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신겸(2011), “지역사회 애착도가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곽동화·이정미(2009), “지역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한 공공시설디자인의 역할과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5(9): 107-115 |
미소장 |
3 |
김동근(2008), “주거지역의 장소애착에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영표(2018), “전통시장 및 대형마트 선택요인 비교분석”, 「관광레저연구」, 30권, 11호, 61-73 |
미소장 |
5 |
김수민(2016), “장소애착 형성요인에 따른 전통시장 활성화 디자인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준환·김현순(2013),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이용행태 차이에 관한 실증연구”, 「주거환경」, 11권, 1호, 63-75 |
미소장 |
7 |
박수현(2013), “문화공동체 사업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성남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박진아·김병석(2014), “근린환경만족도 및 지역사회 애착도가 마을만들기 활동참여에 미치는영향 연구”, 『도시설계』, 15권, 2호, pp.215-226 |
미소장 |
9 |
박희영(2013), “전통시장과 기업형 슈퍼마켓(SSM) 방문객의 이용특성 비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안내영(2011), “신도시 중심상업지역의 장소성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안치호·김시옥·김현중(2013), “대형마트와 SSM 의 출점이 전통시장의 매출액에 미친 영향”, 『주거환경』, 11집, 2호, 63-78 |
미소장 |
12 |
양소영(2017), “장소적 측면의 지역커뮤니티증진을 위한 빈집 활용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양현정(2002), “신도시 아파트 거주가구의 근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 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어정현·여홍구(2010),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45권, 6호, pp.21-34 |
미소장 |
15 |
윤소연·최재필(2014), “커뮤니티를 통한 공유주거의 장소애착 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호 논문집』, 34권, 2호, pp.5-6 |
미소장 |
16 |
윤용석(2014), “커뮤니티 중심 도시재생을 위한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고찰과 개선방향”, 『주택도시연구』, 4권, 1호, pp.33-43 |
미소장 |
17 |
이왕건(2012), “주민 중심의 커뮤니티를 활용한 도시·지역 재생방안”, 『국토』, pp.22-29. |
미소장 |
18 |
이은지·최현선(2015), “도시커뮤니티 형성 과정의 탐색”, 『국토연구』, 84권, pp.75-94. |
미소장 |
19 |
이창빈(2014), “단독주택지내 상업시설 이용이 주민들의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이하진(2017), “상업가로 방문자들의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이혜령(2017), “커뮤니티 역량강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특성 규명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임정모(2015),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시설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조혜경(2002), ‘지역사회 애착도가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주종웅(2013), “거주자와 방문자 사이의 장소애착 형성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지민정(2014), “가구규모별 거주기간과 활동시간이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차성미·이정형·김지엽(2014), “지역커뮤니티활성화 관점에서 아파트단지 커뮤니티 시설의 설치현황과 한계”, 『도시설계』, 15권, 2호, pp.139-154 |
미소장 |
27 |
최병두(2000),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 공동체 운동”, 「도시연구」, 6(0), pp.32-50 |
미소장 |
28 |
최열·임하경(2005), “장소애착 인지 및 결정요인 분석”, 『국토계획』, 47권, 2호, pp.53-64 |
미소장 |
29 |
최열·임하경·차용한(2008), “대형할인점 입지로 인한 재래시장 변화 분석”,『도시행정학보』, 제32집, 77-88 |
미소장 |
30 |
최윤정·최병선(2004), “아파트 지역에서의 커뮤니티 형성 방안에 관한 연구: 마을만들기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pp.455-464 |
미소장 |
31 |
한희수·김병석·박진아(2020), “상업시설 유형에 따른 방문빈도가 상업시설애착과 지역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망우동 이마트와우림시장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33집, 제2호, 23-42 |
미소장 |
32 |
홍경구(2012), “중소도시 현대화된 전통시장과 대형할인점과의 만족도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8권, 12호, 331-340 |
미소장 |
33 |
홍경구(2013), “가로활성화사업에서 주민만족도 및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대한건축학회』, 29권, 4호, pp.189-197 |
미소장 |
34 |
Altman, I.(1992), “Place Attachment : How many meanings-”, Arisitidis, A., Karaletsou, C., & Tsoukala, K, 1992., “Socio-environmental Metamorphoses”, In Proceedings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APS, Chalkidiki, Greece |
미소장 |
35 |
Altman, I., & Low, S. M.(Eds.)(2012), “Place attachment.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Vol. 12, New york: Plenum Press |
미소장 |
36 |
Bell, P. A., Green, T., Fisher, J. D., & Baum, A.(2001), “Environmental Psychology”, New Jersey |
미소장 |
37 |
Brown, B. B., & Perkins, D. D.(1992), “Disruptions in place attachment. In Place attachment”, Springer, Boston, MA, pp.279-304 |
미소장 |
38 |
Place attachment in a revitalizing neighborhood: Individual and block levels of analysis  |
미소장 |
39 |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ies for Meeting Rural Housing Needs  |
미소장 |
40 |
Kaltenborn, B. P.(1998), “Effects of sense of place on responses to environmental impacts:A study among residents in Svalbard in the Norwegian high Arctic”, Applied Geography, 18(2), pp.169-189 |
미소장 |
41 |
Kim, B. & Park, J.(2018), “Effects of Commercial Activites by Type on Social Bonding and Place Attachment in Neighborhoods”, Sustaniability, 10(6), 1771 |
미소장 |
42 |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Sense of Community  |
미소장 |
43 |
Knez, I.(2005), “Attachment and identity as related to a place and its perceived climat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5(2), pp.207-218 |
미소장 |
44 |
Fried, M.(2000),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of plac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3), pp.193-205 |
미소장 |
45 |
Gehl, J.(2011), “Life between buildings:using public space”, Island press |
미소장 |
46 |
Gifford, R.,(2007), “Environmental psychology:Principles and practice”, p. 372, Colville, WA:Optimal books |
미소장 |
47 |
Giuliani, M. V. & Feldman, R.(1993), “Place attachment in a developmental and cultural context”, Jonur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3, pp.267-274 |
미소장 |
48 |
A Critical Study of Theoretical Models of Sustainabilit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Systems  |
미소장 |
49 |
Hidalgo, M. C. & Hernandez, B.(2001), “Place attachment: Conceptual and empirical ques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3), 273-281 |
미소장 |
50 |
Hillery, G. A.(1955), “Definition of community”. Rural sociology, 20, pp.111-123 |
미소장 |
51 |
Lewicka, M.(2005), “Ways to make people active: The role of place attachment, cultural capital, and neighborhood 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5(4), pp.381-395 |
미소장 |
52 |
Low. S. M, & Altman, I.(1992), “Place attachment”, Springer US, pp.1-12 |
미소장 |
53 |
Low, S. M., “Cultural Aspects of Place Attachemtn”, Arisitidis, A., Karaletsou, C., & Tsoukala, K.(1992), “Socio-environmental Metamorphoses”, In Proceedings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APS, Chalkidiki, Greece |
미소장 |
54 |
Finding Common Ground: The Importance of Place Attachment to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lanning  |
미소장 |
55 |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
미소장 |
56 |
Community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
미소장 |
57 |
Social Ties,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Local Attachment  |
미소장 |
58 |
Morison, B.(2002), On location: Aristotle’s concept of place, Oxford University Press on Demand |
미소장 |
59 |
Attachments to recreation settings: The case of rail‐trail users  |
미소장 |
60 |
Perkins, D. D.,&Long, D. A.(2002), “Neighborhood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In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Springer, Boston, MA, pp.291-318 |
미소장 |
61 |
Sense of place amongst adolescents and adults in two rural Australian towns: The discriminating features of place attachment, sense of community and place dependence in relation to place identity  |
미소장 |
62 |
The City and Self-Identity  |
미소장 |
63 |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
미소장 |
64 |
Unlikely leaders, extreme circumstances: Older black women building community households  |
미소장 |
65 |
Stokols, D., & Shumaker, S.(1981), “People in Place: a Transactional View of Settings in J. Harvey (ed.) Cognition”, Social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
미소장 |
66 |
Smaldone, D.(2007), “The role of time in place attachment”, In: Burns, R.; Robinson, K., comps. Proceedings of the 2006 Northeastern Recreation Research Symposium; 2006 April 9-11; Bolton Landing, NY. Gen. Tech. Rep. NRS-P-14. Newtown Square, P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Northern Research Station: 47-56 |
미소장 |
67 |
Tuan, Yi-Fu(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68 |
Place Identification, Social Cohesion, and Enviornmental Sustainability  |
미소장 |
69 |
Environmental Concern in a Local Context  |
미소장 |
70 |
Williams, D. R., & Patterson, M. E.(1999), “Environmental psychology: Mapping landscape meanings for ecosystem management”, In:Cordell, HK; Bergstrom, JC, eds. Integrating social sciences and ecosystem management:Human dimensions in assessment, policy and management. Champaign, IL: Sagamore Press, pp.141-160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