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노부코의 ‘결혼의식’과 ‘슌키치에의 사랑을 희생한 여성’이라는 의혹을 중심으로 그녀의 삶의 구조를 고찰해 보고, 『아키』로 이어지는 아쿠타가와의 인식에 대해 검토해 본다. 우선 데루코의 편지는 작품 중 데루코의 존재를 대변함과 동시에, 노부코의 심리를 알기위한 중요한 실마리로 작용하고 있다. 그것은 첫째, 노부코에게는 ‘여동생에의 희생이라고 생각하고 싶다’는 의식 작용을 통해 여동생의 편지를 꺼내어 읽으면서 눈물에 젖어 데루코의 모습을 애처롭게 생각하는 행동으로 나타나 있다. 두 번째, 만약 노부코의 결혼이 데루코의 상상대로였다고 한다면 그 눈물은 노부코의 자기희생에 대한 감상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세 번째, 노부코의 의혹의 발단은 데루코의 편지 속 상상에서 시작되고 있다. 데루코가 자기희생을 한 언니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용서를 구한 것은 데루코의 소녀다움, 애처로움에 대한 마음의 감동에서 온 것일 수 있다. 결국 아쿠타가와의 노부코의 관념적 인식은 데루코의 노부코에게 보낸 편지가 그것을 대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네 번째, 노부코의 결혼이 모두의 예측과는 달랐던 사정은 ‘모친 데마에와 세상습속에 의한 혼담결정이라는 점에서, 완전한 희생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 번째, 아쿠타가와의 결혼 전 노부코에 대한 언급 대부분이 주위 동창들의 시선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다. 노부코의 희생의 조건이 되는 슌키치와의 관계는 어디에도 언급되지 않으며 애매한 언급만이 있을 뿐이다. 이상의 점에서 『아키』의 노부코를 그려낸 아쿠타가와로서는 그의 인생도정이나 인간인식으로서는 획기적인 일이며, 극히 상징적 심상에 따른 아쿠타가와의 인식 혹은 관념에 의해 조형되어진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福沢健全期(1882~1898)『時事新報』社説における清国 = Editorial about China in Jijishinpo from 1882 to 1898 平山洋 p. 205-23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전후 일본 신문의 재일한인 미디어 표상 : A study on media representation of Zainichi Koreans in postwar Japanese newpapers by keywords network analysis : focus on the top 3 newspapers in Japan / 일본 3대 신문을 중심으로 정영미 p. 183-203

「야키니쿠 드래곤」에 그려진 냉전시대의 재일조선인 = Zainichi Korean in Cold War represented in the play Yakiniku Dragon 김계자 p. 165-182

오에 겐자부로의 「『새싹 뽑기, 어린 짐승 쏘기』재판」론 : A study on the Oe Knezaburo's '"Memushiri Kouchi" Saiban' : focusing on the connotative meaning of 'trial' / '재판'의 함축적 의미를 중심으로 소명선 p. 147-164

地域の課題解決に対する市民とマスコミの関係 :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nd the media in relation to solving local problems : proposing of a new concept of journalism / 新しいジャーナリズムの概念による取組みの方向性 竹内裕二, 松井督治 p. 295-319

わが国(日本)における経営者教育の展開可能性 = A study on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executive development in Japan 大野貴司 p. 265-293

1980년대 재일조선인 취업 잡지 연구 : Study on Korean-Japanese employment magazine in the 1980s : focusing on Korea Job Search and Bridge by Won Su il / 『코리아취직정보』와 원수일 『다리(橋)』를 중심으로 임상민 p. 125-145

「쇼코의 미소」와 「유희」 : 「Shouko's smile」and 「Yu-Hee」: through the language and communication and diaspora of foreign student from Japan and Korean-Japanese student from Japan / 일본인 유학생과 재일한국인 유학생의 언어와 소통, 디아스포라 고찰 김선정 p. 105-123

일본어 온라인 리뷰의 내용과 특성 :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reviews in Japanese : focusing on negative restaurant reviews / 식당에 관한 부정적 리뷰를 대상으로 이선희 p. 51-67

포즈의 지도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for evaluation of pronunciation by Japanese native speaker through instruction of pause on Korean Japanese learner 김주연 p. 31-49

일본 브랜드 불매운동 태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Consumer motivations for Japan brand boycot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xposure of Japan contents and the visit ex[p]erience of Japan / 일본 콘텐츠 노출 및 방문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태중 p. 249-264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안전에 관한 거버넌스 비교 : A comparison of governance on nuclear safety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Wolseong No. 1 nuclear power plant Gyeongju in Gyeongsangbuk-do and Tokai-mura No. 2 nuclear power plant in Ibaraki-gen / 경상북도 경주 월성1원전과 이바라키현 동해 제2원전 사례를 중심으로 박성하 p. 233-247

소세키와 아쿠타가와의 텍스트에 나타난 근대교육 비판 = Soseki and Akutagawa's criticism of modern education 김난희 p. 87-104

학습자 판단에 따른 일본어 표현 문형의 난이도 : Level of difficulty of Japanese expression sentence patterns based on learner's judgment : focusing on changes before and after learning / 학습 전·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조남성 p. 7-30

『아키(秋)』論 : Theory of AKI : focusing on the suspicion surrounding NOBUKO's marital consciousness and sacrifice / 노부코(信子)의 결혼의식(意識)과 희생을 둘러싼 의혹을 중심으로 감영희 p. 69-86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關口安義(1999)『芥川龍之介とその時代』筑摩書房、p.89 미소장
2 関口安義(1956)「寂しい諦めー芥川竜之介『秋』の世界」、p.37 미소장
3 神田有美子(1990)「秋」(『作品論-芥川竜之介』)双文社出版、p.110 미소장
4 酒井英行(1993)『芥川竜之介作品の迷路』有精堂出版、p.126 미소장
5 西山康一(1999)「芥川作品の語り出される<場所>-『秋』をめぐって」『芸文研究』74号 미소장
6 大岡昇平(1972)『日本の文学29芥川竜之介』解説、中央公論社 p.62 미소장
7 濱川勝彦(1992)「『秋』を読むー才媛の自繩自縛の悲劇」『国文学」 미소장
8 三好行雄(1976)『芥川竜之介論』 筑摩書房、p.156 미소장
9 三好行雄(1976)三好行雄著作集3『芥川竜之介論』「ある終焉『秋』の周辺)」、pp.150-170 미소장
10 室生犀星(1943)『芥川竜之介の人と文学』上、三笠書房、p.82 미소장
11 文盛業(1980)「芥川竜之介の秋考ーその観念の空間」『国学院大学大学院紀要』文学研究科、pp.184-190 미소장
12 山崎甲一(1992)「『秋』ー彼等三人の内面の劇」(『アプローチ芥川竜之介』明治書院、p.39 미소장
13 山崎甲一(1999)「『秋』彼ら3人の内面の劇」『芥川竜之介の言語空間』苙間書院、pp.76-78 미소장
14 감영희(2019)「아키(秋)론-노부코의 생의 구도와 갈등으로 보는 가부장제 원리」『일어일문학』83집、pp.49-50 미소장