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부(2011). 예술⋅체육 중점학교. 창의인성교육과. |
미소장 |
2 |
교육부(2019). 2019년 방과 후 학교 운영 현황 통계. 기준일 2019.04.30. |
미소장 |
3 |
김성호(2017). 체대입시 준비 과정에서 수험생들이겪는 어려움과 개선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4 |
김성희(2010). 체육계열학과 입시생들의 대학 진학준비과정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5 |
김준형(2017). 체육계열 학과 진학을 위한 고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사례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6 |
김준형, 박정준(2019). 체육계열학과 진학을 위한고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3(4), 17-32. |
미소장 |
7 |
김태봉(2013). 체육계열 대학 입시학원의 체험에대한 교육적 해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8 |
노유찬(2020). 남성 요가 수련자의 몰입 경험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교육대학원. |
미소장 |
9 |
박정준(2017). 체육 교과 역량 함양 교육에 관한 지도주체별 인식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2(2), 1-17. |
미소장 |
10 |
심율아(2013). 방과 후 학교 체대입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연구: 사설체대입시 기관과의비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1 |
윤기준, 전세명, 정현수(2017). 체육교사학습공동체참여 양상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21(5), 624-634. |
미소장 |
12 |
윤기준, 이윤수(2019). 체육중점학교 운영 경험에대한 내러티브탐구. 체육과학연구, 30(3), 555-571. |
미소장 |
13 |
윤기준, 정현수(2020). 체육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통한 교사 전문성 개발 양상에 대한 질적메타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7(2), 1-17. |
미소장 |
14 |
이규일, 오정훈, 천항욱(2020). 진로교육 관점에서본 체육중점학교 교육과 정의 성과와 한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7(1), 71-94. |
미소장 |
15 |
이동성, 김영천(2012).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고찰. 열린교육연구, 20(2), 1-26. |
미소장 |
16 |
이만규(2006). 체육계열 대학 진학 학생들의 체대입시학원 이용 실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7 |
이무원(2010). 고등학교 체육집중과정반 운영사례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8 |
이용오(2019). 체대입시 수험생의 스트레스와 탈진과의 관련성 규명.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9 |
이의재, 유정애(2016). 교육실천공동체활동을 통하초임 체육교사의 성장과정 이해. 한국체육학회지, 55(1), 285-298. |
미소장 |
20 |
이의재(2019). 체육교과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2), 89-104. |
미소장 |
21 |
이지은(2016). 체육계열학과 대학입시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2 |
이창현(2010).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
미소장 |
23 |
이창현, 오정훈, 김택천, 이규일(2018). 체육중점학교 사업의 성과와 반성 : 세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5(4), 65-86. |
미소장 |
24 |
임성철, 이승범, 이대형(2012). 체대진학을 위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고교생의경험.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2), 39-50. |
미소장 |
25 |
제성준(2019).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계열 대학교 진학지도 개선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9(23), 1011-1035. |
미소장 |
26 |
조두연(2011).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만족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7 |
주문학(2008). 체육계열학과 입시전문교육기관에대한 이용만족도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28 |
주병하(2014). 체대입시반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4), 67-85. |
미소장 |
29 |
천현진(2016). 체육학과 입시생의 대학 입학 준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30 |
통계청(2019). 가구의 월평균 소득별 학생 1인당 월평균사교육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
미소장 |
31 |
한국교육개발원(2011). 졸업 후 상황. 교육통계 서비스. |
미소장 |
32 |
한국교육개발원(2017). 교육통계연보 대학 통계-학과 계열별 지원자 수. 교육통계 서비스. |
미소장 |
33 |
한국교육개발원(2018). 교육통계연보 대학 통계-학과 계열별 지원자 수. 교육통계 서비스. |
미소장 |
34 |
한국교육개발원(2019). 졸업 후 상황. 교육통계 서비스. |
미소장 |
35 |
한국교육개발원(2019). 교육통계연보 대학 통계-학과 계열별 지원자 수. 교육통계 서비스. |
미소장 |
36 |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theory. 신경림 옮김 (2003).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