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 내부 구성원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법인화 이후 서울대가 무엇이 변화되었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대 내부 구성원인, 교수, 직원,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결과는 서울대 법인화에 대한 전반적 평가, 법인화에 따른 긍정적 및 부정적 변화, 교육, 연구, 사회공헌, 그리고 운영체제 측면에서 변화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볼 때, 법인화 이후의 변화에 대해 서울대 내부 구성원들은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거나 변화가 별로 없다는 공통적인 인식을 보였다. 긍정적 변화로는 대학 재정의 확대와 운영의 자율성 확대,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 향상을, 부정적 변화로는 서울대의 법적 지위 모호, 대학 외부로부터의 직접적이고 공격적인 영향력의 과도한 증가를 언급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서, 그 의미와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what has chang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since its incorporation, focusing on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ts internal members. To this e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embers of SNU,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The interview results were presen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changes in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incorporation,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education, research, social contribution, and operating system. Overall, with regard to the changes after incorporation, the members of SNU showed a common perception that it was difficult to feel the change or that there was little change. As for positive changes, they mentioned the expansion of university finances, increased autonomy in operation, and improved responsiveness to environmental changes. As for negative changes, they mentioned the ambiguity of SNU's legal status, and the excessive increase of direct and aggressive influence from outside. In the last part, the main findings were summarized and their meaning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필남, 이정미, 박재윤, 김철회, 오세희, 국립대학 법인화 정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 미소장 |
2 | 이승복, 이상돈,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거버넌스전환과정 사례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2호, pp.27-53, 2012. | 미소장 |
3 | 윤권수, 양성관,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국립대학 법인화 정책변동 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법인화를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33권, 제3호, pp.427-456, 2015. | 미소장 |
4 | 이시우, “국립대법인화 정책에 관한 공법적 고찰: 소위‘서울대법인화법’에 대한 위헌성 논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제25권, pp.1-31, 2018. | 미소장 |
5 | 권귀영, “정책담화모형을 적용한 서울대학교의 법인화정책변화 연구,” 인문사회 21, 제11권, 제4호, pp.1969-1984, 2020. | 미소장 |
6 | 노화준, 정책학 원론, 제3전정판, 박영사, 2012. | 미소장 |
7 | M. Lipsky, “Street-level Bureaucracy and the Analysis of Urban Reform,” Urban Affairs Quarterly, Vol.6, No.4, pp.391-409, 1971. | 미소장 |
8 | 배병룡 편, 제도와 행위 , 대영문화사, 2015. | 미소장 |
9 | I. Seidman,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3rd ed., Teachers College Press., 2006. | 미소장 |
10 | R. K. Yin,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th ed., Sage Publications Inc., 2009. | 미소장 |
11 | M. Q. Patton, Qualitative Research &Evluation Methods, 4th ed., Sage Publicatons, Inc., 2015. | 미소장 |
12 | 소인철, 국립대학법인의 자율성에 대한 정부-대학인식 차이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13 | 박소희, 법인화를 둘러싼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 원인분석,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13. | 미소장 |
14 | 전영한, “법인화에 따른 자율성효과의 불확실성: 서울대학교 사례,” 행정논총, 제52권, 제4호, pp.79-103, 2014. | 미소장 |
15 | 홍기현, “법인화의 정치경제학,” 경제논집, 제54권, 제2호, pp.385-426, 2015. | 미소장 |
16 | 신현석, “대학 법인화 정책의 발전방향 탐색: 서울대학교 법인화의 성과와 과제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제32권, 제1호, pp.145-178, 2019. | 미소장 |
17 | 오석홍, 조직이론, 제10판, 박영사, 2020. | 미소장 |
18 | 현창혁, 이호선, “조직문화 변화 상황에서 구성원의태도와 행동 변화의 영향요인,”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권, 제2호, pp.245-267, 2013. | 미소장 |
19 | 김미란, 국립대학 법인화 성과와 전망, 한국교육개발원, 201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