪쓰지 않을 이야기≫, Arte, 2020. | 미소장 |
14 | 최강민, <1920~1930년대 재난소설에 나타난 급진적 이데올로기와 트라우마>, ≪어문론집≫ 56집, 중앙어문학회, 2013. | 미소장 |
15 | 홍덕선, <파국의 상상력: 포스트 묵시록 문학과 재난 문학>, ≪인문과학≫ 57집,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 미소장 |
16 | 황정아, <어떤 ‘코로나 서사’를 쓸 것인가>, 창비주간논평 2020.3.4. | 미소장 |
17 | 슬라보예 지젝, 강우성 역, ≪판데믹 패닉≫, 북하우스, 20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