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고다르 감독의 열 번째 영화가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됐을 때, 그 당시 이 영화는 찬바람을 맞았다. 하지만, 얼마 뒤, 유명한 인사들이 고다르의 영화를 극찬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 제일 열렬히 극찬한 사람은 바로 시인 루이 아라공이 었다. 아라공은 고다르의 영화 ‘미치광이 삐에로’가 현대 예술의 정상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영화제의 관람객이 이 영화를 이토록 싫어한 반면, 아라공으로 하여금 좋아하게 만든 이유는, 이 영화가 전통적인 영화 서술 방식을 외면하고, 고다르의 말을 빌리자면 ‘영화의 시도’인 다른 길로 들어섰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 시도의 의미와 쟁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영화에서 인용과 꼴라쥬 기술이 완벽하게 사용됐다는 아라공의 극찬을 출발점으로 하여, 고다르가 어떻게 이야기의 매인 플롯을 뒤로 하고, 그 위로 또 다른 텍스트(sur-texte)를 지어내고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한다. 위로 떠다니는 이 텍스트를 제대로 파악하는데 있어서, 영화 마지막 장면에 들려오는 렝보의 시가 큰 힌트를 주고 있다. 그러나 영화의 정의에 도전하는 이 시적인 차원을 넘어, ‘미치광이 삐에로’는 예술로 보는 영화 자체를 재해석하는 계기도 된다. 특히 이 영화를 통해 고다르는 자기보다 위대하다고 여기는 문학 앞에 ‘과연 영화의 특성이 무엇인가?’ 라는 화두를 고다르 스스로에게 나아가 우리에게도 던진다.

Présenté au festival de Venise en 1965, Pierrot le fou de Jean-Luc Godard fut fortement critiqué à sa sortie. Il sera défendu par quelques plumes prestigieuses parmi lesquelles Louis Aragon qui voyait en Godard et dans ce film en particulier l'épitome de l'art d'aujourd'hui. Si le film a tant choqué le public et tant séduit Aragon, c'est parce qu'il semble tourner le dos au cinéma traditionnel pour présenter quelque chose qui est, pour reprendre les termes de Godard lui-même, “une tentative de cinéma” poussant plus loin encore les expérimentations à l'oeuvre dans ses films précédents. Le propos de cet article est donc d'interroger le sens de cette tentative et de ses enjeux. Partant de l'éloge qu'en fait Aragon pour son usage des citations-collages, nous verrons comment Godard met l'intrigue du film au second plan pour construire, à travers un jeu complexe de références, un “sur-texte” que le poème de Rimbaud cité à la fin du film permet peut-être d'éclairer. Mais au-delà de sa dimension poétique - qui suffit déjà à remettre en question la vocation du cinématographe, Pierrot le fou pose aussi les bases d'une réflexion sur le cinéma lui-même, son statut et sa nature spécifique, surtout au regard de la littérature, sa “grande soeur”, envers laquelle il se sent endetté.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준-문맥의존문법(MCSG) 계층에 관하여 : Sur la classe des grammaires légèrement sensibles au contexte : dans le cadre de la grammaire d'arbres adjoints (TAG) / 수형도결합 문법(TAG) 중심으로 - 윤신원 p. 183-215

『파리의 흑인』과 베르나르 다디에의 휴머니즘 = Un nègre à Paris et l'humanisme de Bernard Dadié 김용현 p. 239-260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프랑스(어)학과/전공의 지속가능성장에 대한 소고 = Sur la stratégie du département de langue française et de culture française vers un développement durable 김경석, 염혜민, 심봉섭 p. 7-31

프랑스어의 <à + 명사구> 형태의 여격 보어 연구 : Le complément datif lexical de type <à + SN> en français : sa définition et son alternance avec le complément accusatif / 판별기준 및 여격/대격 보어 교체현상을 중심으로 김종명 p. 113-151

Z세대, 포노 사피엔스, 그리고 프랑스 어문학 교육 = Génération Z, Phono sapiens, et Enseignement de langue et littérature françaises 지영래 p. 81-110

프랑스어 상태 표현의 효율적 학습 방안을 위한 제언 = Propositions de méthodes adéquates pour l'apprentissage des expressions d'état en français 박만규 p. 53-80

신체부위명사를 동반하는 경우의 전치사 sur, dans, à의 장소용법 = Emplois spatiaux des prépositions sur, dans, à devant les noms de parties du corps 노윤채 p. 153-182

모디아노의 글쓰기. Écriture de Modiano. 2, Sur l'identité du "je" apparaissant dans les œuvres récentes / 2, 최근작에 나타나는 '나'의 정체성에 대하여 이광진 p. 261-286

『젊은 파르크』에 나타난 세계 내 탄생의 풍경 = Le paysage de naissance au monde dans La Jeune Parque 김시원 p. 219-237

한국에서 사용되는 FLE 교재의 시대적 변화양상과 시사점 = Tendances et implications des manuels FLE utilisés en Corée : Festival 1, Amical 1, Edito A1을 중심으로 김정란 p. 33-52

(La) dette littéraire dans Pierrot le fou de Jean-Luc Godard = 고다르의 '미치광이 삐에로'에서의 문학 개입에 관하여 Simon Kim p. 289-309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건 (2002). 1967년까지의 고다르 영화 속에서 이미지의 ‘텍스트화’. 『문학과 영상』, 3(2) 미소장
2 노철환 (2013). 고다르 영화에서 카리나 시기 스타일 분석. 『영화연구』, 57 미소장
3 조성애 (2009). 고다르의 <네 멋대로 해라>와 <미치광이 삐에로>에 나타난공간미학. 『프랑스문화예술연구』, 30 미소장
4 Aragon, Louis. (2003). Collages. Paris : Hermann 미소장
5 Assouline, Pierre (2018). Godard, du côté de la littérature plus que du cinéma. La République des lettres, 17 mai 미소장
6 d'Abrigeon, Julien (1995). Jean-Luc Godard, cinéaste-écrivain, mémoire de maîtrise. Université Lyon-Jean Moulin, Lyon. 미소장
7 Douin, Lean-Luc (1994). Jean-Luc Godard. Paris : Rivages/Cinéma 미소장
8 Godard, Jean-Luc (2015). 미치광이 삐에로 Pierrot le fou, DVD, Séoul : 드림믹스. 미소장
9 Godard, Jean-Luc (2007). Pierrot le fou, DVD, Paris : les Cahiers du cinéma. 미소장
10 Godard, Jean-Luc (2012). Les années Karina, Paris : Champs Flammarion. 미소장
11 Rimbaud, Arthur. (1998) Poésies complètes. Paris : Le Livre de Poche. 미소장
12 Vacher, Pascal (2010). Lectures et voix littéraires dans Pierrot le fou, de Jean-Luc Godard. ΣΥΓΚΡΙΣΗ / Comparaison, 20. 미소장
13 White, Lionel (1963). Le démon d'onze heures (coll. Série noire, n° 803). Paris : NRF Gallimard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