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기존의 과거사 해결방식인 과거청산론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화해와 회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요컨대 ‘과거청산’보다는 ‘과거극복’ 문제의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과거청산론은 카를 슈미트적인 적과 동지의 이분법 안에서 접근되고 있어, 용서와 화해, 그리고 치유와 회복을 성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 과거극복론은 가치와 실천 모두에서 그러한 목표의 적극적 달성을 추구한다. 따라서 그것은 과거의 적과 동지의 구분을 넘어 다시 서로를 인간으로 인식하며, 주체 간 제거의지를 유보한 토대 위에, 과거의 악행에 대한 두터운 사과와 용서가 함께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따라서 청산 대신 극복, 투쟁 대신 공존, 상처 대신 회복이 자리잡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theory of liquidation of the past wrongdoing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reconciliation and healing. In short, we propose “overcoming” rather than “liquidation” of the past wrongdoings. As the theory of liquidation of the past wrongdoings approaches within the dichotomy of Carl Schmitt’s enemis and comrades, there is a limit to achieve forgiveness, reconciliation, healing and recovery. On the other hand, past overcoming theory seeks to achieve such goals in both value and practice. It is a process of rehumanizing each other beyond the distinction of past enemies and comrades; and deep apologies and forgiveness on the basis of the reservation of willingness to eliminate each other. Therefore, it gives rise to overcoming instead of liquidation, coexistence instead of struggle, and recovery instead of injury will take pla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 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aby boomers’ social participation typ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문경주, 장수지 p. 2279-2294

고령 북한이탈주민 복지욕구 및 제도 개선방안 = A study of needs and improvement plan for social security of elderly North Korean refugees 민기채 p. 2295-2308

종교를 통한 평등권 계몽에 헌신한 암베드카르의 생애적 특성 = The lifetime characteristics of Ambedkar, devoted to the enlightenment of equal rights through religion 김미숙 p. 2975-2989

국내 인도 연구 동향 분석 : Trends in Korean researches of Indian studies : with special reference to researches of Indian economy / 인도 경제 연구를 중심으로 김미수 p. 2959-2974

「변강쇠가」에 나타나는 옹녀의 '개가'와 '몸' = The ‘remarriage’ and ‘body’ of the Ong-nyeo in Byeongangsoega 김미령 p. 2945-2957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 『유합』 연구 = A study on the Yuhap in the Austrian national library 손희하 p. 3053-3068

비전문취업외국인에 대한 사회보장수급권 확보 방안 연구 = A study on securing social security rights for non-professional foreigners 백인옥, 김경제 p. 3037-3051

대학생의 행복과 그릿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grit of university students 박진주, 김은정, 이슬이 p. 3021-3036

노인의 자기 효능감과 신체활동 =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이창수, 주동진 p. 2639-2652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한 실버피트니스 활성화방안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silver fitness using daycare center 김후년 p. 3411-3421

역사적 기억의 연극적 재현과 포스트메모리 : Theatrical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memory and postmemory : with a focus on 1945, a play by Bae Sam-sik / 배삼식 희곡 「1945」를 중심으로 최정 p. 3339-3354

Особенности чаепития и чайной индустрии в России = A study on the peculiarities of tea drinking and tea industry in Russia Хо Сон Тэ, Ли Сон А p. 3323-3337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충동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in out-of-school adolescents and mediating effects of impulsivity 김병년, 김상용 p. 3397-3410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건강정보이해능력·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ommunity social capital, health and mental health literacy 백정원, 박병현 p. 3311-3321

청소년의 기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tempera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최명숙, 신경민 p. 3381-3396

자연친화적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및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sc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e art expression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조홍자 p. 3423-3438

축구 선수의 소속집단에 따른 기초체력 및 무산소성 파워의 특성 분석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basic physical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according to the group of soccer players 이경일, 오동섭, 김응규 p. 3367-3379

독일 가족수발자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German family carer support policy : focusing on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for family caregivers / 가족수발자를 위한 장기요양보험급여를 중심으로 남현주 p. 3295-3309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 귄리존중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 analysis on respect for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조숙영 p. 3355-3365

영아교사의 영아인권 인식과 인권감수성이 교사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 Infant teachers’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sensitivity impact on teacher role performance 민미선, 채영란 p. 2309-2320

고객센터 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ustomer center service quality evaluation : focused on mobile service providers / 이동통신사를 중심으로 박득 p. 2321-2331

여성의 신체·정서·인지 조절능력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physical, emotional and cognitive control ability on sleep quality of women 이영진, 윤선아 p. 2435-2448

온라인 학습도구를 활용한 읽기 학습방안 연구 = Study of reading study methods using online-learning tools 유용태 p. 2425-2434

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가정 교과목 교육내용 개발 = Development in educational contents of healthy family curriculum for marriage immigrants 박선아 p. 2333-2347

한·중 유학생 지원 현황 비교 = A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foreign students’ application status 월원 p. 2411-2423

신중년의 일자리 재진입 동태와 퇴직률의 영향요인 분석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job re-entry and retirement rate of the new middle-aged 배화숙 p. 2397-2410

평생학습의 장으로서 기업뮤지엄의 역할과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role and the meaning of corporate museums as a place for lifelong learning 방진선 p. 2381-2396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가능한 보훈외교 방안연구 : Post COVID-19 era, a study on sustainable veterans diploma : focusing on links to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 해외 한국어교육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박정은, 박국호 p. 2365-2380

2030세대의 양성평등의식, 부모됨의 인식, 출산의식의 구조적 관계분석 =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perceptions of parenthood and procreation consciousness in 2030 generations 박재범 p. 2349-2364

한국어교육 분야 문식성 연구 현황 및 향후 과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literacy research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김윤주 p. 3229-3240

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운영 어려움과 유아과학교육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유아과학교육 인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hange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erception through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learning club activities 김성희, 진재섭, 이정희 p. 3281-3294

대학생 핵심역량척도 개발 = Development of key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iate 문정순 p. 3255-3266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과교육론 수업이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teacher competency of pre-infant teachers 이혜정, 유은정 p. 3267-3280

고등학생과 대학생 축구선수의 슬관절과 족관절 등속성 근기능이 골반과 척주 정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sokinetic knee and ankle muscular function on pelvis and spine alignment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 soccer players 천성용 p. 2653-2664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 of adolescent’s perception of fam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김나예 p. 3217-3228

6주간 교정훈련이 대학 농구선수의 기능적 움직임과 기술관련 체력 및 부상발생률에 미치는 영향 = 6 weeks of corrective training of the functional movement and technical physical strength of college basketball players, and its effect on injury incidence rate 푸창, 김태규 p. 3201-3215

존 루터의 플루트, 하프시코드 그리고 현악앙상블을 위한 작품 『Suite Antique』 분석 및 연주 방향 = Analysis and performance direction on John Rutter’s Suite Antique for flute, harpsichord and string ensemble 추상희 p. 3189-3200

2015 개정교육과정 '고전읽기'를 위한 루소와 밀의 독서방법 고찰 = A study on Rousseau and Mill’s reading education for “reading classics” of 2015 revised curriculum 정은주 p. 3175-3188

항공사의 SNS를 통한 마케팅 전략이 고객의 서비스 재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airline marketing strategy through SNS oncustomer’s service re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trust on SNS word of mouth / SNS 구전 정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경은 p. 3159-3173

한글에 대한 국외의 관점들의 재검토 = A reconsideration 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about Hangeul 임재호 p. 3143-3157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청소년의 디지털 성범죄 관련 예측요인 탐색 = A predictive model for digital sexual crime of adolescents using random forests 조춘범, 이현 p. 3127-3141

창의·인성교육 관점에서 본 일본 유치원교육요령 분석 = Analysis of Japanes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rom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erspective 이하정 p. 3115-3126

유아·놀이 중심 미술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성찰 및 인식 = Reflective thinking and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on child-centered and play-based art education 이은영, 전유영 p. 3099-3114

질문중심 하브루타 명화감상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그림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question-based Havruta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on children’s painting appreciation ability and painting representation ability 최경남, 김현정 p. 2665-2679

유아의 학업능력, 가족 상호작용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ren’s academic ability, family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social competence 최대훈 p. 2681-2690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preventiv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ion of parents and infants 최윤희, 김은영 p. 2691-2705

앙드레 지드의 아나키적 지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anarchical directionality of André Gide : based on Stirner’s philosophy of the ego / 슈티르너의 유일자 사상을 중심으로 조미영 p. 2089-2102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이승준 p. 3083-3097

19세기 후반 인천 지역 전염병 예방체제의 과도기적 특징 고찰 = A study of the transitional disinfectant feature at Incheon Province in the la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원재연 p. 3069-3081

핸디캡 수준에 따른 골프관광의 선택속성 및 서비스품질과 도시이미지의 차이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lective attributes of golf tourism and service quality and city im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handicap 박장진 p. 3007-3020

간호대학생의 동기강화모델을 적용한 진전복습프로그램 실행연구 = Action research to applied a motivation/empowerment advanced review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김숙정, 이은 p. 2991-3005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과 청소년 심리의 연관성 고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and youth psychology : focusing on self-respect and satisfaction of life /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김미경 p. 2933-2943

中国食品安全监管刑事立法新动向与反思 = Study on the dereliction of duty crime of food control supervisory official (§408, Criminal Act of China) ⽞松鹤, 朴成敏 p. 2917-2932

SDGs 실시지침을 통해서 본 일본 정부의 SDGs 이행실천과 시사점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DGs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rough the implementation guidelines of SDGs and its implications 이창언 p. 2901-2916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들의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ing emotional reactions of college students under COVID-19 이윤정 p. 2885-2899

경찰공무원의 혁신행동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the innovation behavior of police officers on organizational culture 윤현석 p. 2875-2884

Heated tobacco products and tobacco harm reduction policies in Korea = 궐련형 전자담배와 한국의 담배위해감축 정책 Youngbum Park p. 2859-2874

도박중독에 관한 언론기사 변화 : A study on change in media reports on gambling addiction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ose in 2005-2009 and 2015-2019 / 2005~2009년과 2015~2019년의 언론기사 비교를 중심으로 박순아, 박근우 p. 2845-2857

평생교육사의 시민참여교육 실천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n the practical experience o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of a lifelong educator 김지현, 최운실 p. 2829-2843

Liang Fa, China’s first preacher, and his Christian tract = 중국의 첫 목사 양발(梁發)과 그의 그리스도교 전교 문헌 Sukjoo Kim p. 2813-2828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신앙교육 플랫폼 연구 = A study on the platform of faith educ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권순구 p. 2799-2812

산지연금제도의 핵심요소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 분석 = Analysis of beneficiaries’ preferences for the key elements of the forest pension system 권성오, 홍은표 p. 2785-2797

과거청산과 과거극복 : Transition from liquidation to overcoming of the past wrong doings : a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and healing / 화해와 치유로의 전환을 위하여 강효인, 박명림 p. 2769-2784

동물매개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A effect of animal assisted therapy on sociabilit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of children 강원국, 김옥진 p. 2753-2767

세계사 교과서 비잔티움 제국 서술 분석과 대안 = Byzantium imperial descriptions analysis and alternatives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 허은철 p. 2737-2752

유배우자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ho has a spous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lass consciousness / 사회계층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수정 p. 2723-2736

농촌지역사회 목회자의 삶에 관한 생애사 연구 = A life history research of a pastor’s life in the rural community 최지엘, 김동민 p. 2707-2721

On the conceptual metaphors applied in English commercial advertising = 영어 상업 광고에 적용된 개념적 은유 연구 Jing Quan, Jinhyun Joe p. 2625-2638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기초한 노인교육의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lderly education based on psychological goodwill factors 조용국 p. 2613-2624

코로나-19 사태가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과제 =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domestic economy and future challenges 조대형, 김정주 p. 2597-2612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 =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오은진, 조경진, 정윤경 p. 2583-2595

디아스포라 작가에게 남겨진 고향의 기억 : Diaspora writer’s remaining memory : focused on Buchi Emecheta’s works / 부치 에메체타 작품을 중심으로 정현숙 p. 2569-2582

노인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revitalization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정재갑 p. 2557-2568

이민자 근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work satisfaction of immigrants : focused on Chinese wage worker in Korea / 중국인 임금 근로자를 중심으로 장위건 p. 2543-2556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우울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력과 탄력성의 다중가산조절효과 =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s of family solidarit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임정숙, 정세미, 최성문 p. 2527-2541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을 위한 단과대학 재구조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lifelong education college in university 임영희, 서범원, 왕진 p. 2511-2525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이희은 p. 2495-2510

亚洲偶像产业研究 : Asian idol industry : taking China, Japan, and Korea as examples / 以中日韩为例 邓一祯, 李政建 p. 2481-2494

모더니즘 작가들과 물질주의 연구 : A study on modernists and materialism : review of ‘war and gender’ in Virginia Woolf and Rebecca West / 울프와 웨스트의 전쟁과 젠더 다시보기 이상규 p. 2465-247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 외모도구성과 신체이형장애 성향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ize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trait : mediation effect of self-objectific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multiphasic self-concept / 자기대상화의 매개효과와 자기개념의 다면성의 조절효과 윤혜민, 이영호 p. 2449-2464

참고문헌 (5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귀숙(2006), 『기억의 정치: 대량학살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서울: 문학과 지성사. 미소장
2 김다현(2006), “법교육을 통한 법의식 영향 연구: 고등학교 법과 사회를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1(2): 3638. 미소장
3 김동춘(2006), “해방 60년, 지연된 정의와 한국의 과거청산”, 『시민과세계』, (8): 203-224. 미소장
4 김동춘(2013),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한국전쟁과 학살, 그 진실을 찾아서』, 파주: 사계절. 미소장
5 김수영(2019), “목회 돌봄과 상담의 관점에서 용서와 화해의 의미 고찰”, 『피어선 신학 논단』, 8(1): 48-73. 미소장
6 김영수(2011), “한국 과거사정리와 국가의 전략”, 『역사연구』, (21): 141-167. 미소장
7 김현숙(2002), “경합중인 과거와 열린 미래: “진실”, “정의”, “화해”에 관하여”, 『사회와역사』, 61: 2-85. 미소장
8 문학사학회 엮음(2017), 『기억은 역사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파주: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9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 저, 홍종락 옮김(2016), 『기억의 종말 : 잊히지 않는 상처와 포옹하다』, 서울: IVP. 미소장
10 박명림(2019), “정의의 회복과 과거 극복의 완전성의 문제: 거창사건을 중심으로”, 『일감법학』, 42(0): 39-70. 미소장
11 박유하(2005), 『화해를 위해서: 교과서 위안부 야스쿠니 독도』, 서울: 뿌리와이파리. 미소장
12 부경환(2011), “킬링필드’의 기억과 재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손운산(2004), “치료, 용서 그리고 화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5(1): 241-283. 미소장
14 손운산(2008), 『용서와 치료』,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2. 미소장
15 안병욱(2010), “한국 과거청산의 현황과 과제”, 『역사비평』, (93): 32-60. 미소장
16 지역 정치문화와 선거 네이버 미소장
17 우승지(2008), “진화기대이론(Evolutionary Expectancy Theory)과 데탕트 시기 남북화해의이해”, 『국제정치논총』, 48(2): 107-126. 미소장
18 이소영(2011), “기억의 정치와 ‘법을 통한 과거청산’ 담론 비판”, 『외법논집』, 35(2): 271-285, <10.17257/hufslr.2011.35.2.271>. 미소장
19 이승훈(2019), “화해의 조건 -동감과 용서의 정치성,” 『현상과인식』, 43(1): 59-80. <10.46349/kjhss.2019.03.43.1.59>. 미소장
20 이재승(2015), “사죄의 수행상 오류”, 『민주법학』, (59): 114, <10.15756/dls.2015.0.59.99>. 미소장
21 전순영, 김회권(2019),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의 기억 담론에 의거한 한국 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신학사상』, 185: 405-438, <10.35858/sinhak.2019.. 185.014>. 미소장
22 전진성(2005),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이론과 실천을 위한 기억의 문화사』, 24, 서울: 휴머니스트. 미소장
23 정근식(2013),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13(2): 347-394. 미소장
24 정근식(2020), “5월운동의 성과와 한계: 과거청산과 이행기 정의 사이에서”, 『경제와사회』, (126): 12-46. 미소장
25 정승현(2014), “과거사 청산의 ‘정의(正義)’ 논쟁과 그 사상적 함의”, 『현대정치연구』, 7(1): 225-258. 미소장
26 제주4, 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2003), 『제주4, 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서울: 제주4, 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미소장
27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 저, 강승훈 옮김(2008), 『남겨진 시간: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에 관한 강의』, 서울: 코나투스. 미소장
28 주봉호(2014), “남북관계의 과제: 화해와 협력”, 『국제정치연구』, 17(2): 193-217, <10.15235/jir.2014.12.17.2.193>. 미소장
29 차승주(2019), “평화ㆍ통일교육의 핵심 내용으로서 ‘화해’에 대한 시론적 고찰”, 『평화학연구』, 20(3): 33-51. 미소장
30 천자현(2015), “다음 세대를 위한 한일 관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화해, 그리고 회복적 정의”, 『일본비평』, 7(1): 26-49. 미소장
31 최호근(2019), 『기념의 미래: 기억의 정치 끝에서 기념문화를 이야기하다』,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미소장
32 카를 슈미트(Carl Schmitt) 저(1932), 김효전·정태호 옮김(2012), 『정치적인 것의 개념:서문과 세 개의 계론을 수록한 1932년 판『, 파주: 살림. 미소장
33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저, 김선욱 역(2006),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파주: 한길사. 미소장
34 한홍구(2016), “한국의 과거청산과 『반헌법행위자열전』 편찬사업”, 『경제와사회』, (109): 12-51. 미소장
35 황수환(2020), “남북정상회담의 지속과 변화: 화해를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23(2): 441-465. 미소장
36 Arendt, H.(1998), 『The Human Cond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37 Baksbat (Broken Courag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ventory to Measure Baksbat, a Cambodian Trauma-based Cultural Syndrome of Distress 네이버 미소장
38 Crocker, D. A.(2003), “Reckoning with Past Wrongs: A Normative Framework”, 『Dilemmas of Reconciliation: Cases and Concepts』(edited by Prager, C., & T. Govier), 54-55, Ontario: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미소장
39 De Gruchy, J. W.(2002), 『Reconciliation: Restoring Justice』, Minneapolis: Fortress Press. 미소장
40 Derrida, J.(2002), 『On Cosmopolitanism and Forgiveness』, 27-59,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41 Griswold, C. L.(2007), 『Forgiveness: a philosophical explor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42 Helmick, R. G., & R. L. Petersen(2002),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Religion, Public Policy, and Conflict Transformation』, PA: Templeton Foundation Press. 미소장
43 Humphrey, M.(2002), 『The Politics of Atrocity and Reconciliation: From Terror to Trauma』, London: Routledge. 미소장
44 Nordquist, K.(2017), 『Reconciliation As Politics: A Concept and Its Practice』, Oregon: Picwick Publications. 미소장
45 Park, M. L.(2018), “Towards a Universal Model of Reconciliation: The Case of the Jeju 4.3 Incident,” 『Journal of Korean Religions』, 9(1): 105130, . 미소장
46 Quinn, J. R.(2009), 『Reconciliation(s): Transitional Justice in post conflict societies』, Montreal: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미소장
47 Schaap, A.(2005), 『Political Reconciliation』, London: Routledge. 미소장
48 Volf, M.(2012), 『배제와 포용』, 서울: IVP. 미소장
49 Volf, M.(2017), 『Flourishing: Why We Need Religion in a Globalized World』, New Haven, CT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50 Zehr, H.(1985), "Retributive Justice, Restorative Justice”, 『New Perspectives on Crime and Justice』, (4): 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