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오엽,『대마도주의 간청』,『문헌상의 독도』, 박문사, p.406. |
미소장 |
2 |
권오엽편역,『죽도기사(竹島紀事』, 한국학술정보, 2013, |
미소장 |
3 |
권혁성, 「『長生竹島記』가 전하는 竹島丸선상의 문답문― 안용복의 일본도해 경험에 관하여 ―」,『日本語敎育』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8, |
미소장 |
4 |
남상권, 박영식, 「안용복 형상화에 대한 구전적 상상력」,『독도연구』 영남대학교독도연구소. 2019, pp.359-396. |
미소장 |
5 |
독도사료연구회편,『도해준비의 물산』,『竹島考 (上下)』경상북도, 2010 경상북도독도사료연구회성과물1,2010, pp.105-124. |
미소장 |
6 |
박병섭, 「안용복 사건에 대한 검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12, p.7. |
미소장 |
7 |
박지영, 「돗토리번사료를 통해본 울릉도 쟁계 –도해금지령과 태정과지령을 중심으로-」,『독도연구』제25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6.12, pp.213-250. |
미소장 |
8 |
손승철, 「1696년 安龍福의 제2차 渡日 공술자료」,『한일관계사 자료집』24집, 경인문화사, pp.251~300. |
미소장 |
9 |
송휘영, 「안용복의 도일 사건과 일본에서의 행적」,『일본문화학보』第72輯, 한국일본문화학회, 2006.4, pp. 29-42. |
미소장 |
10 |
유미림, 「안용복 밀사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독도연구』제27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12, pp.123-164. |
미소장 |
11 |
이태우, 「1696년 안용복 뇌헌 일행의 도일과 의승수군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독도연구』제28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6, pp.139-168. |
미소장 |
12 |
이 훈, 「조선후기의 독도 영속 시비」,『독도와 대마도』, 한일관계사연구회편, 지성의샘, 2005, pp.13-54. |
미소장 |
13 |
최영성, 「안용복의 2차도일의 성격」,『독도연구』26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6, pp.89-128. |
미소장 |
14 |
최영성, 「안용복의 2차도일의 성격」,『조선밀사 안용복』, 도서출판 문사철, 2019, pp.56-97. |
미소장 |
15 |
内藤正中,『竹島渡海免許の不法性』,『史的検証独島 竹島』, 岩波書店, pp.135-141. |
미소장 |
16 |
「원록9 병자년 조선주착안 일권지각서」, https://blog.naver.com/cms1530/10015417351 |
미소장 |
17 |
「죽도」(일본외무성), https://www.kr.emb-japan.go.jp/territory/takeshima/index.html(검색일 : 2020년10월10일)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