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독도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 = Dokdo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ment of Korea geography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전기석, 박경근 p. 329-358
일본 중학교 지리 교과서의 독도 관련 기술 연구 : The study on the description of the Dokdo on Japanese middle school geography textbooks authorized in 2020 / 2020년도 검정통과본 내용 분석과 기술 배경 검토를 중심으로 엄태봉 p. 301-328
독도 관련 고지도 연구의 동향과 과제 = Research trends and task of old maps related to Dokdo 심정보 p. 359-382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 of Dokdo-related old maps : focusing on the old maps owened[실은 owned] by Yeungnam University / 영남대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김도은, 이태우, 최재목 p. 273-300

일본정부의 안용복 공적 날조에 대한 비판 = Criticism on Japanese government's fabrication of Ahn Yong-bok's achievement : 외무성과 내각관방부의 '안용복 폄훼'를 중심으로 최장근 p. 243-272
독도주권과 국제법적 권원의 계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okdo's sovereignty and genealogy of titles in international law : focus on the international legal titles in Japan's claim to Dokdo /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의 권원을 중심으로 도시환 p. 205-241
조선 후기 주기적 울릉도 수토와 울릉도 인식 양상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iodic military missions to Ulleungdo and on the geographical perception of Ulleungdo in the later Joseon Dynasty 백인기 p. 127-172
한국정부의 독도의 역사적 권원 주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government’s assertion of the historic title to the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김명기 p. 173-203

2000년 이후 독도관련 역사학 분야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 Prospects and issues of historic studies in the Dokdo research since 2000 송휘영 p. 87-125

2000년 이후 독도/竹島 관련 일본학계의 역사학 연구 = Historical studies of Japanese academia on Dokdo/Takeshima since 2000 박병섭 p. 43-85
일본의 독도편입과 한국의 항의 부존재에 관한 검토 : Review of Japan's annexation of Dokdo and the absence of protest from Korea : refutation of Nagashima Hiroki's argument for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Regarded as Internal Affairs” / 나가시마 히로키(長島広紀)「'내정'화하는 한일의 '외교'」 에 대한 반론 이성환 p. 7-41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오엽,『대마도주의 간청』,『문헌상의 독도』, 박문사, p.406. 미소장
2 권오엽편역,『죽도기사(竹島紀事』, 한국학술정보, 2013, 미소장
3 권혁성, 「『長生竹島記』가 전하는 竹島丸선상의 문답문― 안용복의 일본도해 경험에 관하여 ―」,『日本語敎育』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8, 미소장
4 남상권, 박영식, 「안용복 형상화에 대한 구전적 상상력」,『독도연구』 영남대학교독도연구소. 2019, pp.359-396. 미소장
5 독도사료연구회편,『도해준비의 물산』,『竹島考 (上下)』경상북도, 2010 경상북도독도사료연구회성과물1,2010, pp.105-124. 미소장
6 박병섭, 「안용복 사건에 대한 검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12, p.7. 미소장
7 박지영, 「돗토리번사료를 통해본 울릉도 쟁계 –도해금지령과 태정과지령을 중심으로-」,『독도연구』제25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6.12, pp.213-250. 미소장
8 손승철, 「1696년 安龍福의 제2차 渡日 공술자료」,『한일관계사 자료집』24집, 경인문화사, pp.251~300. 미소장
9 송휘영, 「안용복의 도일 사건과 일본에서의 행적」,『일본문화학보』第72輯, 한국일본문화학회, 2006.4, pp. 29-42. 미소장
10 유미림, 「안용복 밀사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독도연구』제27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12, pp.123-164. 미소장
11 이태우, 「1696년 안용복 뇌헌 일행의 도일과 의승수군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독도연구』제28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6, pp.139-168. 미소장
12 이 훈, 「조선후기의 독도 영속 시비」,『독도와 대마도』, 한일관계사연구회편, 지성의샘, 2005, pp.13-54. 미소장
13 최영성, 「안용복의 2차도일의 성격」,『독도연구』26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6, pp.89-128. 미소장
14 최영성, 「안용복의 2차도일의 성격」,『조선밀사 안용복』, 도서출판 문사철, 2019, pp.56-97. 미소장
15 内藤正中,『竹島渡海免許の不法性』,『史的検証独島 竹島』, 岩波書店, pp.135-141. 미소장
16 「원록9 병자년 조선주착안 일권지각서」, https://blog.naver.com/cms1530/10015417351 미소장
17 「죽도」(일본외무성), https://www.kr.emb-japan.go.jp/territory/takeshima/index.html(검색일 : 2020년10월10일)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