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신천(2017). 지역사회와의 협력에 기반한 방과후학교 운영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연구보고서. | 미소장 |
2 | 강흥수·홍석노·신용운(2013). 미래형 방과후학교 모델설계: 성남시 시범사업.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 미소장 |
3 | 곽지혜(2011). 학교-지역사회 네트워크 중심의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 | 김양화(2013). 지적장애 학생 방과후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연구. 조선대학교 대학교, 박사학위논논문. | 미소장 |
5 | 김주옥(2008). 유아 특수학교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6 | 김태은·권순애·김종해·송근후·신선희·이보미·이수진·전용화(2017). 지역사회가 운영하는 방과후학교 활성화 방안: 인천광역시 남구교육혁신지구를 중심으로. 인천교육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 미소장 |
7 | 변미숙(2010). 초등특수학급 방과후학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8 | 서산나(2019).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음악 강사들의 경험과 의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9 | 성근영(2014). 방과후학교 운영체제 인식과 교육효과성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신유정(2010). 초등 방과후학교의 운영에 관한 학부모, 교사, 강사의 인식연구. 숙명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1 | 안귀자(2006). 과천시 장애아 방과후 프로그램의 부모 만족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2 | 우현(2006). 방과후 지역사회 체험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대인관계 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3 | 이미래(2016).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4 | 임금섭(2007). 특수학급 방과후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5 | 조성국(2010).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6 | 주정훈·강민정·김세희·김보영·최정윤(2017). 학교와 자치구가 협력하는 마을방과후학교 운영방안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연구보고서. | 미소장 |
17 | 표말란(2009).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8 | 아시아경제(2019.03.14.). 외면받는 방과후학교, 참여율 5년 연속 하락.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9031310350963331에서 2019.04.10. 검색. | 미소장 |
19 | Strauss, A. & Corbin, J. (1991).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 33-25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